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 도로거리를 이용한 농촌지역 생활권의 의료시설 접근성 평가 -평창군을 중심으로-
Assessmen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Real Road Distance focusing on Pyeongchang-gu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7 no.4, 2015년, pp.39 - 49  

김솔희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태곤 (The NorthStar Initiative for Sustainable Enterprise (NiSE),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University of Minnesota) ,  서교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most medical facilities and medical personnel a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in South Korea, an imbalance of access to medical facilities causes a gap in medical resource availabili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is a means of assessment that evaluates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의료시설과의 접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다 실제와 가까운 거리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도로망을 이용한 실제 도로거리를 산정하였다. 도로망은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도 서비스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로 뿐만 아니라 이면도로까지 포함하여 최단경로를 산정하여 주변 시설물, 도로현황, 지형구배 등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 의료시설과의 접근성 평가를 위하여 각 의료시설에 대한 이동거리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각 의료시설별 접근성을 평가등급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직선거리와 실제 도로거리에 따른 대상지역의 의료자원에 대한 접근성 평가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지역중심으로부터 각급 의료시설까지의 실제 도로거리를 산정하여 접근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존 연구에서 이용되었던 직선거리와 비교하여 실제 취약지역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의료시설과의 접근성 평가를 위하여 각 의료시설에 대한 이동거리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각 의료시설별 접근성을 평가등급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의료시설과의 접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다 실제와 가까운 거리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도로망을 이용한 실제 도로거리를 산정하였다. 도로망은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도 서비스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로 뿐만 아니라 이면도로까지 포함하여 최단경로를 산정하여 주변 시설물, 도로현황, 지형구배 등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건강보험공단의 지역의료이용통계에 따르면 얼마나 병원이 도시에 집중되어 있는가? 이는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및 의료인력이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전반적인 의료이용의 접근성이나 이용도가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역의료이용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종합병원의 경우 90.4 %, 일반병원의 경우 85.2 %, 그리고 의원급병원의 경우 88.8 %가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이러한 도농간 의료자원 이용의 격차는 수도권의 집중화 현상과 불균형적 지역발전에 기인하였다 (Park, 2012).
농촌진흥청의 농촌생활지표 연구에서 분석한 농촌에서의 의료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농촌진흥청의 농촌생활지표 연구 (2013)에서 농촌에서의 의료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의료시설과의 지리적 접근성으로 분석되었다. 농촌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의료시설은 관내의 병 (의)원으로 전체의 68.
의료시설의 접근성 평가에서 1차 의료시설 접근성 수준은 양호하나 2, 3차 의료시설의 접근성은 크게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평창군에서 1차 의료시설은 대부분 양호하게 평가되었으며, 2차 의료시설과 3차 의료시설은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평창군 내에 1차 의료시설이 적정 수준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상급의료시설인 2차 혹은 3차 의료 시설의 경우 평창군 보다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나 원주시, 강릉시에 분포하고 있어 거리가 높게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dullah T., Clark A., Longenecker J. and C. Whitty, 2010. Physical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in Yeme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9(38): 1-8. 

  2. Bae, Y., 2012. Revitalization of Village Community Culture Centering around Villagers' Halls in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30: 163-189. 

  3. Brual J., Gravely-Witte S., Suskin N., Stewart D., Macpherson A., S. Grace, 2010. Drive Time to Cardiac Rehabilitation: at What Point does it Affect Util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9(27): 1-11. 

  4. Chin, H., M. Park, and D. Yoon, 2014. Evaluating Accessibilities to Village Community Centers via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57-69. 

  5. Ellen K. Cromley and Sara L. McLafferty, 2011. GIS and Public Health 2nd Edition. Guilford Publications. 

  6. Hwang, J. and D. Shin, 2013. A Long-term Follow-up Study on Rural Living Indicator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7. Hwang, S., 2012. Intensifying and Implication of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Rural Medical Service. Nonghyup Economic Research Institute. NHERI Weekly Brief. 2012.8.27. 

  8. Kim D., H. Yoon, J. Lee and H. Chae, 2014. Measurement of Inequal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Using Korea Health Pan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3): 33-38. 

  9. Kim, C., and P. Byeon, 2011. 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Strategy for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0. Kim, D., S. Yoon, S. Lee, B. Na and J. Park, 2012. Community resources organization plan for the health promotion of rural and fishery inhabitant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S., 2014.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Waling Behavior,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EQ-5D Result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A Multi-level Path Analysis with Complex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19(2): 99-126. 

  12. Kim, T., Y. Shin, J. Lee and K. Suh, 2013. Calculation of Regional Circuity Factors using Road Network Distanc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319-329. 

  13. Kim, Y., and G. Jeong, 2004. Study the Actual Condition of Medical Service in a Rural Community. Th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14(1):47-70. 

  14. Kong, I., 2010. Future Directions of Emergency Healthcare Polic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10): 838-840. 

  15. Lee, J., S. Cho and J. Hwang, 2013.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20(2): 431-450. 

  16. Lim, J., K. Lee, K. Kang, B. Na, Y. Lim, and H. Seo, 2007. Analysis of Emergency Medical Status and Supporting plan in Mountainous and Island Area .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Maeng, D., and N. Jang, 2010. Introduction of a neighborhood center by the restructuring of the central place system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Healthcare Policy. Available at: http://www.mw.go.kr 

  19. Mo, S., 1999. Marginalized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Aged Welfare Policy. 13:149-184.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Annual Report of Regional Medical Use. 20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1. OECD, 2012. OECD Health Care Quality Review: Korea -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Directorate for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22. Oh, K. and S. Jeong, 2013. GIS for Urban Spatial Analysis. Hanul academy books. 

  23. Park, K., 2012. Regional Disparities of Medical Use focusing on Spatial Dependence.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1(3):388-415. 

  24. Park, K., B. Na, and J. Lim, 2010.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Providing Health Care in Underserved Are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Shin, H. and S. Lee, 2011. Factors Affecting Spatial Distance to Outpatient Health Service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1(1): 23-43. 

  26. Waters H. R., 2000. Measuring Equity in Access to Health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27. Yim, S., and J. Park, 2013. The Policy of Local Tax Exemption for medical Institution focusing on sunset in 2013. Korea Institute of Local Fina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