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캠프의 자가간호 교육이 제1형 당뇨병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care Education at a Diabetes Camp on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168 - 175  

강나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은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당뇨병 캠프에 참여한 1형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가간호 교육을 제공하고, 이 교육이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그리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단편적 서술연구로 인천지역 1개 대학병원에서 시행되었고, 대상자는 당뇨병 캠프에 참여한 제1형 당뇨병을 가진 만 8세-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편의추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임상적 변수를 포함하여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그리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을 자가보고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15명으로 평균 만 12 (${\pm}2.3$)세였고 여자가 53.3%로 약간 많았으며, 평균 HbA1c는 8.8 (${\pm}2.0$)%였다. 자가간호 교육 후, 당뇨관리행위($.56{\pm}.13$ vs $.60{\pm}.17$, p =.101)와 당뇨지식($70.2{\pm}15.7$ vs $71.6{\pm}14.7$, p =.606)은 점수가 향상하였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6.2{\pm}2.1$ vs $6.1{\pm}2.6$, p =.883)은 감소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자가간호 교육 후 향상된 당뇨관련 행위점수와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사회 심리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 본 결과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결론 당뇨병 캠프 안에서 자가간호 교육 제공은 제1형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당뇨에게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의 일부 영역을 향상시켰다. 앞으로 이러한 아동들의 다양한 건강 요구를 반영하면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개발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tudy purposes were to exam effects of self-car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on their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was a one group qua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게다가 당뇨병 캠프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 중심의 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평가 영역에 있어서도 당뇨관리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당뇨관리행위 및 당뇨지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뇨병 캠프에서 이루어진 자가간호 교육에 참여한 아동 및 청소년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자아효능감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당뇨병 캠프에 참여한 제1형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가간호 교육의 참여가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당뇨 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 캠프에서 이루어진 자가간호 교육이 제1형 당뇨병을 가진 아동 및 청소년에게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단일 집단 사전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1형 당뇨병을 가진 아동을 위한 당뇨병 캠프에서 이루어진 자가간호교육이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자가간호 교육은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지는 못하였으며, 당뇨관리행위의 향상 점수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되었던 임상적 변수와도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를 위한 간호교육은 기존 문헌에서 당뇨병 자가 관리의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알려져 있는(ADA, 2013; International Society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Diabetes [ISPAD], 2011)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캠프에 참여한 대상자의 30여명의 연령은 만6세에서 15세까지 다양하였는데, 성별과 연령대가 다양한 아동으로 4개의 조를 구성하고, 모든 프로그램을 조별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캠프에 참가한 아동은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당뇨병 캠프는 효과적인 당뇨관리를 위한 행동변화의 추구 및 사회성 고양을 목적으로 192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ADA, 2012), 이후 전 세계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캠프에 참가한 아동은 안전이 보장된 공간에서 여러 가지 경험을 즐기며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사회 심리적 지지를 얻을 수 있다(Cheung, Young Cureton, & Canham, 2006). 당뇨병 캠프의 주요 구성 프로그램으로는 자가간호, 심리 상담, 놀이, 운동, 영양 교육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당뇨관리에 있어 이러한 다학제적인 접근은 아동의 건강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Kienle, Meusers, Quecke, & Hilgard, 2013; Wigert & Wikström, 2014).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말초 조직 내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질병 군으로써 크게 제1형, 제2형 그리고 기타 종류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로 인슐린 결핍이 주원인이며 주로 아동에게서 발생하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인슐린 투약이며 평생 식이조절과 운동 등의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각별한 활동이 요구된다(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2013).
제1형 당뇨병의 주원인과 치료법은?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말초 조직 내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질병 군으로써 크게 제1형, 제2형 그리고 기타 종류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로 인슐린 결핍이 주원인이며 주로 아동에게서 발생하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인슐린 투약이며 평생 식이조절과 운동 등의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각별한 활동이 요구된다(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2). Diabetes management at camps for children with diabetes. Diabetes Care, 35, 72-75. http://dx.doi. org/10.2337/dc12-s07 

  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3, November 30).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diabetes.org/living-with-diabetes/parents-andkids/ ada-camps/?locDropDownIMC-camp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3).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 betes. Diabetes Care, 36, s11-s66. http://dx.doi.org/10.2337/dc13-S011 

  4. Boo, S. J., Ahn, Y. M., Lee, J. E., Kang, N. R., Kang, H. S., & Sohn, M. (2013). Psychometric evaluation of diabetes specific quality of lif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5. Cheung, R., Young Cureton, V., & Canham, D. L. (2006).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ho participate in diabetes camp.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2, 53-58. http://dx.doi.org/10.1177/1059840 5060220010901 

  6. Fitzgerald, J., Funnell, M. M., Hess, G. E., Barr, P. A., Anderson, R. M., Hiss, R. G., et al. (199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diabetes knowledge test. Diabetes Care, 21, 706-710. http://ejournals.ebsco.com/ direct.asp?ArticleID427781FB93756AAFA27B 

  7. Iannotti, R. J., Schneider, S., Nansel, T. R., Haynie, D. L., Plotnick, L. P., Clark, L. M., et al. (2006).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diabetes self-management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27, 98-105. http://dx.doi.org/0196- 206X/06/2702-0098 

  8. Iannotti, R. J., Nansel, T. R., Schneider, S., Haynie, D. L., Simons-Morton, B., Sobel, D. O., et al. (2006). Assessing regimen adherence of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Diabetes Care, 29, 2263-2267. http://dx.doi. org/10.2337/dc06-0685 

  9. International Society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Diabetes. (2011). Global IDF/ISPAD guideline for diabet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idf.org/sites/default/files/Diabetes- in-Childhood-and-Adolescence-Guidelines.pdf 

  10. Kim, S. S. (1997). An effect of the health camp program for promoting self-efficacy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8, 102-115. 

  11. Kienle, G. S., Meusers, M., Quecke, B., & Hilgard, D. (2013). Patient-centered diabetes care in children: An integrated, individualized, systemsoriented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 12-19. http://dx.doi.org/10.7453/gahmj.2013.005 

  1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9). Diabetes camp guide book.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pds/file/ camp_guide.pdf 

  13. Mancuso, M., & Caruso-Nicoletti, M. (2003). Summer camp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cta Bio-medica, 74, 35-37. 

  14. Rhee, B. D. (2003).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ellitus among Korean pop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7, 173-179. 

  15. Shin, C. H. (2008).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ype 1 diabetes in children aged 14 years or under in Korea, 1985-2000.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 569-575. 

  16. The DIAMOND Project Group. (2006). Incidence and trends of childhood Type 1 diabetes worldwide 1990-1999. Diabetic Medicine, 23, 857-866. http://dx.doi.org/ 10.1111/j.1464-5491.2006.01925.x 

  17. Wigert, H., & Wikstrom, E. (2014). Organizing person-centred care in paediatric diabetes: multidisciplinary teens, long-term relationship and adequate documentation. BMC Research Notes, 3, 72. http://dx.doi. org/10.1186/1756-0500-7-72 

  18. Yoo, J. H., Han, K. J., Choe, M. A., & An, H. Y. (1997). Effect of diabetic camp program on the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diabetic chil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3, 19-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