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an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7, 2015년, pp.664 - 673  

임명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제분석연구실) ,  길연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이러닝연구실) ,  전광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지원,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 제정,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등으로 장애인 보조기기 분야는 산업측면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최근에는 ICT 발전으로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 점자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기, 문자음성 변환기 등이 출시되어 촉각과 청각으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스마트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전자출판 콘텐츠를 활용하고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급속하게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기반의 스마트시대에 시각 장애인의 접근성은 아직도 열악하고 보조기기와 대체자료의 성능과 품질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개발 혁신 측면에서 시각 장애인용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의 현황과 구조를 분석하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구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향후에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가 맞춤형 및 실감형 형태로 전환되고 장애인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유통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ssistive devices for disabled people are being highlighted even in industrial aspects through the policy and support for disabled people, enactment of reg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disabl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Recently, internet access with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급속하게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장애인의 접근성은 아직 열악하고 장애인용 보조기기의 성능과 기능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아 현황파악을 통한 기술개발 니즈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 장애인에 초점을 맞추어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의 현황과 구조를 분석하고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구현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시각 장애인용 보조기기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통신 보조기기와 고용노동부의 보조공학기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대상은 등록한 장애인(장애인복지법 제32조)과 국가유공자로 등록된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사람이며, 보조기기 제품 가격은 정부지원 80%와 개인부담 20%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보조기기 분야는 왜 산업으로써 주목받고 있는가?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지원,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 제정,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등으로 장애인 보조기기 분야는 산업측면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최근에는 ICT 발전으로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 점자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기, 문자음성 변환기 등이 출시되어 촉각과 청각으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스마트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전자출판 콘텐츠를 활용하고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장애인 보조기구는 무엇인가? 30)에 의거 장애인 보조기구를 교부하거나 대여 또는 수리할 것을 신청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인 보조기구"란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 ·보완과 기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義肢)·보조기 및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말하며, 2015년 기준 334종의 보조기구 품목을 고시하고 있다. 정부 부처별로 장애인 지원사업을 살펴보면,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 보조기구 지급사업, 고용노동부는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교육부는 장애학생 지원사업 등이 있다.
노인성 장애를 포함한 장애인에 대한 전기통신/ICT 접근성에 대한 결의는 어떤 계획인가? 2010년에 개최된 ITU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전권회의(Plenipotentiary Conference, PP10)에서는 ITU 전체 차원에서의 관련 조치를 담은 ‘노인성 장애를 포함한 장애인에 대한 전기통신/ICT 접근성’에 대한 결의(Resolution 175)를 채택하였다. 이 결의는 ITU의 작업 수행에 있어 장애인을 고려하고 주제와 관련된 외부기관 및 단체와 협력하여 장애인의 ICT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기 위한 포괄적인 실행계획이다[5]. 또한 2013년 ITU 보고서에서는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앱, 모바일 기기 및 서비스, TV 및 서비스, ICT 융합으로 구분하여 캡션 전화, 수화 통역, 스크린 리더 및 입력, 모바일 뱅킹,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스마트 홈, 응급상황 통신, 문장 음성변환 등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영향력있는 기술 분야를 제시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Tousif Ahmed, Roberto Hoyle, Kay Connelly, David Crandall, and Apu Kapadia, "Privacy Concerns and Behavior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CHI 2015, April 18-23, 2015. 

  2. 통계청, e-나라지표(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시.도 장애인등록현황 자료), 2015.5. 

  3. WIPO, Treaty for Improved Access for Blind, Visually Impaired and other Reading Disabled Persons, 2008.10.23. 

  4. 김태은, 이경희, 이종우, 임순범, 박희민, "국내 독서장애인의 정보접근 지원을 위한 도서관 및 IT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53-262, 2011(6). 

  5. 박민정, "장애인의 ICT 접근성 향상을 위한 ITU의 활동 동향", 방송통신정책, 제25권, 12호, KISDI, pp.56-62, 2013(7). 

  6. ITU, The ICT Opportunity for a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Framework, 2013(9). 

  7. ITU, ITU's Mandate on ICT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 Specific Needs, 2014(12). 

  8.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통신 보조기기 개발 보급실행계획, 2015(1).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년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 및 제품안내, 2015(4). 

  10.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건강권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2014(12). 

  1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지원안내서, 2015(4). 

  12. 국립장애인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대구대학교, 2013.4. 

  13. 국립중앙도서관,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2013(12). 

  14. Birgitta Irvall and Gyda Skat Nielsen,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Checklist, Hague, IFLA, 2005. 

  15. 윤희윤, "주요 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 pp.29-49, 2010(3). 

  16. 국립장애인도서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이해 교육교재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2014(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