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당뇨병 아동 관리 현황
School Nurses' Manage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76 - 182  

강희숙 (인하대학교 융합건강과학) ,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은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purposes were to explore school nurses' experience, perceived barriers, and education needs in diabetes management at school.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tudy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conveniently at continuing education seminars for school nurs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천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 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당뇨병관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하며 당뇨병관리를 위한 보건교사의교육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다음의 세 가지 논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일차적 중심역할을 할 수 있는 보건교사들의 당뇨병 관리 관련 현황과 요구도 파악이 우선시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 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관리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관리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일차적 중심역할을 할 수 있는 보건교사들의 당뇨병 관리 관련 현황과 요구도 파악이 우선시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 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관리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관리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학교에서는 당뇨병 아동을 위해 어떤 환경을 제공하는가? 학교에서는 당뇨병 관리지침을 바탕으로 당뇨병을 가진 학생을 위해 가족, 의료인, 학교가 함께 당뇨관리를 계획하고 교육하여 안전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고 있다(Bobo, Kaup, McCarty, &Carlson, 2011; Swift, 2009). 예를 들어, 학교 내 인력별 당뇨병 관리정책을 살펴보면 크게 학교행정가, 일반 교사, 보건교사 및 기타인력으로 구분되어 설명하고 있으며, 당뇨병 관리를 위해 보건교사는 물론이고,의료인이 아닌 일반교사를 위해서도 당뇨관리 지침과 훈련을 위한 교육자료 등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학교 내 관리자를 위한 정보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당뇨병 정보가 담긴 교육안과 당뇨병 교육 키트를 제공하여 학교 내 다양한 구성원들을 위한 교육에 어려움이 없도록체계화 되어 있었다. 특히,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의료용품을 구하기에어려움이 없도록 약국과 병원, 정부지역의료기관 및 부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당뇨병 관리용품 및 소모품의 제조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exas Diabetes Council, 2005).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고혈당이 초래되는 만성질환으로 인슐린의 분비가 되지 않거나 분비된 인슐린의 부적절한 작용으로 인해 체내 당대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질환이다. 아동 및 청소년에게는 주로 제1형 당뇨병이 발생하게 되는데,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 당뇨병환자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57.
당뇨병 아동을 위해 학교에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제1형 당뇨병의 경우 혈당관리를 위해서는 인슐린 주사가 반드시 필요한데, 최근에는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늦추는데 있어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는 1일 4회 이상의 혈당 측정 및 인슐린을 주사하는 인슐린 집중주사 방법이 선호된다(Donaghue, Chiarelli, Trotta, Allgrove, & Dahl-Jorgensen, 2009). 따라서 대부분의 당뇨병 아동이 학교에서의 혈당 측정과 인슐린 주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또래 친구와 교사에게 질병을 알려야 하고, 혈당검사와 투약을 위한 장소를 필요로하며, 만약의 응급상황에 대한 보건교사의 관리 역량까지 요구된다. 당뇨병 아동이 경험하게 되는 학교 내 응급상황은 주로 심각한 저혈당과 고혈당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len, K., Henselman, K., Laird, B., Quinones, A., & Reutzel, T. (2012). Potential life-threatening events in schools involving rescue inhalers, epinephrine autoinjectors, and glucagon delivery devices: Reports from school nurse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8(1), 47-55. http://dx.doi.org/10.1177/1059840511420726 

  2. Bobo, N., Kaup, T., McCarty, P., & Carlson, J. P. (2011). Diabetes management at school: Application of the healthy learner model.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7(3), 171. http://dx.doi.org/10.1177/1059840510394190 

  3. Donaghue, K. C., Chiarelli, F., Trotta, D., Allgrove, J., & Dahl-Jorgensen, K. (2009). Microvascular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 Diabetes, 10(Suppl 12), 195-203. 

  4.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4). Annual plan for school health and sex education. Retrieved March 1, 2015 from http://kl.ice.go.kr/icepart/05/edupds.asp?mode view&page1&idx223744&bidJ03 

  5. Joshi, A., Komlodi, A., & Arora, M. (2008). School nurses' perceived barriers to diabetes Knowledg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School Nurse News, 25(3), 24-29. 

  6. Kang, N., Ahn, Y., Lee, J. E., & Sohn, M. (2014). Effect of self-care education at a diabetes camp on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 168-175. http://dx.doi.org/10.4094/chnr.2014.20.3.168 

  7. Klingensmith, G., Kaufman, F., Schatz, D., & Clarke, W. (200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are of children with diabetes in the school and day care setting. Diabetes Care, 26(Suppl 1), S131-S135. 

  8.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2).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Retrieved March 1, 2015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index.html 

  9.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3). Diabetes education guide. Retrieved March 1, 2015 from http://www.diabetes.or.kr/pro/publish/guide_2013.php?modelist 

  10.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0). National statistics of teachers. Retrieved March 1, 2015 from https://kess.kedi.re.kr/mobile/stats/school?menuCd0101&cd257&survSeq2010&itemCode01&menuId m_010103_04_01010405&uppCd101010304&uppCd201010405&flagA 

  11. Ly, T. T., Maahs, D. M., Rewers, A., Dunger, D., Oduwole, A., & Jones, T. W. (2014). ISPAD clinical practice consensus guideline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hypoglyce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Pediatric Diabetes, 15(Suppl 20), 180-192. http://dx.doi.org/10.1111/pedi.12174 

  12. Moon, K. N., Jung, J. H., Pae, H. S., Seo, B. S., & Joo, D. J. (2010). Child health behaviors and health education about atopic dermatitis in Ulsan area. The Journal of Korea Health Education, 11, 135-148 

  13. Newbould, J., Francis, S. A., & Smith, F. (2007).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managing asthma and diabetes at school.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2, 1077-1081. http://dx.doi.org/10.1136/adc.2006.110536 

  14. Oh, O. W. (2005). School nurses' knowledge, educational needs and providing education about internet addi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 405-414. 

  15. Park, S. H., Kang, H. S., Hwang, S. Y., Sun, Y. L., & Lee, J. Y. (2013). Insulin self-injection in school by children with type 1 DM.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17, 224-229. 

  16. Seo, H. J., & Lee, W. Y. (2009). Pilot and feasibility study of a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thm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1), 1-16. 

  17. Shin, S. R., Lee, C. O., & Jeong, G. C. (2013). Effect of a smoking cessation motivational program for adolesc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2), 130-139.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130 

  18. Swift, P. G. (2009). Diabetes educ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 Diabetes, 10, 51-57. http://dx.doi.org/10.1111/j.1399-5448.2009.00570.x 

  19. Texas Diabetes Council. (2005). Guidelines for training school employees who are not licensed healthcare professionals. Retrieved March 1, 2015 from http://www.texasdiabetescouncil.org 

  20. Wang, Y. L., Brown, S. A., & Horne, S. D. (2010). School-based lived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8(4), 258-265.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1fbe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