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수술 전 환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mart Phone Individualized Distraction Intervention on Anxiety in Pre-Op Pediatric Pati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68 - 175  

이경아 (강릉아산병원) ,  권미경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임지은 (강릉아산병원) ,  표창옥 (강릉아산병원) ,  박찬숙 (강릉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individualized distraction intervention using a smart phone affected pre-op anxiety of children. Methods: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3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환아의 수술 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수술 전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행동적 불안반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행동적 불안 반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불안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환아의 수술 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술을 앞둔 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2-6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여 수술 전 환아의 생리적 불안과 행동적 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수술 환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이 예정된 아동에게 수술실 입실부터 마취 직전까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수술을 경험하는 아동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수술 전 아동의 불안관리에 대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심전환 중재는 무엇인가? 관심전환 중재는 환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고통스러운 사고로의 주의집중을 감소시키는 인지적, 행동적 대처전략으로 (Murphy, 2009) 아동의 절차 관련 통증이나 불안을 경감하기 위해 건강관리제공자나 부모 모두가 손쉽게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다(Koller & Goldman, 2012; Murphy, 2009).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환아의 수술 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가 환아의 수술 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수술 전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행동적 불안반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행동적 불안 반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불안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별화된 관심전환 중재는 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수술 전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매우 긍정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입원이라는 환경도 아동에게는 낯설고 불안을 야기하는데 수술이라는 또 다른 환경적 변화는 부모와의 격리까지 경험하게 되면서 더욱 더 불안을 가중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기에 수술 전 아동들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한 임상 현장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간호 실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을 앞둔 아동에게서 관찰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아동은 수술실에 들어가면 부모와 가족으로부터 떠나온 공포감, 각종 의료기구나 소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 생소한 환경, 이상한 옷차림과 마스크를 쓴 낯선 사람들 등 여러 가지 위협적이고도 놀라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특히, 수술을 앞둔 아동의 경우는 신체적 상해와 부모와의 분리 및 능력의 상실로 성인보다 더욱 불안을 느끼게 되고 수술 전 불안한 표정과 울음으로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며, 혈압과 호흡수가 갑자기 증가하는 등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g, K. S., Kwon, M. K., Kim, J. S., Kim, H. A., Kim, H. S., Nam, M. J., et al. (2014). Child health nursing. Seoul: Jeongdam media. 

  2. Hye, W. H., Seo, J. O., Lee, Y. S., Park, J. H., Nam, S. Y., & Hye, S. M. (2003). Effect of nursing information on injection fear in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Hanyang University, 8(2), 73-84. 

  3. Im, E. S., & Kim, J. S. (2014). Distraction techniques for children undergoing procedures: A critical review of Korean intervention research.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340-349.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340 

  4. Justus, R., Wyles, D., Wilson, J., Rode, D., Walther, V., & Lim-Sulit, N. (2006). Preparing children and families for surgery: Mount Sinai's multi disciplinary perspectiv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32(1), 35-45. 

  5. Kain, Z. N., Mayes, L. C., Caldwell-Andrews, A. A., Karas, D. E., & Mc- Clain, B. C. (2006). Preoperative anxiety, Postoperative pain, and behavioral recovery in young children undergoing surgery,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8(2), 651-658. 

  6. Kain, Z. N., Mayes, L. C., Cicchetti, D. V., Caramico, L. A., Spieker, M., Nygren, M. M., et al. (1995). Measurement tool for preoperative anxiety in young children: The Yale preoperative anxiety scale. Child Neuropsychology, 1(3), 203-210. 

  7. Kain, Z. N., Mayes L. C., O'connor, T. Z., & Cicchetti D. V. (1996).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Predictors and outcome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0(12), 1238-1248. 

  8. Kain, Z. N, Mayes, L. C., O'connor, T. Z., Cicchetti, D. V., Bagnall, A. L., Finley, J. D., et al. (1997). The Yale preoperative anxiety scale: How does it compare with a "gold standard"? Pediatric Anesthesia, 85, 783-788. 

  9. Kerimoglu, B., Neuman, A., Paul, J., Stefanov, D., & Twersky, R. (2013). Anesthesia induction using video glasses as a distraction tool for the management of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nesthesia and Analgesia, 117(6), 1373-1379.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2a8c18f 

  10. Kim, J. S. (2009). Effects of therapeutic play program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preschool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2(2), 119-130. 

  11. Kim, Y. H., & Lee, H. Z. (2002). The effects of informational intervention on postoperative pain following tonsillectomy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4), 400-413. 

  12. Koller, D., & Goldman, R. D. (2012). Distraction techniques for children undergoing procedures: A critical review of pediatric research.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7, 652-681. http://dx.doi.org/10.1016/j.pedn.2011.08.001 

  13. Koo, H. Y. (2011). Educational needs for children and parents regarding children's cell phone us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96-305.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296 

  14. Koo, H. Y., Cho, Y. J., Kim, O. H., & Park, H. R. (2007). The effects of information using photographs on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3), 273-281. 

  15. Lee, J. H., Jung, H. K., Lee, G. G., Kim, H. Y., Park, S. G., & Woo, S. C. (2013). Effect of behavioral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for preoperative anxiety in ped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65(6), 508-518. http://dx.doi.org/10.4097/kjae.2013.65.6.508 

  16. Lee, M. H., Yun, E. K., & Han, S. S. (2010). Effects of video-based adenotonsillectomy education on anxiety in pediatric patients and mothers and on the sick-role behavior of ped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Health Promotion, 10(1), 1-9. 

  17. Murphy, G. (2009). Distraction techniques for venepuncture: A review. Pediatric Nursing, 21(3), 18-21. http://dx.doi.org/10.7748/paed2009.04. 21.3.18.c7030 

  18. Patel, A., Schieble, T., Davison, M., Tran, M. C. J., Schoenberg, C., Delphin, E., et al. (2006). Distraction with a hand-held video game reduces pediatric preoperative anxiety. Pediatric Anesthesia, 16, 1019-1027. http://dx.doi.org/10.1111/j.1460-9592.2006.01914.x 

  19. Shier, D., Butler, J., & Lewis, R. (1996). Hole's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7th ed.). NewYork, NY: McGraw-Hil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