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 아동의 긍정적 심리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중심으로
Exploring Positive Psychology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Focusing o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83 - 90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의연 (인하대학교 융합건강과학) ,  이지은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김광희 (휴스턴 대학교 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nd explore related factor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children at a diabetes camp. Data we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1형 당뇨병아동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탐색하고, 기존의 문헌 및 2A3C 모델 안에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관련 심리적 요인, 즉 사회적지지, 자아효능감, 스트레스 및 우울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아당뇨병캠프에 참여한 당뇨병아동을 대상으로 긍정적 심리요인인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탐색하고, 더불어 2A3C 모델 안에서 관련 있는 심리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논점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제1형 당뇨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탐색하고, 2A3C 모델을 활용하여 관련 요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결론적으로, 제1형 당뇨병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은 기존 문헌에서 제시한 다양한 대상군들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부정적인 심리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은 물론,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회적 지지와도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제1형 당뇨병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탐색하기 위한 단편적 서술 연구이며, 자료 수집은 2013년 1월 9일부터 11일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제1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아동 및 청소년으로서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일 대학병원에서 주관하는 당뇨병캠프에 참여한 자 중에 자가 보고가 가능한 최소 나이로 알려진 만 8세 이상에서부터(Ravens-Sieberer & Bullinger, 2001), 18세 미만의 남녀 아동 및 청소년이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기존에 제시된 모델들에서 긍정적 심리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제1형 당뇨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 건강모델, “Adaptation of adolescents and children with chronic conditions (2A3C) - Type 1 Diabetes Model을 제시하고자 한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1형 당뇨병은 무엇인가?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서 절대적인 인슐린 결핍상태에 이르게 되는 만성질환이다. 주로 아동 및 청소년에게 발생하여, 평생 동안 혈당 검사, 인슐린 주사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엄격한 생활습관 관리가 요구된다.
긍정적 심리요인이 만성질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부정적 심리요인뿐만 아니라, 긍정적 심리요인이 만성질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긍정적 심리요인이 임상에서 가지는 가치는 질환과 관련된 고통을 감소해 주는 것을 넘어서, 질환으로 인한 역경을 극복하고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건강한 아동 208명을 대상으로 초기 당뇨병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한 한 연구에 의하면, 긍정적 심리상태를 유지하는 아동은 더 날씬하고, 신체적 활동이 더 많으며, 인슐린 저항성도 더 낮고 대사관련 생리적 기능도 더 좋았다(Jeffery, Hyland, Hosking, & Wilkin, 2014).
역동적 상호작용 스트레스모델의 내용은 무엇인가? 모델에 대해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은 일차적으로 아동의 개인적 특성(질병상태, 발달연령 등), 가족(가족의 구성 및 역동 등), 환경(특히 학교와 같은)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 이어지는데 대처방식에는 건강행동, 대처전략, 인간관계(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관련된다.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의 결과로 부정적인 심리적 반응과 긍정적 심리적 반응, 신체적인 증상이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난다. 이는 마침내 아동의 삶의 질과 치료적 효과달성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끊임없는 피드백과정을 통해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아동의 발달연령이 높아지면서도 역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ojanowska, A., & Zalewska, A. (2011). Subjective well-being among teenagers of different ages: The role of emotional reactivity and social support from various sources. Studia Psychologiczne, 49, 5-21. http://dx.doi.org/10.2478/v10167-010-0037-5 

  2. Boo, S., Ahn, Y., Lee, Y., Kang, N., Kang, H., & Sohn, M. (in press). Diabetes specific quality of lif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Knowledge. 

  3. Cohen, S., Kamarch,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85-396. 

  4.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13 

  5. Faulstich, M. E., Carey, M. P., Ruggiero, L., Enyart, P., & Gresham, F. (1986). Assessment of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 evaluat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 (CES-DC).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3, 1024-1027. 

  6. Jaser, S. S., Patel, N., Rothman, R. L., Choi, L., & Whittemore, R. (2014). Check it! A randomized pilot of a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to improve adherence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Diabetes Educator, 40, 659-667. http://dx.doi.org/10.1177/0145721714535990 

  7. Jeffery, A. N., Hyland, M. E., Hosking, J., & Wilkin, T. J. (2014). Mood and its association with metabolic health in adolescents: A longitudinal study, EarlyBird 65. Pediatric Diabetes, 15, 599-605. http://dx.doi.org/10.1111/pedi.12125 

  8. Kim, J.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325-345. 

  9. Kim, U., Hong, C. S., Lee, J. G., & Park, Y. S. (2005). Factors influenc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llergy and asthma patient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11, 143-181. 

  10. Kim, E., Park, Y. S., Kim, U., Tsuda, A., Matsuda, T., & Deng, K.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well-being and perceived stress among Korean, Japanese,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 105-207. 

  11. King, K. A., Vidourek, R. A., Merianous, A. L., & Singh, M. (2014). A study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appiness & Well-being, 2, 132-144. 

  12. Korczak, D. J., Pereira, S., Koulajian, K., Matejcek, A., & Giacca, A. (2011). Type 1 diabetes mellitus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Evidence for a biological link. Diabetologia, 54, 2483-2493. http://dx.doi.org/10.1007/s00125-011-2240-3 

  1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New York: Springer. 

  14. Lee, S. H., & Kim, J. H. (2014, June). Increasing incidence of type 1 diabetes mellitu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12: Analysis of data from the Nationwide Registry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Endocrine Society's 96th Annual Meeting and Expo, Chicago. Retrieved Jannuary 10, 2015, from http://press.endocrine.org/doi/abs/10.1210/endo-meetings.2014. DGM.3.MON-0949 

  15. Liu, A., Park, I. S., & Moon, Y. S. (2010). Effects of perception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stress among school-aged children -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 334-343.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334 

  16.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 137-155. 

  17. McBroom, L. A., & Enriquez, M. (2009). Review of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health outcomes of children with Type I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35, 428-438. http://dx.doi.org/10.1177/0145721709332814 

  18. Park, J. O., & Seo, Y. S. (2010).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 611-629. 

  19. Piko, B. F., & Keresztes, N. (2006). Physical activity, psychosocial health, and life goals among youth.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1, 136-145. http://dx.doi.org/10.1007/s10900-005-9004-2 

  20. Pouwer, F., Geelhoed-Duijvestijn, P. H., Tack, C. J., Bazelmans, E., Beekman, A. J., Heine, R.J., et al. (2010).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s high in out-patients with type 1 or type 2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three out-patient clinics in the Netherlands. Diabetic Medicine, 27, 217-224. http://dx.doi.org/10.1111/j.1464-5491.2009.02903.x0 

  21. Proctor, C. L., Linley, P. A., & Maltby, J. (2009). Youth life satisf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583-630. http://dx.doi.org/10.1007/s10902-008-9110-9 

  22. Ravens-Sieberer, U., & Bullinger, M. (2001). Quality of life from a patient group perspective. In H. M. Koot & J. L. Wallander (Eds.), Quality of Life in Child and Adolescent Illness: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 New York: Harwood Academic Publishers. 

  23. Samaranayake, C. B., & Femando, A. T. (2011).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in Auckland, New Zealand. The New Zealand Medical Journal, 124, 12-17. 

  24. Senecal, C., Nouwen, A., & White, D. (2000). Motivation and dietary selfcare in adults with diabetes: Are self-efficacy and autonomous self-regulation complementary or competing constructs? Health Psychology, 19, 452-457. http://dx.doi.org/10.1037/0278-6133.19.5.452 

  25.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6. Shin, C. H. (2008).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ype 1 diabetes in children aged 14 years or under in Korea, 1985-2000.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Endocrinology, 51, 569-575. http://dx.doi.org/10.3345/kjp.2008.51.6.569 

  27. Whittemore, R., Jaser, S. Guo, J., & Grey, M. (2010). A conceptual model of childhood adaptation to type 1 diabetes. Nursing Outlook, 58, 242-25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0.05.001 

  28. Wong, D. F., Chang, Y., He, X., & Wu, Q. (2010). The protective functions of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of migrant workers in Shanghai,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6, 143-157. http://dx.doi.org/10.1177/0020764009102755 

  29.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