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eir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ir Mothe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07 - 114  

이현주 (이화여대부속 목동병원)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희승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mothers of these childre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성인이나 청소년,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의 영향은 여러 선행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을 확인하고,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아동의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또한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의 어머니에게도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과 더불어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교육을 실시하고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이 높았던 과잉-산만 문제행동을 갖고 있는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에게 집중적인 관심을 갖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활발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관련된 아동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을 고찰함으로써 간호학적 측면에서 관심이 미흡했던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학령 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문제 행동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같은 가족적 요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변인으로 아동의 문제행동과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은 아동의 과잉-산만한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uhammad와 Tariq(2013)는 스마트폰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무엇을 지적하였나? 스마트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Muhammad와 Tariq (20 13)는 스마트폰이 아동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여 아동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고, 시력 저하 및 아동의 뇌 발달에 유해하다고 하며 아동발달상 스마트폰의 위험성을 지적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의 운영체계는 직관과 이미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어 학령전기 아동처럼 어린 아동에게 중독의 위험성이 더 높고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한 아동은 문제행동을 나타낼 위험이 있다(Lee, H.
아동은 행동의 자가통제가 어려워 인터넷 중독이 성인보다 더 높다는 통계적 근거는? 아동은 발달특성상 성인과 달리 행동의 자가통제가 어려워 인터넷 사용 시 중독의 위험이 높다. 2012년 국내 인터넷 중독 조사 보고에 따르면, 만 5-9세 아동의 인터넷 중독률이 7.3%로 성인의 중독률 6.0%보다 높았다(NIA, 2013). 스마트폰의 경우는 아직 어린 아동에 대한 스마트폰 중독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스마트폰 중독률을 확인하기 어려우나, 인터넷 중독과 유사하게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어떤 사회적 변화로 부모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실내놀이와 교육을 선호하게 되었나?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는 부모가 아동의 교육과 놀이를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최근 각 가정의 자녀수 감소로 인한 놀이친구의 감소와 아동대상 범죄가 증가하는 사회적 변화는 아동의 놀이에도 영향을 미쳐 부모는 또래와의 바깥놀이 보다는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한 실내놀이와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Sim, 2009). 이러한 스마트폰에 대한 긍정적인 부모의 태도는 우리나라 아동의 스마트폰 이용률에 반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g, H. K., & Kim, N. H. (2013). A study of five-year-old children's smart phone game overindulgenc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6), 43-64. 

  2. Behar, L., & Stringfield, S. (1974). A behavior rating scale for the preschool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10(5), 601-610. 

  3. Cho, G. Y., Eo, Y. S., & Ahn, M. S. (2010).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hild-rearing stress and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in preschool children'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2), 136-143.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2.136 

  4. Cho, K. J., Lee, M. H., & Ji, E. S. (2008). The effects of group meridian massage in infant' growth and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lf-efficacy in their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3), 252-260. 

  5. Cho, Y. S., & Lee, Y. H. (200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ing self-efficacy scale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4), 97-112. 

  6. Dimonte, M., & Ricchiuto, G. (2006).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s, 58(4), 357-363. 

  7. Gong, Y. S., & Lim, J. Y. (2012). The effect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preschooler's problem and prosocial behavior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ol executive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2), 351-376. 

  8. Hong, K. J., Ahn, H. Y., & Kim, H. W. (2004). Influence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 in corporal punishment on physical abuse of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4), 479-487. 

  9. Hyun, E. J., Cho, M. M. H., Cho, K. S., & Kim, T. Y. (2013).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3), 207-225. 

  10. IT Statistics of Korea. (2014).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smartphone. Retrieved October 31, 2014, from http://www.itstat.go.kr/stat.it?no1149 

  11.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12. Jung, K. S., Kim, M. J., & Ha, E. S.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happiness, parenting efficacy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73-97. 

  13. Kim, D. H., Lee, K. E., Lee, Y. J., Cha, S. H., Lim, S. H., Won, C. Y., et al.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7(1), 105-112. 

  14. Kim, J. S. (1999).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ir socio-emotiona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Y. A., Lee, J., Moon, S. J., Kim, Y. J., & Oh, K. J. (2009).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1), 117-136. 

  16. Kwon, Y. H. (2013).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peer victimization.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2(3), 391-404. 

  17. Langhinrichsen-Rohling, J., Rohde, P., Seeley, J. R., & Rohling, M. L. (2004). Individual, family, and peer correlates of adolescent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0(1), 23-46. 

  18. Lee, H. S. (2013). The policy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for young children and adolescents. Policy seminar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for young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9. Lee, J. R. (2013). Current status and protective measures of young children's exposure to media device.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 Lim, W. S. (2006). Preschool adjustment in ADH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Muhammad, S., & Tariq, R. S. (2013). Impact of smartphone's on society. European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98(2), 216-226. 

  2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a).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b). Third standardization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Internet addiction statistics 2012.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5. Oh, S. H., & Ha, E. H. (2014).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1), 17-35. 

  26. Shin, S. J. (1998).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hild Studies, 19(1), 27-42. 

  27. Sim, S. Y. (2009). Children's play and new media game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3(1), 107-129. 

  28. Seo, M. Y., & Lim, E. M. (2010). Infants' and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4), 163-175. 

  29. Wang, H., Zhou, X., Lu, C., Wu, J., Deng, X., & Hong, L. (2011). Problematic internet use in high school students in Guangdong province, China. PLoS One, 6(5), e1966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196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