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 피부에서 기존 미백 평가방법과 이미지 분석방법의 비교연구 (비타민 C 제형의 이온토포레시스 연구)
A Comparison Study Between Image Analysis and Conventional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Asian Skin Color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2, 2015년, pp.97 - 103  

박혜경 ((주)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 ,  김남수 ((주)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 ,  문태기 ((주)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 ,  김보라 ((주)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 ,  정호영 ((주)엘리드 피부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까지 Chromameter$^{(R)}$ CR-400, Mexameter$^{(R)}$ M18 그리고 육안평가는 피부색 평가를 위한 주된 평가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평가방법으로 이미지 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기존 평가방법의 변수들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얻은 V (Value) 값을 이용하여 미백 인체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미지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효능 평가를 위해 과색소침착으로 고민하는 34명의 시험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선정된 시험 대상자들은 8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vitamin C가 함유된 5 종류의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는 동시에 일주일에 1회 전기이온영동(iontophoresis) 시술을 받았다. 제품 사용 및 시술 전과 8주 후 기존 평가 변수들과 V 값 측정결과를 비교하고 각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제품 사용 및 시술 8주 후 V 값은 Chromameter$^{(R)}$$L^*$ 값의 경향과 유사하게 증가하였으며, $L^*$ 값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 = 0.494, p < 0.01). 또한, Mexameter$^{(R)}$MI 값(r = - 0.683, p < 0.01)과 육안평가 측정 값(r = - 0.549, p < 0.01)은 V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미지 분석의 V 값의 활용은 기존의 평가방법과 더불어 주관적인 육안평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미백평가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recently, the thre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s, which are instrumental (Chromameter$^{(R)}$ CR-400 and Mexameter$^{(R)}$ M18) and visual assessments have been used frequently for skin color evaluation. However, we took notice the potential of image analysis as a ne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image analysis in the evaluation of Asian skin colo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V. N. Sehgal, P. Verma, G. Srivastava, A. K. Aggarwal, and S. Verma, Melasma: Treatment strategy, J. Cosmet. Laser Ther., 13(6), 265 (2011). 

  2. B. Fink and P. J. Matts, The effects of skin colour distribution and topography cues on the perception of female facial age and health,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2(4), 493 (2008). 

  3. B. Fink, P. J. Matts, H. Klingenberg, S. Kuntze, B. Weege, and K. Grammer, Visual attention to variation in female facial skin color distribution, J. Cosmet. Dermatol., 7(2), 155 (2008). 

  4. R. R. Anderson and J. A. Parrish, The optics of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77, 13 (1981). 

  5. S. C. Kim, D. W. Kim, J. P. Hong, and D. K. Rah,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pigmented skin lesions using the L $^ $^*$ $ a $^*$ b $^*$ color coordinates, Yonsei Med. J., 41(3), 333 (2000). 

  6. S. H. Ha, M. H. Lee, O. S. Lee, G. W. Lee, J. Y. Kim, J. S. Moon, M. G. Kim, and C. H. Oh, A study of a method for distribution analysis of skin color, Skin Res. Technol., 15(2), 200 (2009). 

  7. P. Clarys, K. Alewaeters, R. Lambrecht, and A. O. Barel, Skin color measurements: comparison between three instruments: the Chromameter $^{(R)}$ , the Derma-Spectrometer and the Mexameter $^{(R)}$ , Skin Res. Technol., 6(4), 230 (2000). 

  8. I. S. Yun, W. J. Lee, D. K. Rah, Kim, Y. O. Kim, and B. Y. Park, Skin color analysis using a spectrophotometer in Asians, Skin Res. Technol., 16(3), 311 (2010). 

  9. H. Ohshima and H. Takiwaki, Evaluation of dark circles of the lower eyelid: comparison between reflectance meters and image processing and involvement of dermal thickness in appearance, Skin Res. Technol., 14(2), 13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