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철이음어 처리 과정에서 형태와 의미 정보의 영향
Effect of orthographic, phonological and semantic information on the processes of Korean heterony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3819 - 3828  

김태훈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조증열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이윤형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의어 중 한 가지 유형인 한국어 동철이음어의 처리 과정의 탐색을 통해 단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형태(표기 및 음운) 정보와 의미 정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 자극이 먼저 제시되고 목표 자극이 이후에 제시되는 점화 과제를 사용하여 형태와 의미 정보의 촉진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실험 1에서는 동철이음어의 표기 및 음운 정보와 관련된 자극을 점화 자극으로 제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의미와 관련된 자극을 점화 자극으로 제시하여 단어/비단어 여부를 판단하는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형태 관련 정보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의미 관련 정보는 단어 여부 판단을 빠르게 하는 촉진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철이음어 처리 과정에서 형태 관련 정보에 비해 의미 관련 정보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discusses some of important issues in the word recognition such as the roles of the form(orthographic & phonologic) and semantic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of Korean heteronym. The priming paradigm has been applied to see whether or not there would be facilitatory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동음이의어는 음운 정보는 동일하지만 표기 정보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하며, 동형이의어는 표기 정보는 동일하지만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동음이의어와 동형이의어는 표기와 음운 정보 중 하나만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단어 재인 과정에서 논쟁점이 되어 온 음운 정보의 쓰임 및 의미 정보의 접근 시점과 관련된 중요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중의어를 통한 단어 재인 과정 연구는 일상적으로 쓰는 어휘를 바탕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에 비해 일반화가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철이음어를 사용하여 음운 경로의 상대적 중요성과 의미 정보의 접근 시기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동철이음어는 하나의 표기에 두 개의 음운이 결합되어 음운에 따라 각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 이러한 특징을 지닌 동철이음어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중의어를 사용한 기존 연구와 더불어 중의어 처리 과정에 대한 좀 더 완성된 형태의 이론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험 1에서는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 시 표기 정보와 음운 정보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동철이음어의 표기 정보 및 음운 정보와 관련된 문자열을 점화 자극으로 제시하고 동철이음어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 한편, 유형 2에서는 표기-음운 불일치 조건에서는 촉진 효과가 나타난 반면, 표기-음운 일치 조건에서는 오히려 통제 조건에 비해 반응 시간이 길었다(그림 1 참조). 따라서 점화 자극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해 보기 위해 통제 조건을 제외하고 점화 자극의 조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 이와 관련된 논쟁의 초점은 의미 정보에 대한 접근이 형태(표기 및 음운) 정보에 대한 접근과 비슷한 시점에 발생하는지 아니면 형태 정보에 대한 접근 이후의 후기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지의 여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표기-음운 관계에 따른 의미 변환이라는 한국어 동철이음어의 특징을 사용하여 의미 정보 접근 시기를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는 단어 재인 과정에서 음운 경로의 상대적 중요성 및 접근 시기와 관련된 논쟁점에 대해 동철이음어를 통해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동철이음어는 철자는 같으나 발음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중의어의 한 형태로 표기와 음운 정보의 영향을 확인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본 연구는 중의어의 여러 형태 중 발음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동철이음어를 통해 단어 재인 과정에서의 논쟁점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어학과 전산언어학에서 도출된 결과와 더불어 동철이음어의 분석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의어를 표기와 음운 정보의 공유 양상에 따라 세분화 할 경우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중의어를 표기와 음운 정보의 공유 양상에 따라 세분화 하게 되면 음운 정보가 동일한 경우인 동음이의어 (homophone)와 표기 정보가 동일한 경우인 동형이의어 (homograph)로 나눌 수 있다. 즉, 동음이의어는 음운 정보는 동일하지만 표기 정보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하며, 동형이의어는 표기 정보는 동일하지만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동음이의어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가? 중의어를 표기와 음운 정보의 공유 양상에 따라 세분화 하게 되면 음운 정보가 동일한 경우인 동음이의어 (homophone)와 표기 정보가 동일한 경우인 동형이의어 (homograph)로 나눌 수 있다. 즉, 동음이의어는 음운 정보는 동일하지만 표기 정보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하며, 동형이의어는 표기 정보는 동일하지만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동음이의어와 동형이의어는 표기와 음운 정보 중 하나만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단어 재인 과정에서 논쟁점이 되어 온 음운 정보의 쓰임 및 의미 정보의 접근 시점과 관련된 중요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어의 중의어 형태는 어떻게 구분되어지며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인 한국어 중의어 처리 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한국어의 중의어 형태를 먼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중의어는 어휘 항목들 간의 의미적 관련성에 따라 크게 다의어와 동음어로 나눌 수 있는데[1], 다의어는 중심 의미를 바탕으로 의미의 파생 및 확장을 통해 주변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를 말하고, 동음어는 둘 이상의 어휘 항목이 표기 혹은 음운 정보를 공유 하는 형태를 말한다. 흔히 다의어를 제외한 다양한 종류의 중의어를 동음어라 총칭하지만, 엄격한 의미로 동음어는 ‘사과’와 같이 동일한 음운 정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수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Lyon, Semantics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DOI: http://dx.doi.org/10.1017/CBO9781139165693 

  2. M. Coltheart, K. Rastle, C. Perry, J. Ziegler "DRC: A Dual Route Cascaded model of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loud", Psychological Review, 108, 204-256,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108.1.204 

  3. C. H. Lee, M. Turvey, "Silent letters and phonological priming",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32 (3), 313-333, 2003. DOI: http://dx.doi.org/10.1023/A:1023595619040 

  4. A. Pollatsek, K. Rayner, H-W. Lee, "Phonological coding in word perception and reading" In A. Kennedy, D. Heller, J. Pynte & R. Radach (Eds.), Reading as a perceptual process, pp. 399-425, Oxford: North-Holland, 2000. DOI: http://dx.doi.org/10.1016/B978-008043642-5/50019-X 

  5. J. A. Spinks, Y. Liu, C. A. Perfetti, L. H. Tan, "Reading Chinese characters for meaning: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Cognition, 76, B1-B11,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010-0277(00)00072-X 

  6. N. Gronau, R. Frost, "Prelexical phonologic computation in a deep orthography: Evidence from backward masking in Hebrew",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4 (1), 107-112, 1997. DOI: http://dx.doi.org/10.3758/BF03210781 

  7. M. Brysbaert, "Prelexical phonological coding of visual words in Dutch: Automatic after all", Memory and Cognition, 29 (5), 765-773, 2001. DOI: http://dx.doi.org/10.3758/BF03200479 

  8. K. Park, "The Role of Phonology in Access to Semantic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15 (1), 19-37, 2003. 

  9. K. Nam, J. Kim, C. Seo, "Form priming effects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13 (1), 21-40, 2001. 

  10. C. H. Lee, Y.-H. Kim, B.-J. Kang, "Korean Hangul Word Recognition at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Level",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15 (1), 1-17, 2003. 

  11. Y.-H. Kim, C. H. Lee,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Korean Monosyllabic Word Processing",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5 (1), 35-41, 2004 

  12. S. Sereno, K. Rayner, M. I. Posner, "Establishing a time-line of word recognition: Evidence from eye movements and event-related potentials", Neuroreport, 9 (10), 2195-2200, 1998. DOI: http://dx.doi.org/10.1097/00001756-199807130-00009 

  13. B. Penolazzi, O. Hauk, F. Pulvermuller, "Early semantic context integration and lexical access as revealed by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Biological Psychology, 74 (3), 374-388, 2007. DOI: http://dx.doi.org/10.1016/j.biopsycho.2006.09.008 

  14. S. Dehaene, L. Cohen, M. Sigman, F. Vinckier, "The neural code for written words: a proposal",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 (7), 335-341, 2005. DOI: http://dx.doi.org/10.1016/j.tics.2005.05.004 

  15. L. Pylkkanen, A. Marantz, "Tracking the time course of word recognition with MEG",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7 (5), 187-189, 2003. DOI: http://dx.doi.org/10.1016/S1364-6613(03)00092-5 

  16. J. Grainger, K. Diependaele, E. Spinelli, L. Ferrand, F. Farioli, "Masked repetition and phonological priming within and across modalit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9, 1256-1269, 2003. DOI: http://dx.doi.org/10.1037/0278-7393.29.6.1256 

  17. K. Kiyonaga, J. Grainger, K. Midgley, P. J. Holocomb, "Masked cross-modal repetition priming: An event-related potential investigation",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22 (3), 337-376, 2007. DOI: http://dx.doi.org/10.1080/01690960600652471 

  18. O. Solomyak, A. Marantz, "Lexical access in early stages of visual word processing: A single-trial correlational MED study of heteronym recognition", Brain and Language, 108 (3), 191-196, 2009. DOI: http://dx.doi.org/10.1016/j.bandl.2008.09.004 

  19. Y. Kwon, H. Cho, K. Nam, "Event-related Potential Evidence of Phonological Activation in Hangul Homophone Reading",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20 (2), 1-12, 2013. 

  20. H. Gweon, S. Kim,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 Frequency and Semantic Priming Effects in Hangul Word Recogni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18 (3), 203-220, 2006. 

  21. T. Dijkstra, M. Timmermans, H. Schriefers, "On being blinded by your other language: Effects of task demands on interlingual homograph recogni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2 (4), 445-464. 1999. DOI: http://dx.doi.org/10.1006/jmla.1999.2697 

  22. M. Martin, G. V. Jones, D. L. Nelson, L. Nelson, "Heteronyms and polyphones: Categories of words with multiple phonemic representation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 Instrumentation, 13 (3), 299-307, 1981. DOI: http://dx.doi.org/10.3758/BF03202018 

  23. R. E. Warren, N. T. Warren, J. P. Green, J. H. Bresnick, "Multiple semantic encoding of homophones and homographs in contexts biasing dominant or subordinate meanings", Memory & Cognition, 6(4), 364-371, 1978. DOI: http://dx.doi.org/10.3758/BF03197467 

  24. Y. Na, "Behavioral and ERP correlates of Korean homographs in visual word recognition", Unpublished manuscript for th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4. 

  25. M. G. Youe, "Heteronyms in modern Korean and their transcription in the IPA and the Roman alphabet,"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1, 51-82, 1996. 

  26. H. S. Kim, "A study on the original Korean words in second syllables become glottalized inspecting Korean dictionary," Haneomun Education, 13, 147-159, 2005. 

  27. A. Yoon, M-Y, Kang, "Ambiguity types of the homonymic & heterographic units for improving Korean voice recognition system," Speech Science, 15(4), 67-81, 2008. 

  28. J.-K. Park, "A study of durational features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1-14. 121-131, 1987. 

  29. J. Han, "Experimental phonetics analysis of the length of a monophthong that targets speaker in Seoul", Unpublished manuscript for th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4. 

  30. H. Yi,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ambiguous nouns in the mental lexicon", Unpublished manuscript for th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0. 

  31. C. T. Luo, "How is word meaning accessed in reading? Evidence from the phonologically mediated interference effec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2, 309-32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