$\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s Citize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5년, pp.431 - 442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  최윤희 (숭문중학교) ,  고연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집단지성 촉진 전략을 활용한 SSI 수업모형(CI기반 SSI 수업모형)'을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특히, 집단지성의 원리를 적용했을 때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 역량 즉, 협업능력, 정보 기술 및 미디어 활용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CI기반 SSI 수업모형에 적용된 집단지성의 원리의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학생들은 약 1년에 걸쳐 토요일마다 격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과학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역량 검사지에 수업 전, 중간, 후에 응답하였으며,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수업관찰 및 학생들과의 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I기반 SSI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의 여러 요소들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수업 및 면담자료에 대한 추가 분석은 이 가능성에 대해 어느 정도 뒷받침해주었다. 첫째, 학생들은 웹 플랫폼을 활용하여 조원들과 활발하게 정보공유를 함으로써 생각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관점에 대한 포용력이 다소 향상되었다. 셋째, 학생들은 토의주제에 대해 미리 자료를 수집하고 스스로 독립적인 시간을 가짐으로써 조별 토의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조원간의 소통도 더 원활해졌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협업의 가치에 대해 인지하게 되고, 협업을 통해 더 나은 산출물을 낼 수 있다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SI instruction can be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key competencies for future citizens. Our assumption of the study is that applying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context of SSI learning would facilitate the learning. Thu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 및 혁신 능력에는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 이들이 제시한 역량 중 학습자 역량은 핵심교과(3Rs)와 21세기 주제(Core subjects and 21st century themes), 학습 및 혁신 능력(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 정보‧미디어‧테크놀로지 능력(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skills), 생애 및 경력 개발 능력(Life and career skills)을 포함한다. 이 중 학습 및 혁신 능력에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협동능력, 창의성과 혁신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기반으로 Heo et al.
사전 검사는 CI기반 SSI 수업을 시작하기 직전인 4월 중순에 측정하였으며, 한 학기 정도의 수업이 진행된 7월 중순에 두 번째 측정을 하였는데 왜 그렇게 진행하였나? 사전 검사는 CI기반 SSI 수업을 시작하기 직전인 4월 중순에 측정하였으며, 한 학기 정도의 수업이 진행된 7월 중순에 두 번째 측정을 하였다. 이는 SSI 수업의 효과를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이 SSI 수업의 투입 기간을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1학기 정도로 하고 있으며, 그 수업의 효과가 일부 나타나는 것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업이 모두 끝난 12월 중순에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학습자 역량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대표적 연구 중 하나로 미국의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P21)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정부기관을 비롯한 대학, 비영리 단체, 그리고 여러 분야의 교육실천가들이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산출한 결과물이다(Trilling & Fadel, 2009). 이들이 제시한 역량 중 학습자 역량은 핵심교과(3Rs)와 21세기 주제(Core subjects and 21st century themes), 학습 및 혁신 능력(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 정보‧미디어‧테크놀로지 능력(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skills), 생애 및 경력 개발 능력(Life and career skills)을 포함한다. 이 중 학습 및 혁신 능력에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협동능력, 창의성과 혁신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 on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67-90. 

  2. Brown, J., & Isaacs, D. (2008). The world cafe: Awaken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mmitted action, In M. Tovey (Ed.).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ng a prosperous world at peace (pp. 47-54). Oakton, Virginia: Earth Intelligence Network. 

  3. Chang, H., & Lee, H. (2010).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4. Choi, K., Lee, H., Shin, N., Kim, S.-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5. Chung, Y., Yoo, J., Kim, S., Lee, H., & Zeidler, D. L. (2014).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cience classroom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Online publication. 

  6. Dawson, V. M., & Venville, G. (2010). Teach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students' argumentation skill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genetic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 133-148. 

  7. Dillenbourg, P. (1999).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In p. Dillenbourg (Ed.), Collaborative-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pp. 1-9). Oxford: Elsevier. 

  8. Dreyfus, A., & Roth, Z. (1991). Twelfth-grade biology pupils' opinions on interventions of man in nature: Agreement, indifference and ambival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 81-95. 

  9.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0. Heo, H., Lim, K., Seo, J., & Kim, Y. (2011). Developing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upporting future school 1: Modeling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and teacher competencies (KR 2011-2).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1. Hogan, K. (2002). Small groups' ecological reasoning while mak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deci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4), 341-368. 

  12.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13. Lee, H., Yoo, J., Choi, K., Kim, S., K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14. Lee, J., Jeon, J., Huh, K., Hong, W., & Kim, M.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RRC 2009-10-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5. Lee, Y., & Lee, S. (2009). Conceptual design principl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4), 213-239. 

  16. Levy, P. (1997). Collective intelligence: Mankind's emerging world in cyberspace. Perseus Books. 

  17. Mun, K., Lee, H., Kim, S., Choi, K., Choi, S., & Krajcik, J. S. (2015).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the global scientific literacy with Australia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3(2), 437-465.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Ratcliffe, M. (1997). Pupil decision-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2), 167-182. 

  20. Roth, W. M. (2003). Scientific literacy as an emergent feature of collective human praxi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1), 9-23. 

  21. Roth, W. M.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4. 

  22. Sadler, T. D., Barab, S. A. & Scott, B. (2007).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4), 371-391. 

  23.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24. Surowiecki, J. (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NY: Random House. 

  25. Tapscott, D. & Williams, A. D. (2006). Wikinomics: How mass collaboration changes everything. New York: Portfolio. 

  26. Trilling, B. & Fade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Yang, M. (2011). Exploring the princip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re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2), 457-483. 

  28. Zeidler, D. L., & Nichols, B. H. (2009). Socioscientific issu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49-58. 

  29.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 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