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미백 평가 시 기미 병변 부위에서의 적색도 평가의 효용
Use of Redness Assessment in Melasma Lesions in Skin Whitening Evalua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4, 2016년, pp.337 - 342  

이정아 ((주)엘리드) ,  김주연 ((주)엘리드) ,  이선화 ((주)엘리드) ,  김보라 ((주)엘리드) ,  김남수 ((주)엘리드) ,  문태기 ((주)엘리드)

초록

기미는 몇몇의 병인학적 요인을 갖고 있지만, 많은 연구가 멜라닌 형성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 형성과 구별되는 혈관의 감소에 의한 기미의 개선을 보고자 하였다.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평가를 통해 기미와 일광 흑자를 가진 한국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8주 간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Chromameter 기기로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기미 병변, 일광 흑자 병변 및 정상 피부 부위에서의 각 피부색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와 적색도가 정상 피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기미 병변 및 일광 흑자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의 개선 정도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적색도가 일광 흑자 병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기미 병변 부위에서 피부색 밝기 뿐만 아니라 적색도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적색도가 기미 병변 부위의 평가를 위한 부가적이고 적합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sma has several well-recognized etiologic factors, but most researches focus on melanogen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improvement of melasma by reducing vascularity distinguished from melanogenesis. We examined 20 Korean women with both melasma and solar lentigo that were visual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In this clinical study, we measured that the improvement of brightness and redness by using functional cosmetics in females who have pigmented skin. Brightness in both melasma lesions and solar lentigo lesions was improved compared with non-lesional skin.
  • A few pathogenesis of melasma such as UV light exposure, hormone change, increased vascularity, defective barrier function, and inflammation have been identified[2,5,14]. In this study, we considered solar lentigo. The pathogenesis of solar lentigo is commonly known to relate to UV light exposure[15,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C. Handel, L. D. Miot, and H. A. Miot, Melasma: a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review, An. Bras. Dermatol., 89(5), 771 (2014). 

  2. D. L. Bissett, K. Miyamoto, P. Sun, J. Li, and C. A. Berge, Topical niacinamide reduces yellowing, wrinkling, red blotchiness, and hyperpigmented spots in aging facial skin, Int. J. Cosmet. Sci., 26(5), 231 (2004). 

  3. S. Im, J. Kim, W. Y. On, and W. H. Kang, Increased expression of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in the lesional skin of melasma, Br. J. Dermatol., 146(1), 165 (2002). 

  4. D. J. Lee, J. Lee, J. Ha, K. C. Park, J. P. Ortonne, and H. Y. Kang, Defective barrier function in melasma ski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6(12), 1533 (2012). 

  5. E. H. Kim, Y. C. Kim, E. S. Lee, and H. Y. Kang, The vascular characteristics of melasma, J. Dermatol. Sci., 46(2), 111 (2007). 

  6. W. H. Kang, K. H. Yoon, E. S. Lee, J. Kim, K. B. Lee, H. Yim, S. Sohn, and S. Im, Melasma: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56 Korean patients, Br. J. Dermatol., 146(2), 228 (2002). 

  7. L. Zaleski, S. Fabi, and M. P. Goldman, Treatment of melasma and the use of intense pulsed light: a review, J. Drugs Dermatol., 11(11), 1316 (2012). 

  8. S. Rahrovan, H. Hasanzadeh, S. Khodakarim, and A. Firooz,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melasma skin comparing with the perilesional normal skin and its relation to the melasma subtype, J. Pigment. Disord., 2(11), 222 (2015). 

  9. Y. H. Jang, J. H. Sim, H. Y. Kang, Y. C. Kim, and E. S. Lee, Th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e melasma: comparison with female melasma and lentigo, J. Am. Acad. Dermatol., 66(4), 642 (2012). 

  10. R. Sarkar, P. Arora, and K. Garg, Cosmeceuticals for hyperpigmentation: what is available?, J. Cutan. Aesthet. Surg., 6(1), 4 (2013). 

  11. J. Navarrete-Solis, J. P. Castanedo-Cazares, B. Torres-Alvarez, C. Oros-Ovalle, C. Fuentes-Ahumada, F. J. Gonzalez, J. D. Martinez-Ramirez, and B. Moncada,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niacinamide 4% versus hydroquinone 4% in the treatment of melasma, Dermatol. Res. Pract., 2011, 379173 (2011). 

  12. T. Hakozaki, L. Minwalla, J. Zhuang, M. Chhoa, A. Matsubara, K. Miyamoto, A. Greatens, G. G. Hillebrand, D. L. Bissett, and R. E. Boissy, The effect of niacinamide on reducing cutaneous pigmentation and suppression of melanosome transfer, Br. J. Dermatol., 147(1), 20 (2002). 

  13. N. Akhtar, M. S. Khan, A. Iqbal, B. A. Khan, and S. Bashir, Glycyrrhiza glabra extract cream: effects on skin pigment melan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science, Biochemistry and Bioinformatics, 5, 434 (2011). 

  14. F. C. Victor, J. Gelber, and B. Rao, Melasma: a review, J. Cutan. Med. Surg., 8(2), 97 (2004). 

  15. D. Kovacs, G. Cardinali, N. Aspite, C. Cota, F. Luzi, B. Bellei, S. Briganti, A. Amantea, M. R. Torrisi, and M. Picardo, Role of fibroblast-derived growth factors in regulating hyperpigmentation of solar lentigo, Br. J. Dermatol., 163(5), 1020 (2010). 

  16. R. G. Langley, E. Burton, N. Walsh, I. Propperova, and S. J. Murray, In vivo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of benign lentigines: comparison to conventional histology and in vivo characteristics of lentigo maligna, J. Am. Acad. Dermatol., 55(1), 88 (2006). 

  17. Y. Kaymak and M. Onder, An investigation of efficacy of topical niacinamide for the treatment of mild and moderate acne vulgaris, J. Turk. Acad. Dermatol., 2(4), jtad82402a (2008). 

  18. J. Wohlrab and D. Kreft, Niacinamide - mechanisms of action and its topical use in dermatology, Skin Pharmacol. Physiol., 27(6), 311 (2014). 

  19. Z. D. Draelos, K. Ertel, and C. Berge, Niacinamide-containing facial moisturizer improves skin barrier and benefits subjects with rosacea, Cutis, 76(2), 135 (2005). 

  20. T. Yokota, H. Nishio, Y. Kubota, and M. Mizoguchi, The inhibitory effect of glabridin from licorice extracts on melanogenesis and inflammation, Pigment. Cell Res., 11(6), 35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