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기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A Service Platform Development on the GIS-based Analysis and Management of the Fire-fighting Vulnerable Area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1 no.2 = no.28, 2015년, pp.269 - 278  

Song, Wanyoung (Institute of Spatial Technology Research, DAEWON Co.) ,  Cho, Kwanghyun (Institute of Spatial Technology Research, DAEWON Co.) ,  Cho, Myeongheum (Inha University) ,  Kim, Seonggon (Ziinconsulting Inc.) ,  Kim, Sungjae (Institute of Spatial Technology Research, DAEWON Co.)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방취약지 분석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자동화하고 소방주제도를 갱신 구축하여 온라인으로 탑재하는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플랫폼을 통하여 화재진압 활동에 필요한 사전 정보가 제공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 결과에 향후 소방취약지 활용서비스 연구가 뒷바침되면 화재진압 현장의 골든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방분야에 적합한 공간분석과 자동화, 손쉬운 서비스 탑재 운영으로 전문적 관리와 서비스 확대 개선에 만족할 만한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ed a service platform technology for automated that analyze the fire-fighting vulnerable area and equipped a map onlin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vulnerable area of the fire-fighting activity online. If progress on the study of the utilized s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이 연구에서 소방취약지 지도의 개발방법을 개발하고 유형별 지도제작을 마련하여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관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도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는 지역의 소방본부와 유관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데 현황정보를 정량화시키고 분석 가공하는 방법론을 실험하여 개발된 소방취약지 분석지도는 소방관의 인지능력 증대에 효과를 가져다 준다는 기대를 할 수 있었다(Choi et al.
  • 이 연구에서는 소방취약지 분석관리를 위한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자동화하고 소방주제도의 갱신 구축과 온라인으로 탑재하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다. GIS 기반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재난현장 대응 모형 서비스 운영체계가 개발되어, 소방 활동을 위한 취약지의 분석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 소방활동 취약지역을 찾아내도록 정보분석을 자동화 갱신한다면 온라인을 통해 소방기관 및 다양한 사용자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취약지역의 도출과 분석방안, 서비스 방안 등 소방취약지를 개선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분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웹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자동화하고 소방 주제도의 갱신 구축과 온라인 서비스로 탑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지역별 소방력 출동로의 구조적 접근장애를 가진 지점으로써 4m 이하의 도로 폭으로 인하여 소방차량의 진입이 어려운 도로 지점을 공간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소방차 접근불가 도로는 현행법상 소방도로에 대하여 어느 법령에서도 특별히 정의된 바가 없으며 건축법에서 도로의 기준을 4m 이상으로 하였으므로 소방도로 또한 4m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다만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10조 3항에서 주택단지에는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소방 자동차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통로를 설치하여 소방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 하고 있으므로 도로명주소 DB를 이용하여 4m 미만 도로를 추출하여 DB로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취약지 분석관리를 위한 플랫폼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소방취약지 분석관리를 위한 플랫폼은 공간정보 수집과 가공, 서버 운용, 웹서비스, 서비스이용 관리로 구성 된다. 개발된 소방취약지 지도 컨텐츠 서비스의 온라인 제공은 소방분야의 GIS 업무 특수성을 감안할 때 데이터의안전성 및 웹서비스 환경에서도 응답속도, 타 시스템과의 연계성, 향후 확장성을 반영할 수 있는 운영체계가 필요하였다.
지오데이터베이스란? 소방활동과 관련된 GIS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지오데이터베이스(Geodatabase)를 관리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였다. 지오데이터베이스는ESRI(Environ- 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에서 만든 공간데이터 포맷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공간정보의 제작 및 분석관리를 위하여 데이터 수정 및 편집, 공간분석, 화면 뷰, 지도 출력 등 도면정보를 제공하고 지도 제작을 위한 도구로 ArcGIS Desktop을 커스터마이징 하였다.
GIS 기반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의 기대효과는? GIS 기반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재난현장 대응 모형 서비스 운영체계가 개발되어, 소방 활동을 위한 취약지의 분석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플랫폼을 통하여 화재 진압 활동에 필요한 사전 정보가 제공되는 기반이 마련됨으로써 향후의 소방취약지 활용서비스 연구를 통한 화재진압 현장의 골든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소방분야에 적합한 공간정보기술 처리의 플랫폼 개발이 화재진압 골든타임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ong, W. Y., Cho, K. H., Kim, J. B., Kim, S. G., "Developing type of fire vulnerable area mapping 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2014, No.1, p297-298, 2014. 

  2. Choi, G. Y., Chang, E. M., Kim, S. G., Cho, K. H., "Utilization and Excavation Practices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2, No. 3, p.79-87, June 2014. 

  3. Song, W. Y., Cho, G. H., Kim, Y. M., Kim, S. G., "Developing Map display method on Fire vulnerable area using Level Of Detail"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Vol.2013, No.2, 2013. 

  4. Kim, S. G., Chang, E. Mi., Choi, G. Y., Kim, H. T., "Discussion on Formulation Process and Configuration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22. No.3, p71-77, June 2014. 

  5. Kim, S. J., Choi, G. Y., Chang, E. M., Song, W. Y., "Crafting Firefighting Vulnerability Class Maps Through GIS Analysis -A Case Study of Dalseo-gu, Daegu-"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5. 

  6. Song, W. Y., Kim, E. M., Sang, H. S., et al., "Development of Web-based Disaster Prevention GIS Platformand Application Service Models" Research Reports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107, 201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