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이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복분자씨유와 지방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를 급여하여 체중 및 체내 지질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효율을 평가하고, 지방 조직의 무게 및 혈중과 간 중 지질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beta}$-oxidation과 관련된 카르니틴 함량 변화와 superoxide dismutase(SOD)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동물의 체중이 고지방복분자씨유첨가식이군(RCO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식이섭취효율이 고지방옥수수유첨가식이군(CO군)과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복부 지방과 등 지방은 CO군과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혈중 HDL-C와 HDL-C/TC(%)는 RCO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 중 acid-soluble acylcarnitine 및 total carnitine의 카르니틴 수준은 CO군과 RCO군에서, SOD 항산화효소 활성은 RCO군에서 고지방돈지첨가식이군과 고지방우지첨가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씨유는 비만이 유도된 성인 쥐의 체중 및 체지방량과 HDL-C 및 HDL-C/TC(%)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복분자씨유를 비만인들에게 적용했을 때 매우 효과적인 유지 급원으로써의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추후 복분자씨유의 기능성과 상업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본 연구는 현재 식품가공 과정중 폐기처분되고 있는 복분자씨가 식품산업의 새로운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한 의미 있는 실험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 oil on the plasma lipid profile of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n=10). After completion of the 5-week experimental period, we measured bodyweight gain, food intake, adipose tissue mas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지방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를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게 급여하여 체중 및 체내 지질패턴의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복분자씨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식이로 비만이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복분자씨유와 지방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를 급여하여 체중 및 체내 지질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효율을 평가하고, 지방 조직의 무게 및 혈중과 간 중 지질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의 효능은? 복분자는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작용, 항균 활성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3),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항바이러스, 지질 산화반응 억제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8), 천연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9). 하지만 현재 보고되고 있는 복분자의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나 식품 가공으로의 활용은 주로 열매에 국한되어 있으며 복분자 씨 등 나머지 부속물에 관한 활용이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복분자씨에서 추출한 유지의 지방산 조성은? 이에 대해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 씨앗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복분자씨유는 49~70%의 linoleic acid(C18:2), 13~34%의 linolenic acid(C18:3), 8~17%의 oleic acid(C18:1), 1~5%의 palmitic acid(C16:0) 및 0~3%의 stearic acid(C18:0)로 90% 이상이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종류에 따라서는 95% 이상이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10,11). 이는 현재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물성 유지인 콩기름[51% linoleic acid(C18:2), 7% linolenic acid(C18:3)], 해바라기씨유[66% linoleic acid(C18:2), 0.
복분자의 분류학적 위치는? )이다. 복분자는 장미목(Rosales), 장미과 (Rosaceae)의 낙엽관목으로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과 일본, 한반도의 남쪽에 분포하고 있으며, 5~6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7~8월에 성숙되어 붉은색으로 익어 점차 검게 변하게 된다(1-3). 복분자는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보간신(補肝腎), 명목(明目), 이뇨제의 효능이 있고 정력감퇴, 유정, 빈뇨 등의 치료용 약재로 이용되어 왔으며(4,5), 최근에는 상업적 용도로 청량음료, 다류, 젤리, 잼 등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특히 주류의 원료로 각광받아 국내 생산량이 2005년 2,222톤에서 2009년 4,914톤, 2013년 9,801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yamukama R, Kiremire BT, Andersen OM, Steigen A. 2005. Anthocyanins from fruits of Rubus pinnatus and Rubus rigidus. J Food Compos Anal 18: 599-605. 

  2. Park YS, Jang HG. 2003.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375. 

  3.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Kim BS. 2007.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83-688. 

  4.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5. Kwon KH, Cha WS, Kim DC, Shin HJ. 2006.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05-409. 

  6. Choung MG, Lim JD. 2012.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Korean J Mediclinal Crop Sci 20: 259-269.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2013 an actual output of crop for a special purpose. http://ebook.mafra.go.kr/preview/viewer/main.php?site2&menuno2&previewno6676&iframe0&dlbt (accessed Feb 2015). 

  8. Shin JS, Cho EJ, Choi HE, Seo JH, An HJ, Park HJ, Cho YW, Lee KT.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a standardized triterpenoid-rich fraction isolated from Rubus coreanus on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acute colitis in mice and LPS-induced macrophages. J Ethnopharmacol 2: 219-300. 

  9. Choe M, Sin GJ, Choe GP, Do JH, Kim JD. 2003. Synergistic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red ginseng,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48-154. 

  10. Oh HH. 200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1. Ku CS, Mun SP. 2008. Characterization of seed oils from fresh Bokbunja (Rubus coreanus Miq.) and wine processing waste. Bioresour Technol 99: 2852-2856. 

  12. Hands ES. 1996. Lipid composition of selected foods. In Bailey's Industrial Oil and Fat Products: Edible Oil and Fat Product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p 441-505. 

  13. Hwang JT, Kang HC, Kim TS, Park WJ. 1999. Lipid componant and properties of grape seed oils. Korean J Food & Nutr 12: 150-155. 

  14. Beynen AC, Katan MB. 1985. Why d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ower serum cholesterol? Am J Clin Nutr 42: 560-563. 

  15. Grundy SM, Ahrens Jr EH. 1970. The effects of unsaturated dietary fats on absorption, excretion, synthesis, and distribution of cholesterol in man. J Clin Invest 49: 1135-1152. 

  16. Spritz N, Ahrens Jr EH, Grundy S. 1965. Sterol balance in man as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are altered by exchanges of dietary fats. J Clin Invest 44: 1482-1493. 

  17. Nestel PJ, Havenstein N, Whyte HM, Scott TJ, Cook LJ. 1973. Lowering of plasma cholesterol and enhanced sterol excretion with the consumption of polyunsaturated ruminant fats. N Engl J Med 288: 379-382. 

  18. Field CJ, Angel A, Clandinin MT. 1985. Relationship of diet to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human adipose tissue structural and stored lipids. Am J Clin Nutr 42: 1206-1220. 

  19. Kim CO, Kang SA. 2001.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 Korean J Nutr 34: 123-131. 

  20. Reeves PG, Nielsen FH,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 1951. 

  21. Ryu MH, Sohn HS, Heo YR, Moustaid-Moussa N, Cha YS. 2005. Differential regulation of hepatic gene expression by starvation versus refeeding following a high-sucrose or highfat diet. Nutrition 21: 543-552. 

  22. Cederblad G, Lindstedt S.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arnitine in the picomole range. Clin Chim Acta 37: 235-243. 

  23. Sachan DS, Rhew TH, Ruark RA. 1984. Ameliorating effects of carnitine and its precursors on alcohol-induced fatty liver. Am J Clin Nutr 39: 738-744. 

  24. Okado-Matsumoto A, Fridovich I. 2001. Subcellular distribution of superoxide dismutases (SOD) in rat liver: Cu, Zn-SOD in mitochondria. J Biol Chem 276: 38388-38393. 

  25. Park YJ, Park YJ. 1997.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on kidney function. J Nutr Health 30: 187-194. 

  26. Morley JE. 2001. Decreased food intake with aging.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6: 81-88. 

  27. Osborne TB, Mendel LB, Ferry EL. 1917. The effect of retardation of growth upon the breeding period and duration of life of rats. Science 23: 294-295. 

  28. Dodge JA. 1994. Dietary fats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Eur J Clin Nutr 48: S8-S16. 

  29. Kang TS, Lee MY, Beak SH, Jeong HS, Park HJ, Kong YJ, Jung IS. 2005. Effects of oat soluble ${\beta}$ -glucan on glucose dialysis retardation and blood glucose in diabetic rats. Food Engineering Progress 9: 88-96. 

  30. Kim ID, Kang KS, Kwon RH, Yang JO, Lee JS, Ha BJ. 2007. The effect of Rubus coreanum Miquel against lipopolysaccharide-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pid metabolism. J Fd Hyg Safety 22: 213-217. 

  31. Choi HM. 2004. Nutrition. Kyomunsa, Seoul, Korea. p 90-94. 

  32. Choi MJ, Jo HJ. 2005. Effects of isoflavones supplemented diet on lipid concentrations and hepatic LDL receptor mRNA level in growing female rats. Korean J Nutr 35: 344-351. 

  33. Bieber LL. 1988. Carnitine. Ann Rev Biochem 57: 261-283. 

  34. Bremer J. 1983. Carnitine-metabolism and functions. Physiol Rev 63: 1420-1480. 

  35. Cha YS. 1993. Cellular and enzymatic basis for carnitinemediated attenuation of ethanol metabolism. MS Thesis. Tennessee University, Knoxville, TN, USA. 

  36. Cha YS, Sohn HS, Daily III JW, Oh SH. 1999.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or high fat diet on lipid metabolism and carnitine concentrations in rats. Nutr Res 19: 934-945. 

  37. Cha YS, Choi SK, Suh H, Lee SN, Cho D, Li K. 2001. Effects of carnitine coingested caffeine on carnitine metabolism and endurance capacity in athletes. J Nutr Sci Vitaminol (Tokyo) 47: 378-384. 

  38. Fantos JC, Ward PA.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Am J Pathol 107: 397-418. 

  39. Bergsten P, Amitai G, Kehrl J, Levine M. 1990. Ascorbic acid content of human B and T lymphocytes and monocytes. Ann NY Acad Sci 587: 275-277. 

  40.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41. Epe B. 1991. Genotoxocity of singlet oxygen. Chem Biol Interact 80: 239-260. 

  42. Pryor WA, Stone K. 1993. Oxidants in cigarette smoke. Radicals, hydrogen peroxide, peroxynitrate, and peroxynitrite. Ann NY Acad Sci 686: 12-27. 

  43. Ji LL. 1995. Oxidative stress during exercise: implication of antioxidant nutrients. Free Radic Biol Med 18: 1079-1086. 

  44.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143. 

  45. Pieszka M, Tombarkiewicz B, Roman A, Migdal W, Niedziolka J. 2013. Effect of bioactive substances found in rapeseed, raspberry and strawberry seed oils on blood lipid profile and selected parameters of oxidative status in rats. Environ Toxicol Pharmacol 36: 1055-1062. 

  46. Yoon I, Cho JY, Kuk JH, Wee JH, Jang MY, Ahn TA, Park KH. 2002.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98-904. 

  47. Lee JW, Do JH.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of Rubus coreanum and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94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