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 응급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Educational Needs i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eonatal Emergency Car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170 - 176  

유소영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이자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in neonatal emergency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to obtain preliminary information to develop a simulation based educational program on neonatal emergency care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Structured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교육기관의 아동간호학 교육자,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생아 응급간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아동간호학 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육기관에서의 신생아 관련 실습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신생아 관련 간호사들에게는 신생아 응급상황 경험, 사전교육 여부, 교육의 충분성 등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생아 응급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과 교육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인 간호사 중 37.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간호학 교육기관에서의 신생아 관련 실습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에서 신생아 관련 실습 교육을 어떠한 주제로 실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임상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생아를 간호하고 있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에 투입되기 전 대학에서 실시할 필요성이 있는 교육 주제와 중요성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의 아동간호학 실습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 응급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간호학 교육기관에서의 신생아 관련 실습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에서 신생아 관련 실습 교육을 어떠한 주제로 실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임상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생아를 간호하고 있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에 투입되기 전 대학에서 실시할 필요성이 있는 교육 주제와 중요성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의 아동간호학 실습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 응급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생아 응급 교육 여부, 신생아 응급 상황 경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 조사와 전국 간호교육기관의 아동간호학 교육자를 대상으로 신생아 응급간호 교육 현황, 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의 응급 상황에 체계적인 대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참고로 대학에서 교육해야 할 신생아 응급 간호 교육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선정된 주제에 대해 보다 중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지식과 이론, 임상 실습 교육을 통하여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많은 교육자들은 간호학과 학생이 졸업 후 다양한 현장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에서 이론과 실기의 조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Kang, Lee, Chang, Lee, & Lee, 2005). 하지만 현실적으로 학생들은 실습에 나가서 활력징후 측정, 검사 보조, 시트 교환 등 간단한 업무만 수행하고, 많은 부분은 관찰이나 설명위주로 실습 교육을 받는 실정이며(Lee, Cho, Yang, Roh, & Lee, 2009), 대학에서는 실습지 배정과 임상실습 지도교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숙련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과 학생의 임상 실습 기회는 점차 줄어들고, 실습지에서도 단순 업무와 관찰 위주의 실습을 주로 시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부족한 임상실습으로 인한 문제점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신생아 중환자실은 경영상의 어려움이나, 출생률의 감소로 인해 폐쇄되고 있는 기관이 많아, 대학마다 실습지 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실은 부모가 아닌 간호사에 의해 양육과 간호가 이루어지므로, 숙련된 간호사가 반드시 필요한 부서이다. 대학에서 한정된 임상 실습을 경험한 신규 간호사들의 수행능력과 적응, 이직과 관련된 문제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축소되는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임상 실습을 경험하지 못하고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경우 어떤 상황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는가? 이처럼 임상 실습을 경험하지 못하고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경우 갑작스런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선행연구에서도 신규간호사의 실기능력과 적응력이 부족함을 보고하고 있는 실정이다(Jho, 2010). 특히 신생아의 경우 상태와 예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연습을 해야 촉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inier, G., Hunt, B., Gordon, R., & Harwood, C. (2006). Effectiveness of intermediate-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echnology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359-369. 

  2. Anderson, J. M., & Warren, J. B. (2011). Using simulation to enhance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linical skills in neonatology. Seminars in Perinatology, 35(2), 59-67. 

  3. Chang, S. J., Kwon, E. O., Kwon, Y. O., & Kwon, H. K. (2010).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for new graduate critical care nurses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of emergency situations at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375-383. 

  4. Cheung, N. Y., & Song, Y. S. (2006). Clinical application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for nov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334-342. 

  5. Cho, K. J., Kang, K. A., Kim, S. J., Moon, Y. S., Yoo, K. J., & Lee, J. W. (2000). A survey of the educational demand for the pediatric nursing curriculum in RN-BSN stud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 411-422. 

  6. Ebbert, D. W., & Connors, H. (2004). Standardized patient experiences: Evaluation of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e practitioner student satisfac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5(1), 12-15. 

  7. Han, S. S., Sohn, I. S., & Kim, N. E. (2009).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78-887. 

  8. Han, Y. M., Sung, M. J., Park, K. H., & Byun, S. Y. (2011). Comparison of adverse events due to differences in NICU nursing expert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18, 345-352. 

  9. Jho, M. Y. (2010). An analysis of research on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239-248. 

  10. Kang, I. W., Lee, K. J., Chang, C. J., Lee, E. J., & Lee, Y. J. (2005).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 323-333. 

  11. Kassab, M., & Kenner, C. (2011). Simulation and neonatal nursing education.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1(1), 8-9. 

  12. Kim, B. I. (2001). Emergent diseases in neonate.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4(1), 10-16. 

  13. Kim, H. R., & Choi, E. J. (2011).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uni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279-288. 

  14. Kim, U. O., Brousseau, D. C., & Konduri, G. G. (2008).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critically ill neonat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9, 140-148. 

  15. Kim, Y. H., & Jang, K. S. (2011). Effect of a simulation 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45-255. 

  16. Lee, C. (2006). Seeking a better system for the better neonatal ca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49, 1009-1016. 

  17. Lee, J. H., Kim, S. S., Yeo, K. S., Cho, S. J., & Kim, H. L.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83-193, 

  18.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19. Lindamood, L. K., Rachwal, C., Kappus, L., Weinstock, P., & Doherty, E. G. (2011). Development of a neonatal intensive care multidisciplinary crisis resource training program.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1(1), 17-22. 

  20. Lindamood, L. K., & Weinstock, P. (2011). Application of high-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o the neonatal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rogram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1(1), 23-27. 

  21. McCollough, M., & Sharieff, G. Q. (2002). Common complaints in the first 30 days of life.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20(1), 27-48. 

  22. Park, E. A., & Park, J. E. (2011). The rela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level of neona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261-269. 

  23. Rauen, C. A. (2004).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ical Care Nurse, 24, 46-51. 

  24. Robinson, D. T., Kumar, P., & Cadichon, S. B. (2008). Neonatal seps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9, 160-168 

  25. Sanford, P. G. (2010).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th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15, 1006-1011. 

  26.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548-560. 

  27.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28. Yoo, M. S., Yoo, I. Y., & Son, Y. J. (2003). Effects of OSCE method on clinical skills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1), 7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