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growth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a better care of chronic and other degenerative illnesses is urgently needed. Evidences suggest that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care options, expanding beyond medical interven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대상집단에 따라 분류된 최종 도출과제들을 앞서 언급한 건강에 대한 관점과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류한 후, 현 NTIS에 등록된 건강 관련 과제들의 연구과제 수와 연구비의 분포가 어떠한 경향성을 갖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단순히 과학기술표준분류나 한 연구관리기관의 분류표준을 따르기보다는 과제의 성격을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분류작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틀은 보건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건강을 보는 관점과 연구의 목적을 중심으로 하였다. 먼저 전자는 크게 생의학적 관점, 심리·행태적 관점, 사회·생태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25].
  • 본 연구에서는 최종 도출된 1,844개의 과제가 어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과제의 대상집단에 따라 만성질환·고령화/노화·장애·건강증진으로 구분1)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보건의료 research and development (R&D)사업 중 중장기적 관리를 필요로 하는 노화/고령화, 장애, 만성질환에 관련되는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현 R&D 과제 분포와 투자현황을 점검하고, 미래의 상에 비추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한편 연구비 규모나 과제의 배분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어떤 특정한 카테고리에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적정한지는 본 연구에서 결론을 내릴 수도 없고, 그것이 본 연구의 목적도 아니다. 그러나 특히 만성질환이나 고령화/노화 및 장애와 같은 만성적 상태를 가지고 있는 인구집단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우리 사회에 존재한다면 그러한 유용한 도구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도 현명한 정책의 방향이 될 수 있겠다.
  • 한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질병 등에 대한 병인론을 이해하고자 하는 문제중심, 질병에 대한 개입으로 병을 해결하고자 하는 해결중심, 특별한 개입에 대한 고려보다는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거나 기획을 수행하는 제도/조직,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나 사업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평가[28]로 구분하였다. 해결중심은 보건학적 개입의 시점으로서 건강증진과 예방, 치료, 재활로 나누어 구분하였다[29-3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가 구축한 혁신적 만성질환관리는 어떤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가? 유럽 각 나라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케어의 중심을 가정에 가까운 지역사회로 옮기고, 건강의 생의학적 요인뿐 아니라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탐구하여 그에 대한 개입을 시도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고 보건의료시스템의 효율성 또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7,8]. 특히 WHO가 만성질환관리모형(chronic care model)을 국제적으로 적용하여 구축한 ‘혁신적 만성질환관리’(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s) 체계[9]에서는 지역사회와 정책적 측면으로 만성질환관리를 확장함으로써 개인과 가족의 미시적 수준(micro level)과 지역사회와 조직의 중위적 수준(meso level) 및 정책의 거시적 수준(macro level)의 요소들을 포함한다[10]. 즉 미시-중위-거시 수준을 통합하는 건강관리가 필요하다는 관점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분류한 만성질환의 예방에서 실행단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iton, WHO)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을 계획과 실행단계에서 각각 3단계로 분류하여 제시했는데, 실행단계에서 국가적 및 준국가적(sub-national) 차원의 개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6]. 유럽 각 나라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케어의 중심을 가정에 가까운 지역사회로 옮기고, 건강의 생의학적 요인뿐 아니라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탐구하여 그에 대한 개입을 시도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고 보건의료시스템의 효율성 또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7,8].
만성질환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러한 개입전략은 의료기술의 고도화 등을 불러오는 강점이 있으나, 질병의 발생 이전에 이를 예방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하는 효율성의 측면, 그리고 질병의 발생과 그 치료에 따르는 환자의 삶의 질의 악화라는 측면에서 비판을 받는 경향이 있다[3,4]. 질병 중에서 특히 만성질환은 적절한 관리를 통해 예방을 한다면 추후에 의료적 치료로 인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Lee SY. The impact of health care system on health care performance in Korea. J Soc Sci 2013;24(4):271-293. 

  2. Neumann PJ, Sandberg EA. Trends in health care R&D and technology innovation. Health Aff (Millwood) 1998;17(6):111-119. DOI: http://dx.doi.org/10.1377/hlthaff.17.6.111. 

  3. Puts MT, Monette J, Girre V, Wolfson C, Monette M, Batist G, et al. Quality of life during the course of cancer treatment in older newly diagnosed patients: results of a prospective pilot study. Ann Oncol 2011;22(4):916-923. DOI: http://dx.doi.org/10.1093/annonc/mdq446. 

  4. Bianchi G, Loguercio C, Sgarbi D, Abbiati R, Chen CH, Di Pierro M, et al. Reduc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effects of interferon treatment. Dig Liver Dis 2000;32(5):398-405. DOI: http://dx.doi.org/10.1016/s1590-8658(00)80260-1. 

  5. Asaria P, Chisholm D, Mathers C, Ezzati M, Beaglehole R. Chronic disease prevention: health effects and financial costs of strategies to reduce salt intake and control tobacco use. Lancet 2007;370(9604):2044-2053.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7)61698-5. 

  6. Epping-Jordan JE, Galea G, Tukuitonga C, Beaglehole R. Preventing chronic diseases: taking stepwise action. Lancet 2005;366(9497):1667-1671.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7342-4. 

  7. Stokols 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healthy environments: toward a social ecology of health promotion. Am Psychol 1992;47(1):6-22.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47.1.6. 

  8. Mittelmark MB. Promoting social responsibility for health: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healthy public policy at the community level. Health Promot Int 2001;16(3):269-274. DOI: http://dx.doi.org/10.1093/heapro/16.3.269. 

  9. World Health Organization.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s: building blocks for ac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10. Epping-Jordan JE, Pruitt SD, Bengoa R, Wagner EH.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for chronic conditions. Qual Saf Health Care 2004;13(4): 299-305. DOI: http://dx.doi.org/10.1136/qhc.13.4.299. 

  11. Israel BA.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implications for natural helper and community level interventions. Health Educ Q 1985;12(1):65-80. DOI: http://dx.doi.org/10.1177/109019818501200106. 

  12. Lorig KR, Ritter PL, Gonzalez VM. Hispanic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 randomized community-based outcome trial. Nurs Res 2003;52(6):361-369.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31100 0-00003. 

  13. Weissert WG, Lesnick T, Musliner M, Foley KA. Cost savings from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Arizona's capitated Medicaid long-term care program. J Health Polit Policy Law 1997;22(6):1329-1357. 

  14. Sinanovic E, Floyd K, Dudley L, Azevedo V, Grant R, Maher D. Cost and cost-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care for tuberculosis in Cape Town, South Africa. Int J Tuberc Lung Dis 2003;7(9 Suppl 1):S56-S62. 

  15. Okello D, Floyd K, Adatu F, Odeke R, Gargioni G. Cost and cost-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care for tuberculosis patients in rural Uganda. Int J Tuberc Lung Dis 2003;7(9 Suppl 1):S72-S79. 

  16. Park E. Analysis of community health status and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and social indicato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8;19(1):13-26. 

  17. Jeon B, Lee H, Shon C, Kim N, Kim A, Park J, et al. The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rural aged population.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9;34(1):13-23.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09.34.1.013. 

  18. Jung MS, Cho BH.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Health Soc Sci 2007;22:153-182. 

  19. Won JI. Necessity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ystem after stroke. J Korea Contents Assoc 2008;8(1):16-26. DOI: http://dx.doi.org/10.5392/jkca.2008.8.1.016. 

  20. Kim KW, Kim HG. Macro analysis of factors impacting on the elderly's suicide r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Korea Gerontol Soc 2011;34(3):31-54. 

  21. Minkler M, Blackwell AG, Thompson M, Tamir H.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funding. Am J Public Health 2003;93(8):1210-1213. DOI: http://dx.doi.org/10.2105/ajph.93.8.1210. 

  22. Horowitz CR, Robinson M, Seifer 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rom the margin to the mainstream: are researchers prepared? Circulation 2009;119(19):2633-2642.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7.729863. 

  23. Yoo SH. Health promotion research on community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building: current emphases and direction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9;26(4):83-90. 

  24. Song CH, Seol SS. A study on the problems of current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J Korea Technol Innov Soc 2006;9(3):496-513. 

  25. Stokols D. Translating social ecological theory into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Am J Health Promot 1996;10(4):282-298. DOI: http://dx.doi.org/10.4278/0890-1171-10.4.282. 

  26. Putnam S, Galea S. Epidemiology and the macro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J Public Health Policy 2008;29(3):275-289. DOI: http://dx.doi.org/10.1057/jphp.2008.15. 

  27. Linnan LA, Sorensen G, Colditz G, Klar DN, Emmons KM. Using theory to understand the multiple determinants of low participation in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 Behav 2001;28(5):591-607. DOI: http://dx.doi.org/10.1177/109019810102800506. 

  28. Hanney SR, Gonzalez-Block MA, Buxton MJ, Kogan M. The utilisation of health research in policy-making: concepts, examples and methods of assessment. Health Res Policy Syst 2003;1(1):2. 

  29. Shi L, Singh DA. Essentials of the U.S. health care system.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1. 

  30. Lemogoum D, Degaute JP, Bovet P. Stroke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 sub-saharan Africa. Am J Prev Med 2005;29(5 Suppl 1):95-101. 

  31. Miller TD, Balady GJ, Fletcher GF. Exercise and its role in the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n Behav Med 1997;19(3): 220-229. 

  32. Marlatt GA, Witkiewitz K. Harm reduction approaches to alcohol use: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Addict Behav 2002;27(6): 867-886. 

  33. Moon SJ, Yang SK, Lee KR.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research cost according to the distinctive quality of project. Korean J Bus Admin 2006; 19(3):1093-1117. 

  34. Clark NM.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by patients. Annu Rev Public Health. 2003;24:289-313. 

  35. Hong D, Seo HJ, Kang KH, Kim EJ, Im JS, Oh DK, et al. Impact of registration program after hypertensive or diabetic patient detection through community partnership on compliance and blood pressure or blood sugar control.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8;33(3):316-323.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08.33.3.316. 

  36. Han GH. The home and community based care (HCBC)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J Korean Soc Community Living Sci 2002;13(2):77-86. 

  37. Schneiderman N, Ironson G, Siegel SD. Stress and health: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Annu Rev Clin Psychol 2005; 1:607-628.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clinpsy.1.102803.14 4141. 

  38. Schulz A, Northridge M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Educ Behav 2004;31(4):455-471. DOI: http://dx.doi.org/10.1177/1090198104265598. 

  39. Kim KM, Kim MO.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recent research articles' trends in Korean academy literature. Korean J Soc Welf 2006;58(3):269-294. 

  40. Lee JB, Park SH, Jung HS. An analysis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s system to disabled people's and plans for improvements. J Public Welf Admin 2008;18(2):57-90. 

  41. Hwang SK. Understanding the new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ability an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functional disability. Q J Labor Policy 2004;4(2):127-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