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 자소엽, 녹차 식물 추출 혼합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Mixtures of Perilla frutescens, Houttuynia cordata and Camellia sinensi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2, 2015년, pp.173 - 180  

이경은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생명공학전공) ,  이은선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생명공학전공) ,  강상구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기능을 가진 자소엽, 어성초 그리고 녹차 추출물들과 이들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자소엽, 어성초와 녹차의 추출물을 동일 양으로 혼합하였을 때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 낮은 농도인 $10{\mu}g/mL$에서도 80.2%, 98.0%의 DPPH와 ABTS 라디칼을 소거시키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자소엽과 녹차추출물 그리고 각 추출물의 혼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가 증가되었다. HaCaT 세포를 사용한 세포독성실험의 경우 자소엽, 어성초 추출물의 경우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같거나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성초추출물의 경우 $100{\mu}g/mL$에서 무처리 대조군 보다 1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녹차와 각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경우 $500{\mu}g/mL$ 이상에서는 무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세 가지 식물의 추출물 혼합물이 $100{\mu}g/mL$ 농도일 때 세포에 안전하며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함께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Perilla frutescens, Houttuynia cordata and Camellia sinensis extracts and the extract mixtures (PHC) were investigated. PHC showed 80.2% and 98.0%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DPPH and ABTS analysis, respectivel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어성초, 자소엽과 녹차에 대한 항산화기능을 활용한 안티에이징, 발모방지 등의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을 혼합하였을 때 어떠한 기능을 나타내는지에 관한 연구나 활용에 관한 보고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소엽, 어성초, 그리고 녹차의 단일 식물추출물과 이들 각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효과, tyrosinase 저해 효과, 세포독성과 세포증식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소엽, 어성초, 녹차 추출물과 이들각 추출물의 혼합물에 대한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이들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실험을 관찰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radical 소거활성능에 대한 측정은 10 µg/mL 농도에서 자소엽, 어성초, 녹차 추출물을 각각 처리했을 때 46, 39, 30%를 나타내었으나 이들 각 추출물을 혼합적으로 처리하였을때 80% 이상의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능은 10 µg/mL 농도에서 단일 식물 추출물은 각각 14, 17, 77%를 나타내었으나, 각 추출물의 혼합물은 98%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추출물들의 보다 자세한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ABTS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의 원리를 간략히 이해하면, 먼저 ABTS가 potassium persulfate에 의해 전자가 산화되어 청록색을 나타내며, 이후 추출물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에 의하여 전자공여능이 환원됨에 따라 청록색이 점차 옅어지는 과정을 측정 하는 방법이다.
  • 따라서 활성산소를 보다 안전하게 소거하기 위하여 그에 따른 대안으로 천연 항산화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천연 물질이나 식품을 이용한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0,11]. 본 연구에서는 탁월한 항산화 기능 식물로 알려진 녹차, 어성초, 자소엽을 사용하여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복합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녹차(Camellia sinensis)의 카테킨(catechin)과 EGCG는 암 발생 예방,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있다[12-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의 제거에 대해 천연 항산화물질이 관심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피부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발생은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 세포 내에 1 O2, ⋅ OH, O2⋅- , H2O2, ROO・, RO・, ROOH 및 HOCl 등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생체 내 DNA를 손상시켜 세포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유발하게 한다[6,7].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는 독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8,9]. 따라서 활성산소를 보다 안전하게 소거하기 위하여 그에 따른 대안으로 천연 항산화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천연 물질이나 식품을 이용한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0,11].
어성초는 무엇인가? 녹차(Camellia sinensis)의 카테킨(catechin) 과 EGCG는 암 발생 예방,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있다[12-14].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methyl-n-nonylketon, decanoyl acetaldehyde, α-pinene, linalool, δ-limonen, camphene, quercitrin, quercetin, reynoutrin, isoquercitrin, hyperin 등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항알러지, 면역력 증진 등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5-20]. 자소엽(Perilla frutescens) 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식물로 항산화작용, 항염증, 항균작용, 항알레르기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보고되어 있다[21-27].
녹차의 성분인 카테킨과 EGCG는 어떤 활성 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에서는 탁월한 항산화 기능 식물로 알려진 녹차, 어성초, 자소엽을 사용하여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복합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녹차(Camellia sinensis)의 카테킨(catechin) 과 EGCG는 암 발생 예방,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있다[12-14].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methyl-n-nonylketon, decanoyl acetaldehyde, α-pinene, linalool, δ-limonen, camphene, quercitrin, quercetin, reynoutrin, isoquercitrin, hyperin 등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항알러지, 면역력 증진 등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5-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P. Albertazzi, S. A. Steel, E. Clifford, and M. Bottazzi, Attitudes towards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in a sample of postmenopausal women, Climacteric, 5(4), 374 (2002). 

  2. J. Kedziora and G. Bartosz, Down's syndrome: a pathway involving the lack of bla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Free Radic. Biol. Med., 4(5), 317 (1988). 

  3. E. E. Cross, B. Halliwell, E. T. Borish, W. A. Pryor, B. N. Ames, R. L. Saul, and J. M. McCord,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iease, Ann. Intren. Med., 107, 536 (1987). 

  4. E. Y. Sozmen, T. Tanyakin, T. Onat, F. Kufay, and S. Erlacin,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embrane injury in rat erythrocytes, European J. of Clinical Chem. and Clinical Biochem., 32, 741 (1994). 

  5. B. Frei, Academic Press, Inc., 25, ed. A Division of Harcourt Brace and Company, San Diego, California (1994). 

  6. I. Fridorich, The biological activit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 (1978). 

  7. I. A. Imlay and S. Linn,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40, 1302 (1986). 

  8. A. L. Branen,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 (1991). 

  9. S. M. Barlow, Food Antioxidant. ed. B. J. F. Hudson, 253, Elsevier, Amsterdam (1990). 

  10. S. J. Yang, K. S. Youn, H. K. No, S. H. Lee, and J. H. Hong,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mate (Ilex paraguarensis) ethanolic extracts, Korean J. Food, 18, 319 (2011). 

  11. S. J. Lee, J. H. Kim, M. J. Kim, S. M. Yoon, J. C. Jeong, and N. J. Sung,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lipid levels of liver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J. Life Sci., 19, 1769 (2009). 

  12. Z. D. Draelos, Botanicals as topical agents, Clin. Dermatol., 19, 474 (2001). 

  13. A. Chiu and A. B. Kimball, Topical vitamins, minerals and botanical ingredients as modulators of environmental and chronological skin damage, Br. J. Dermatol., 149, 681 (2003). 

  14. N. Ahmad and H. Mukhtar, Cutaneous photochemoprotection by green tea: a brief review,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4, 69 (2001). 

  15. C. K. Chung, S. S. Ham, S. Y. Lee, D. H. Oh, S. Y. Choi, I. J. Kang, and S. M. Nam,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s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enzymes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ir., 28, 205 (1999). 

  16. B. J. Ha,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TCDD damage, J. Environ Sci., 12, 599 (2003). 

  17. Y. Y. Chen, J. F. Liu, C. M. Chen, P. Y. Chao, and T. J. Chang,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using an oxidized frying oil-fed model, J. Nutr. Sci. Vitaminol, 49, 327 (2003). 

  18. J. H. Song, M. J. Kim, H. D. Kwon, and I. H. Park,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53 (2003). 

  19. E. J. Cho, T. Yokozawa, D. Y. Rhyu, H. Y. Kim, N. Shibahara, and J. C. Park, The inhibitory effects of 12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nent on lipid peroxidation, Am. J. Chin. Med., 31, 907 (2003). 

  20. J. Kim, H. S. Ryu, J. H. Shin, and H. S. Kim, In vitro and ex vivo supplementation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and immunomodulating effect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7 (2005). 

  21. H. Ueda, C. Yamazaki, and M. Yamazaki,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leaf extract and luteolin on mouse skin tumor promotion, Biol. Pharm. Bull., 26, 560 (2003). 

  22. T. Makino, A. Furuta, H. Fujii, T. Nakagawa, H. Wakushima, K. Saito, and Y. Kano, Effect of oral treatment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constituents on type-1 allergy in mice, Biol. Pharm. Bull., 24, 1206 (2001). 

  23. T. Y. Shin, S. H. Kim, S. H. Kim, Y. K. Kim, H. J. Park, B. S. Chae, H. J. Jung, and H. M. Kim, Inhibitory effect of mast cell-mediated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in rats by Perilla frutescen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2, 489 (2000). 

  24. H. A. Oh, C. Park, H. J. Ahn, Y. S. Park, and H. M. Kim,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and rosmarinic acid on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s, Exp. Biol. Med. (Maywood), 236, 99 (2011). 

  25. T. Makino, Y. Furuta, H. Wakushima, H. Fujii, K. Saito, and Y. Kano, Anti-allergic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active constituents, Phytother. Res., 17, 240 (2003). 

  26. U. K. Choi, O. H. Lee, S. I. Lim, and Y. C. Kim,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the evolutionary operation 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11, 3922 (2010). 

  27. L. Meng, Y. F. Lozano, E. M. Gaydou, and B. Li,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 133 (2008). 

  28. N. H. Kim, D. C. Yang, and A. H. Eom, A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aliaceae based on PCR-RAPD and ITS sequences, Korean J. Plant Res., 17, 82 (2004). 

  29. M. L. Blois, Antioc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30.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 (1999). 

  31. C. C. Wei, C. W. Yu, P. L. Yen, H. Y. Lin, S. T. Chang F. L. Hsu, and V. H. Liao, Antioxidant activity, delayed aging, and reduced amyloid- ${\beta}$ 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pomace from Camellia tenuifolia, J. Agric. Food Chem., 62(44), 10701 (2014). 

  32. S. Y. Qusti, A. N. Abo-khatwa, and M. A. Bin Lahwa,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selected food items cited in the Holly Quran, Eur. J. Biol. Sci., 2, 40 (2010). 

  33. Y. M. Choi, M. H. Kim, J. J. Shin, J. M. Park, and J. S. Le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 Soc. Nutr., 32, 723 (2003). 

  34. L. Milne, P. Nicotera, S. Orrenius, and M. J. Burkitt, Effects of glutathione and chelating agents on copper-mediated DNA oxidation: Prooxida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lutathione, Arch. Biochem. Biophys., 304, 102 (1993). 

  35. B. S. Wolfenden and R. L. Willson, Radical-cations as reference chromogens in kinetic studies of one-electron transfer reactions: pulse rsdiolysis studies of 2, 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ate), J. Chem. Soc. Perkin. Trans., 2, 805 (1982). 

  36. A. Kitahara, U. Matsumoto, H. Ueda, and R. Ueoka,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xidation of r-irradiated methyl linolate, Chem. Pharm. Bull., 40, 2208 (1992). 

  37. T. Hatano,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4), 357 (1995) 

  38. V. J. Hearing and M. Jimenez, Mammalian tyrosinase-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12), 1141 (1987). 

  39. T. Kuzumaki, A. Matsuda, K. Wakamatsu, S. Ito, and K. Ishikawa, Eumelanin biosynthesis is regulated by coordinat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genes, Exp. Cell Res., 207(1), 33 (1993). 

  40. V. del Marmol and F. Beermann,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3), 165 (1996). 

  41. S. Briganti, E. Camera, and M. Picardo, Chem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es to treat hyper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6(2), 101 (2003). 

  42. F. Solano, S. Briganti, M. Picardo, and G. Ghanem, Hypopigmenting agents: an updated review on biological, 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Pigment Cell Res., 19(6), 550 (2006). 

  43. H. S. Mason and E. W. Peterson, Melanoproteins I. Reactions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im. Biophys. Acta., 111, 134 (1965). 

  44. B. R. Lee and P. S. Park, Potentiating dietary green tea extracts anti-tumor activity of cisplatin in BALB/c mice bearing CT26 colon carcinoma, J. Kor. Soc. Food Sci. Nutr., 41(8), 110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