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중첩기법을 이용한 소방서비스 취약지역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on Fire Service Zone using Map Overlay Method in GI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9 no.1, 2011년, pp.91 - 100  

이슬지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방서는 지역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공공기반시설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입지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접근성과 재난발생요소들을 고려하지 않는 소방서 입지는 편중된 소방서비스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안전 사각지대 해소 및 소방서비스의 균등한 제공을 위해 효율적인 소방서 입지를 위한 서비스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재난의 발생 기능성이 높은 취약지역을 최소화함으로서 효율적인 소방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소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화재 등 재난발생의 취약성을 나타내는 값을 색인화한 지도와 소방서의 서비스지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중첩분석을 통해 서비스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와 취약성을 나타내는 지도 사이의 공간적 분포의 불일치를 파악하고, 소방서비스의 취약지역을 도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 stations should be located in optimal location to act quickly in case of emergency and minimize damages as a public facility that protects life and property of local residents. Siting fire stations without regard for the accessibility and occurrence factors of an accident may provide fire ser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소방서의 입지 결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소방서비스의 취약지 역을 도출해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접근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역과, 위험요소를 고려한 재난발생의 위험도가 높은 지역 찾고, 소방서 비스-공급 지 역과 소방서 비스-수요지역의 중첩분석으로 공간적 분포에서 불일치가 일어나는 취약지 역을 도출해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 따라서 재난안전 사각지대 해소 및 소방서비스의 균등한 제공을 위해, 효율적인 소방서 입지를 위한서비스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시설물 중 소방관서의 입지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현재 소방관서의 소방서비스 수준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 이는 소방서비스의 사각지대 및 재난의 취약지역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소방관서의 신설시 입지결정에 이용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기준으로 취약성을 판별하였지만 위험요소가 될 수 있는 기준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요소들을 수정함으로서 신설 입지 분석에 따라 취약성 판별을 보완할 수 있겠다.
  • 레이어를 같은 위치를 기준하여 중첩하면 서비스 필요지역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소방시설 간에 공간적 불일치가 일어나는 지역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불일치지역이 곧 소방서비스 제공의 공간적 범위와 수요 분포와의 괴리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서비스사각지대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서의 입지에서 서비스 제공을 결정하는 접근성을 고려한 서비스 분석을 한다. 소방서 비스의 한정거 리는 접근성 모형에 근거하여 도로망 네트워크를 따라 그 거 리를 계산함으로써 단순 유클리디안 거 리가 아닌 도로망을 따라 해당 후보지로부터 이용자 간의 발생거리비용이 서비스 제공범위가 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뿐만 아니라 소방관서의 입지를 결정 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소방서비스를 분석한다. Cutter(1996)의 취약성 모델을 기초로 하여 소방서비스에 대한 취약성 색인 지도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데이터로서 공간적 분석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쉐이프파일을 GIS 레 이 어 로 활용하여 지 도화한다.

가설 설정

  • 위 입지모형에서 한정시간 내에서는 서비스의 가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면 급격히 감소함을 가정한다.
  • 토지용도별로 면적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 인 취약성 색 인 지도에서 집계구 단위로보간하기 위하여 출동건수가 아닌 단위면적(#)당 출동건수로서 재난발생률을 위험요소로 사용한다. 이는 지역적 보간시 같은 단위에서 분포는 동일함을 가정한다. 토지용도별 재난 발생 출동건수에서 해당 토지용도면적을 나눈 재난발생 X 건/W) 을구한다.
  • 불일치(spatial mismatching)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주거지와 직장의 공간적 불일치가 실직을 초래한다는 가정을 제시하였고, Gobilion 등(2003)에 의해서 가정을 이론으로서 공간적 불일치에 의한 악영향을 공간적거 리로 증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영, 김경환, 이성용 (2005), 도시지역 공공서비스시설의 수요예측과 적정 입지 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40권 6호, pp. 51-63. 

  2. 김황배, 김시곤 (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6권 3호, pp. 385-391. 

  3. 배미애 (2007), 빈곤계층과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연계성,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Vol.42, No.2, pp. 177-195. 

  4.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2010), 2010주요업무계획, p. 53. 

  5.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2009), 2009년 서울특별시 구조활동실적, p. 10. 

  6. Church, R. L. and Revelle, C. (1974), Th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Papers of the Regional Sci. Assocciation, Springer, Vol.32, No.1, pp. 101-118. 

  7. Cutter, S. L. (1996),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Hazard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SAGE, Vol.20, No.4, pp. 529-539. 

  8. Cutter, S. L. and Solecki, W.D. (1989), The national pattern of airborne toxic release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Willey Blackwell, Vol.41, pp. 149-161. 

  9. Gobillon, L., Selod, H. and Zenou, Y. (2003), Spatial Mismatch: From the Hypothesis to the Theories, IZA Discussion Paper, No. 693. 

  10. Hakimi, S. L. (1964), Optimum Locations of Switching Centers and the Absolute Centers and Medians of a Graph, Operations Research, JSTOR, Vol.12, No.3, pp. 450-459. 

  11. Hewitt. K. and I. Burton (1971), The Hazardousness of a Place: A Regional Ecology of Damaging Events,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p.154. 

  12. Kain, J.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JSTOR, Vol.82, No.2, pp. 175-197. 

  13. Malczewski, J. (2000), On the use of weighted linear combination method in GIS: common and best practice approaches, Transactions in GIS, Vol.4, No.1, pp. 5-22 

  14. Teitz, M. B. (1968), Toward a Theory of Urban Public Facility Location, Papers in Regional Science, Springer, Vol.21, No.1, pp. 35-51. 

  15. Toregas, C., Swain, R., ReVelle, C. and Bergman, L. (1971), The Location of Emergency Service Facilities, Operations Research, JSTOR, Vol.19, No.6, pp.1363-1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