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in Pediatric Nursing Handoff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3, 2015년, pp.204 - 215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윤수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임영순 (성신여자대학교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in pediatric nursing handoff training to improve students' handoff skil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with 188 senior nursing students and 48 pediatric nursing professors and clinical nurses. The survey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임상현장 및 간호대학의 교육자를 대상으로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인수인계에 대한 각각의 교육요구도와 차이점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과 간호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아동간호영역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 인수인계 능력 향상을 위한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과 간호교육자 모두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내용으로는 호흡기계 건강문제를, 인수인계 교육형태로는 시뮬레이션 실습방법을 선호하며, 인수인계 교육을 위한 상황은 입원 시 상황이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인수인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요구도 조사로 교육대상자인 간호대학생과 교육제공자인 임상현장 및 대학교육자의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에 있어 인수인계에 대한 간호교육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환자의 안전과 업무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간호대학생 대상의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환자 안전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한 요소인 인수인계에 대한 교육요구도 결과를 토대로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임상에서 인수인계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의 일부 간호대학생, 간호교육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신중해야 하며 또한 본 연구에서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 시 인수인계 항목의 필요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 PASSBAR는 내·외과 성인간호 영역을 기준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아동간호 영역에 대해 조사하기에는 다소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의 대상자인 간호대학생과 제공자인 아동간호 교육자를 대상으로 아동간호 인수인계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수인계 오류의 원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인수인계는 환자안전의 아주 중요한 요소로서 미국 의료기관평가위원회의 국가 환자 안전 목표(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중 하나이며 국내 의료기관인증평가에도 환자 안전에 대한 평가 항목의 하나로 의료진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3,4]. 그러나 인수인계가 대상자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여 간호활동의 연속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간호 질 뿐 아니라 의료의 질 보장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인수인계의 오류가 보고되고 있으며[5], 인수인계 오류의 원인으로는 ‘신규 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6]. 이러한 인수인계 오류는 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제공을 방해하고 근무시간의 연장 및 의료인의 피로를 증가시켜 대상자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2].
인수인계란 무엇인가? 인수인계는 간호사가 교대근무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전근무자가 다음 근무자에게 근무조별로 직접간호업무와 간접간호업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간호업무 활동을 말하며[1], 인수인계시 대상자 정보를 조직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의료인의 책임이며 의무이다[2].
인수인계의 오류로 인해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그러나 인수인계가 대상자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여 간호활동의 연속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간호 질 뿐 아니라 의료의 질 보장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인수인계의 오류가 보고되고 있으며[5], 인수인계 오류의 원인으로는 ‘신규 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6]. 이러한 인수인계 오류는 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제공을 방해하고 근무시간의 연장 및 의료인의 피로를 증가시켜 대상자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wang KJ, Lee KS, Kim SH, Lee JS, Lee KO, You SM, et al. Adjustment of proper shift hours by improving the nursing reporting syste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1;7:5-33. 

  2. Weingart C, Herstich T, Baker P, Garrett ML, Bird M, Billock J, et al. Making good better: Implementing a standardized handoff in pediatric transport. Air Medical Journal. 2013;32:40-46. http://dx.doi.org/10.1016/j.amj.2012.06.005 

  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manual for general hospital (ver. 2.0)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5 [cited 2015 January 13]. Available from https://www.koiha.or.kr/home/data/data/doView.act 

  4. The Joint Commission. Patient safety systems [Internet]. Oakbrook Terrace: The Joint Commission; 2015 [cited 2015 January 13].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assets/1/6/PSC_for_Web.pdf 

  5. Kim SH, Kim EM, Choi YK, Lee HY, Park MM, Cho EY, et al. An exploration about current nursing handover practice in Kore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81-194. 

  6. Riesenberg LA, Leitzsch J, Cunningham JM. Nursing handoff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0; 110(4):24-34. 

  7. Bricher G. Children in the hospital: Issues of power and vulnerability. Pediatric Nursing. 2000;.26:277-282. 

  8. Kim GR, Lehmann CU, Council on clinical information technology. Pediatric aspects of inpatient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Pediatrics. 2008;122:1287-1296. http://dx.doi.org/10.1542/peds.2008-2963 

  9. Popovich D. 30-second head-to-toe tool in pediatric nursing: Cultivating safety in handoff communication. Pediatric Nursing. 2011;37:55-59. 

  10. Streitenberger K, Breen-Reid K, Harris C. Handoffs in care can we make them safer? Pediatric Clinical North America. 2006;53:1185-1195. 

  11. Nadzam D, Westergaard F. Pediatric safe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dentifying risks and preparing to care for child and famil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8;23(3):189-194. http://dx.doi.org/10.1097/01.NCQ.0000324580.82428.70 

  12. Novak K, Fairchild R. Bedside reporting and SBAR: Improving patient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2; 27:760-762. http://dx.doi.org/10.1016/j.pedn.2012.09.001 

  13. Starmer AJ, Spector ND, Srivastava R, West DC, Rosenbluth G, Allen AD. Changes in medical errors after implementation of a handoff progra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4;371(19):1803-1812. http://dx.doi.org/10.1056/NEJMsa1405556 

  14. Hyeong J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tandardized protocol for nursing handover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p. 1-134. 

  15. Riesenberg LA, Leitzsch J, Little BW. Systematic review of handoff mnemonics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009;24(3):196-204. http://dx.doi.org/10.1177/1062860609332512 

  16. Gordon M, Findley R.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handover in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Medical Education. 2011;45:1081-1089. http://dx.doi.org/10.1111/j.1365-2923.2011.04049.x 

  17. Kim EM, Yu M, Lee HY, Ko JW, Cho EY, Kim ES. Development of nursing handoff practice guideline and standards for Korean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1-14. 

  18. Jeoung Y. Content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nurses-focused on handoff communication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4. p.1-124. 

  19. Cha YN, Jang HS, Han HS, Jung JS, Yun J, Jung YS, et al. NANDA nursing diagnoses, goals and interventions. Seoul: Hyunmoonsa; 2013. p. 19-28. 

  20. Kim EM, Kim SH, Lee HY. Understanding perceptions of nursing handover among Korean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4;40(4):41-49. 

  21. Halm, MA. Nursing handoffs: Ensuring safe passage for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Care. 2013;22(2):158-162. http://dx.doi.org/10.4037/ajcc2013454 

  22. Kim SH, Kim EM, Jung Y. Status and perception of nursing handover among Korean military hospital nurse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4;32(2):1-13. 

  23. Ascano-Martin F. Shift report and SBAR: Strategies for clinical post conference. Nurse Educator. 2008;33(5):190-191. http://dx.doi.org/10.1097/01.NNE.0000334779.90395.67 

  24. Thomas CM, Bertram E, Johnson D.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2009;34(4):176-180. 

  25. Yoo SY, Kim SH, Lee JH. Educational needs i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eonatal emergency car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 18(4):170-176. 

  26. Park IS, Park IH, Kim SJ, Seo YO, Park HS, Park EH. A study on the job analysis for new nurse, job analysis, job description, duty, task, task elements, frequency of job performan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0. 

  27. Hong CE. Pediatrics. Seoul: Deahantextbook; 2001. p. 591. 

  28. Han YM, Sung MJ, Park KH, Byun SY. Comparison of adverse events due to differences in NICU nursing expert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11;18(2): 345-352. http://dx.doi.org/10.5385/jksn.2011.18.2.3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