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Transfer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NOS through SSI I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5, 2015년, pp.895 - 905  

정윤숙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과학 교육의 목표로 둘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서 빠뜨릴 수 없는 요소 중 하나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학습전략이 논의되는 가운데, 다수의 연구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결과가 제시된다. 과학관련 사회쟁점(SSI)은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여 발생하며, 발달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단 하나의 확실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논의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완전하지 않은 과학지식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쟁점에 대한 주장과 근거를 마련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훌륭한 학습 전략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SSI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과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존재한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을 일반화된 맥락에서 명시적으로 접근하고 과학관련 사회쟁점과 관련된 맥락에서 반성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SSI를 통한 학습 환경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기 위해서는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충분히 제공한 후, 맥락화된 상황에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일반화된 상황으로 전이될 수 있는지 탐색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SI 학습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충분히 반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71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SI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VNOS-C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화된 상황에서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나타냈다. SSI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 자료를 제공한 것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전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izens should be sensitive to the complex and controversial SSIs (Socioscientific Issues), be able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with evidence and empathy, and furthermore take political action for the larger welfare.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시적인 접근은 어떤 한계를 갖는가? 개념 또는 명제로서 받아들여진 과학의 본성은 그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고 의사결정을 내려야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형태로 변형되지 못한다. 그리고 맥락 또는 상황과 괴리된 채 일반화된 지식으로 남아있게 되는 한계를 갖는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개념 그 자체를 지식으로 습득하여 갖고 있는 것 보다는 사고방식이나 가치체계, 인식론으로서 과학 활동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므로, 과학의 본성을 지도할 때는 과학의 본성 이해의 맥락 간 전이를 반드시 고려하여야한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과학지식이 형성 되고 발전해나가는 과정에 반영된 가치와 신념에 대해 이해하게 되는 것 또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이다(Abd-El-Khalick, Waters & Le, 2008; Lederman, 1992, 2007).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과학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있는 규준을 습득하고, 쟁점에 대한 논의과정에 합리적으로 참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없이 과학기술과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Lee, 201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대표적 교육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대표적 교육 방법으로 암시적 접근 (implicit approach), 명시적 접근(explicit approach), 그리고 명시적-반성적 접근(explicit-reflective approach)의 세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Lederman, 1992; Khishfe & Abd-El-Khalick, 2002). 암시적 접근을 통한 과학의 본성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없이 과학을 하는 방법이나 과학의 기능을 설명하는 가운데 학생들을 탐구활동에 참여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d-El-Khalick, F. (1998).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Oregon. 

  2. Abd-El-Khalick, F., & Akerson, V. L. (2004). Learning as conceptual change: Factors mediat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8(5), 785-810. 

  3.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4. Abd-El-Khalick, F., Waters, M., & Le, A. P. (2008). Representations of nature of science in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over the past four dec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7), 835-855. 

  5.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6. Akerson, V. L., & Hanuscin, D. L. (2007).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rough inquiry: Results of a 3-yea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5), 653-680. 

  7. Akerson, V. L., & Volrich, M. L. (2006). Teaching nature of science explicitly in a first-grade internship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77-394. 

  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0.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3), 352-377. 

  11. Bell, R. L.,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2000). Developing and acting upon one'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A follow-up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63-581. 

  12. Bell, R. L., Matkins, J. J., & Gansneder, B. M. (2011). Impacts of contextual and explicit instruction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4), 414-436. 

  13. Bianchini, J. A., & Colburn, A. (2000).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inquiry to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 tale of two resear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177-209. 

  14. Choi, K., Lee, H., Shin, N., Kim, S. 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15.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D. C. Heath. 

  16. Eastwood, J. L., Sadler, T. D., Zeidler, D. L., Lewis, A., Amiri, L., & Applebaum, S. (2012). Contextualiz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5), 2289-2315. 

  17. Fleming, R. (1986a). Adolesc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part I: Social cogn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8), 677-687. 

  18. Fleming, R. (1986b). Adolesc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part II: Nonsocial cogn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8), 689-698. 

  19.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20. Khishfe, R., & Lederman, N. (2006). Teaching nature of science within a controversial topic: Integrated versus nonintegrat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95-418. 

  21. Kolsto S. D. (2001).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22.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3.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831-8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Lee, Y-H. (2013). Nature of Science (NOS) Presentation in the Introductory Chapters of Korean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1), 173-197. 

  25. Matkins, J. J., & Bell, R. L. (2007). Awakening the scientist insid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an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2), 137-163. 

  26.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27.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Thousands Oaks, CA: Sage. 

  28.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A report with ten recommendations. King's College London: Fulmar Colour Printing Company Limited.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1).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eoul: MEST.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anl Academy Press. 

  31.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32. Sadler, T. D., Chambers, F. W., & Zeidler, D. L. (2004). Student conceptualiza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response to a socioscientific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4), 387-409. 

  33. Sadler, T. D., Klosterman, M. L., & Topcu, M. S. (2011). Learing science content and socio-scientific reasoning through classroom explorations of global climate change. In T. D. Sadler (Ed.),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pp. 45-77). New York: Springer. 

  34.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0).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A science research internship for preservice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 Akron, OH. 

  35.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36. Tamir, P. (1972).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cience by students exposed to different science curricula in Isra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9(3), 239-245. 

  37. Tao, P. K. (2003). Eliciting and develop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peer collaboration instruction in science s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147-171. 

  38. Walker, K. A., & Zeidler, D. L. (2007). Promoting discourse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through scaffolded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1), 1387-1410. 

  39. Yoo, M. H. (1999).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history program and its effects of application o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0. Zeidler, D. L., Sadler, T. D., Applebaum, S., & Callahan, B. 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41.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42.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