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역사 활동이론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 공동체의 수업에 대한 반성 분석 - 3년간의 생물 실험교실 프로그램 운영 사례
Analyz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s Reflection on their Instruction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A Case of Three Years of Biological Laboratory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5년, pp.523 - 536  

심현표 (서울대학교) ,  유금복 (서울대학교) ,  전상학 (서울대학교) ,  황세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와 학교 현장의 연계를 통하여 진행된 실험교실의 사례에서,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을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Engestr{\ddot{o}}m$이 제안한 활동 체계를 이용하여 사회문화적 요소를 파악하였고, 반성의 양상을 '반성 주제의 다양성'과 '반성의 실제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동체의 반성과 실행의 순환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예비교사 공동체 반성의 사회문화적 요소는 변화하였는데, 수업평가회의 정례화, 도구의 도입, 평가회 운영 주체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과정 속에서 반성의 주제는 다양해지고,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간 관리, 학생의 참여, 지도서인 '멘토의 역할'에 대해서는 반성적 실천이 발전되지 못하고 매번 비슷한 패턴의 논의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활동체계의 측면에서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적 논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 community in three years of post-class discussions (PCD) on the basi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in the case of an biological laboratory class program. We figured out the sociocultural elements of co-reflection of commu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험을 통한 학습의 과정에서 무엇이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는가? 경험을 통한 학습의 과정에서 반성의 역할이 핵심적이라는 반성적 실천 이론에 따라 반성적 사고능력 신장은 예비교사 전문성 향상의 중요한 주제로 인식된다(Loughran, 2002). 이에 따라 반성적 사고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이를 적용하여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Hatton & Smith, 1995; Lee, 2005; Schӧn, 1987; van Manen,1977; Zeichner & Liston, 1987).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무엇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학습,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식의 축적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업 실행의 경험과 이에 대한 반성의 지속적인 순환을 통하여 차츰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성장해나갈 수 있다(Freese, 1999; Jenkins & Veal, 2002; Schӧn, 1987; Shulman, 1986).이러한 관점에서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완성하는 것이 아닌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보다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훌륭한 교사로의 성장은 어떻게 해야되는가? 훌륭한 교사가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은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어떤 관점에서든 훌륭한 교사로의 성장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학습,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식의 축적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업 실행의 경험과 이에 대한 반성의 지속적인 순환을 통하여 차츰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성장해나갈 수 있다(Freese, 1999; Jenkins & Veal, 2002; Schӧn, 1987; Shulman, 1986).이러한 관점에서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완성하는 것이 아닌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보다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oud, D., Keough, R., & Walker, D. (1985). Promoting reflection in learning: A model. In D. Boud, R. Keogh, & D. Walker (Eds.), Reflection: Turning experience into learning(pp.18-40). London: RoutledgeFalmer. 

  2. Chang, J., Park, J., & Song, J. (2014). Featur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cience subject teacher's experimen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217-230. 

  3. Cho, D. (2006). A study on three approaches to the teacher's refle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2), 105-133. 

  4. Cho, D., Kwak, D., & Jin, S. (2008). Student Teachers' Journal Writing about their Field Experi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6(1), 231-259. 

  5. Chung, A., Maeng, S., Lee, S., & Kim, C. (200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reas of Practice Concern and Reflections on the Science Classes in Student-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93-906. 

  6. Davis, E. A. (2006). Characterizing productive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eing what ma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 281-301. 

  7. Edwards, A. (2008). Activity theory and small-scale interventions in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9, 375-378. 

  8. Engestrom, Y. (1987). Learning by Expanding: An Activity-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 Helsinki: Orienta-Konsultit. 

  9. Engestrom, Y & Sannio, A. (2010). Studies of expansive learning: Foundations, findings and future challenge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5, 1-24. 

  10. Freese, A. R. (1999). The role of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5, 895-909. 

  11. Han, M., Yang, C., & Noh, T. (2014). An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of teaching in a science museum: a case study using the CHA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33-42. 

  12.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1), 33-49. 

  13. Hwang, S., & Kim, N. (2014). Analyzing Practicum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1), 141-170 

  14. Im, S., & Martin, S. N. (2014).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ogenerative Dialogue i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3), 17-43. 

  15. Jenkins J. M., & Veal, M. L. (2002). Preservice Teachers' PCK Development During Peer Coaching. Journal of Teaching in in Physical Education, 22, 49-68. 

  16. Jeong, J., & Lee, E. (2013).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es in life science classes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Biology Education, 41(3), 446-458. 

  17. Jonassen, D. H. (2002). Learning as activity. Educational Technology, 42(2), 45-51. 

  18. Karkkainen, M. (1999). Teams as breakers of traditional work practices: A longitudinal study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curriculum unit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teams. Academic dissertat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University of Helsinki. 

  19. Kim, H,, Hong, H., & Hong, J. (2013).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Facilitation Program on Reflection Areas and Level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93-906. 

  20. Kim, H., Hong, H., & Jeon, H.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ased on the Teaching Evaluati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s on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836-849. 

  21. Kim, N. & Hwang, S. (2013). Exploring in-service teaching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Jouran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4), 163-188. 

  22. Kwak. D., Jin, S., & Cho, D.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s during the Practicu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5(4), 195-223. 

  23. Lane, R., McMasterb, H., Adnuma, J., & Cavanagha M. (2014). Quality reflective practice in teacher education: a journey towards shared understanding. Reflective Practice, 15(4), 481-494. 

  24. Lee, H. (2005). Understanding and assess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99-15. 

  25. Lee, H., & Chung, K. (2013). Understand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of socioscientific issues: using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5), 413-433. 

  26. Lee, J. (2010).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378-388. 

  27. Loughran, J. (2002). Effective reflective practice: in search of meaning in learning about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1), 33-43. 

  28. Luttenberg, J., & Bergen, T. (2008). Teacher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a typology.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5-6), 543-566. 

  29. Maurer, M., & Githens, R. P. (2010). Toward a re-framing of action research for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Moving beyond problem solving and toward dialogue. Action Research Journal, 8(3), 267-292. 

  30. Mwanza, D., & Engestrom, Y. (2003) Pedagogical Adeptness in the Design of E-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s from the Lab@Future Project. Proceedings of E-Learn 200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 Higher Education, Phoenix, AR. 

  31. Park, M., Lee, J., Lee, G., & Song, J. (2007).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Reflectiv Thinking on Sciecne Teaching: Focus 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1), 70-83. 

  32. Schon, D. (1987). A review of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33. Shim, H, Ryu, K., Lee, E., .Jeon, S., & Hwang, S. (2013). Features i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on their Practical Work-Based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911-931. 

  3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5. Seo, K. (2005). Reflection and practic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anl of Curriculum Studies, 23(2), 285-310. 

  36. Tobin, K. (2006). Learning to teach through coteaching and cogenerative dialogue. Teaching Education, 17(2), 133-142. 

  37.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1nquiry, 6(3),205-228. 

  38. Yoon, H. (2012).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03-716. 

  39. Yoon, H. (2013). Facilitating Productive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about Science Peer Teaching Practic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13-126. 

  40. Yukawa, J. (2006). Co-reflection in online learning: Collaborative critical thinking as narrativ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1, 203-28. 

  41. Zeichner, K. M, & Liston, D. P. (1987). Teaching student teachers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view, 56(1), 2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