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Flipped Lear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Its Impact on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Development as Citize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467 - 480  

박동화 (김포고등학교) ,  고연주 (조지아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FL-SSI)이 중학생의 시민역량과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플립러닝은 교실 수업 전 교수학습 영상을 제공하여 기초 개념과 문제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한 토의토론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역동적이고 협력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SSI 수업에서 보고되는 시간과 정보의 제약이나 토의 토론 진행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플립러닝 전략에 기초한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2학년 학생 73명이 네 가지 주제의 12차시 수업으로 구성된 SSI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매 차시 수업 전 교사가 웹에 게시한 동영상을 시청한 후, 본 수업에서는 영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생중심 활동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수업 전후 과학기술 사회의 시민역량과 글로벌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으며, 수업 이후 포커스 그룹 면담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인식한 플립러닝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시민역량과 인성은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시민역량의 네 영역(협업능력,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능력,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인성의 세 영역 중 두 영역(사회도덕적 공감,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포커스 그룹면담 결과 또한 학생들이 SSI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음을 뒷받침하였다. 학생들은 플립러닝 전략을 통해 SSI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자료탐색과 의사결정의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교실 수업 시간을 SSI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데 온전하게 활용하였다. 또한 SSI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 전략이 기존의 SSI 수업에서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개선함으로써, SSI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flipped learning-based socioscientific issue instruction (FL-SSI instruction) affected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development. Traditional classrooms are constrained in terms of time and resources for exploring the issues and making dec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SSI 교수학습 상황에서 야기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FL)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플립러닝은 전통적인 교수방법의 순서를 뒤집는 방식으로, 교수자가 사전에 제작한 동영상을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전 미리 시청하도록 함으로써 수업시간에는 토의⋅토론 등 보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전략이다(Bergmann & Sams, 2012;Kim et al., 2014; Lee, 2014).
과학과 기술이 거듭 발전함에 따라 나타난 다양한 사회⋅윤리적 쟁점들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과 기술이 거듭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다양한 사회⋅윤리적 쟁점들에 직면하게 된다. 줄기세포 연구로 인한 인간 존엄성의 위협,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안정성 논란, 화학물질에의 노출,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문제 등이 그 예이다.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이를 과학 기술관련 사회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이라 칭하고, SSI 교육을 통해 과학기술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해당 문제에 관심을 갖는 데서 나아가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서로 논의하며 문제를 해결 하는데 참여하는 역량을 기를 것을 강조한다(Zeidler et al.
SSI 교육을 통해 무엇을 강조하는가? 줄기세포 연구로 인한 인간 존엄성의 위협,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안정성 논란, 화학물질에의 노출,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문제 등이 그 예이다.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이를 과학 기술관련 사회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이라 칭하고, SSI 교육을 통해 과학기술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해당 문제에 관심을 갖는 데서 나아가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서로 논의하며 문제를 해결 하는데 참여하는 역량을 기를 것을 강조한다(Zeidler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s on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1), 67-90. 

  2. Bae, J., Kim, J., Kim, E., & So, K. (2015).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4), 476-485. 

  3.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Oregon: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4. Bowers, C. (1999). Changing the dominant cultural perspective in education. In G. A. Smith & D. R. Williams (Eds.),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the environment (pp. 161-178).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 Bryce, T., & Gray, D. (2004). Tough acts to follow: The challenges to science teachers presented by biotechnological prog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6), 717-733. 

  6. Chang, H. S., &Lee, H. J. (2010).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7. Choi, K., Lee, H., Shin, N., Kim, S. 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8. Chung, Y., Yoo, J., Kim, S. W., Lee, H., & Zeidler, D. L. (2016).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cience classroom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1),1-27. 

  9. Colucci-Gray, L., Camino, E., Barbiero, G., & Gray, D. (2006). From scientific literacy to sustainability literacy: An ecological framework fo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0(2), 227-252. 

  10. Dreyfus, A., & Roth, Z. (1991). Twelfth-grade biology pupils’ opinions on interventions of man in nature: Agreement, indifference and ambival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81-95. 

  11. Evagorou, M., Jimenez-Aleixandre, M. P., & Osborne, J. (2012). ‘Should we kill the grey squirrels?’A study exploring students’ justifications and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3), 401-428. 

  12. Fowler, S. R., Zeidler, D. L., & Sadler, T. D. (2009).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2), 279-296. 

  13. Grace, M., & Ratcliffe, M. (2002). The science and values that young people draw upon to make decisions about biological conservation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1), 1157-1169. 

  14. Gray, D. S., & Bryce, T. (2006).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6(2), 171-192. 

  15. Heo, H., Lim, K., Seo, J., & Kim, Y. (2011). Developing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upporting future school 1: Modeling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and teacher competencies (KR 2011-2).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6. Hodson, D. (1999). Going beyond cultural pluralism: Science education for sociopolitical action. Science Education, 83(6), 775-796. 

  17. Hogan, K. (2002). Small groups’ ecological reasoning while mak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deci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4), 341-368. 

  18. Kim, J., Ko, Y., & Lee, H. (2016).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a global citize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3), 1-25. 

  19. Kim, N., Chun, B., & Choi, J. (2014).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3), 467-492. 

  20. Kim, S., Kim, H., Lee, K., & Lee, S. (2000). Focus group method. Seoul: Hyunmoon. 

  21. Ko, Y., & Lee, H. (2017).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promot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Based on idiocentrism and allocentris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395-405. 

  22. Kolsto, S. D. (2001).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23.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KOFAC]. (2010). A Study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fostering talented person to practice caring and sharing. Seoul: KOFAC. 

  24. Lee, M. (2014).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by sociology of classroom: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4(2), 181-207. 

  25. Lee, H., Abd-El-Khalick, F., & Choi, K. (2006).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into the science curriculum.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6(2), 97-117. 

  26. Lee, H., & Chang, H. (2010). Exploration of experienced science teachers’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3), 353-365. 

  27. Lee, H., Chang, H., Choi, K., Kim, S., & Zeidler, D. L. (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28.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29. Lee, H., Choi, Y., & Ko, Y. (2015).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s citize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31-442. 

  30. Lee, H., Yoo, J., Choi, K., Kim, S.-W., Krajcik, J. S.,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31. Levinson, R. (2004). Teaching bioethics in science: Crossing a bridge too far?. Canadian Journal of Math,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4(3), 353-369. 

  32. Ministry of Education (2015). Korea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2015-7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3. Mun, K., Lee, H., Kim, S. W., Choi, K., Choi, S. Y., & Krajcik, J. S. (2015).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the global scientific literacy with Australia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3(2), 437-465. 

  34.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P21]. (2009). A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Washington, DC: P21. 

  35. Ratcliffe, M., & Grace, M. (2003). Science education for citizenship: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London: Open University Press. 

  36. Rivero, V. (2013). Flipping out: A new model to reach all students all ways. Internet@Schools, 20(1), 14-16. 

  37. Roth, W. M.,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4. 

  38. Ruiz, P. O., & Vallejos, R. M. (1999). The role of compassion in moral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1), 5-17. 

  39. Sadler, T. D. (2004a).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40. Sadler, T. D. (2004b). Moral sensitiv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3(3), 339-358. 

  41.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1), 71-93. 

  42. Smith, G. A., & Williams, D. R. (1999).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the environment.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3. Sperling, E., & Bencze, J. L. (2010). “More than particle theory”: Citizenship through school science.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0(3), 255-266. 

  44. Stern, P.C., Dietz, T., & Kalof, L. (1993). Value orientations, gender, and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 & Behavior, 25, 322-348. 

  45. The Ontario Public Service (2016). 21st century competencies: Foundation document for discussion. Phase 1: Towards defining 21st century competencies for Ontario. Ontario, Canada: Queen's Printer for Ontario. 

  46. Trilling, B., & Fade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7. Zeidler, D. L., &Nichols, B. H. (2009). Socioscientific issu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49-58. 

  48. Zeidler, D. L., Sadler, T. D., Applebaum, S., & Callahan, B. 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49.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50.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