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
Disease Prevalence, Parent's Educational Needs, and Disease Management according to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s in Early Childhood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3, 2015년, pp.227 - 235  

한혜율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남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ease prevalence, parent's educational needs, and disease management according to severity of respiratory infections in early childhood.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73 mothers whose child was admitted to I university hospital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유아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이다. 영유아기 급성질환 중 호흡기질환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며 추후 아동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가 중요한 질환이다.
  • 연구는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 요구 및 관리수행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 질병관리수행정도를 파악함으로서 호흡기 감염성 질환 환아 및 가족을 위한 간호 중재를 시행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 호흡기질환은 전 가족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영유아기 호흡기질환은 부모를 비롯한 전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아동에게 호흡곤란, 발열, 거친 호흡 소리, 피부색의 변화, 식욕 저하, 지친모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아동의 호흡기질환 중증도에 따라 가족은 아동의 평상시와는 다른 모습에 당황스러워하고, 아동의 안녕 상태가 위협받을 수 있음에 대한 높은 불안감과 돌봄으로 인한 피로감으로[3] 어려움을 겪게 된다.
영유아기에 호흡기 감염에 민감한 이유는 무엇인가? 호흡기질환은 영유아기의 급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차지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못하였을 경우 아동의 성장 발달뿐만 아니라 심한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기능이 미성숙하고, 호흡기 부속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지 못하여, 기관에서 종말 세기관지까지 호흡기도 사이의 간격이 짧으므로 영유아기의 어린 아동은 호흡기 감염에 민감하고, 입원과 집중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1].
영유아기의 급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차지하는 질병은? 호흡기질환은 영유아기의 급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차지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못하였을 경우 아동의 성장 발달뿐만 아니라 심한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기능이 미성숙하고, 호흡기 부속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지 못하여, 기관에서 종말 세기관지까지 호흡기도 사이의 간격이 짧으므로 영유아기의 어린 아동은 호흡기 감염에 민감하고, 입원과 집중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CK, Koh YY, Callaway Z. The validity of induced sputum and bronchoalveolar lavage in childhood asthma. The Journal of Asthma 2009;46(2):105-112. 

  2. Michelow IC, Olsen K, Lozano J, Rollins NK, Duffy LB, Ziegler T,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s 2004;113(4):701-707. 

  3. Miedema CJ, Kors AW, Ten WETA, Kimpen JLL. Medical consumption and socioeconomic effects of infecti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the Netherland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001;20(2):160-163. 

  4. Shin SW, Kim EY, Rho YI, Yang ES, Moon KR, Park SK, et al. A prevalence of respiratory infec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infa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6;31(3):35-41. 

  5. Koo HY.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ies with respiratory infected children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3):281-290. 

  6. Park MK, Ko YS, Park KI.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for child guardians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fter H1N1 diffusion (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1):1-9.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1.1 

  7. Kim HJ, Kim JH, Kang IJ. Association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and atopy with severity of acute bronchiolitis in infants. Pediatric Allergy Respiratory Disease. 2011;21(4):302-312. 

  8. Nascimento LFC, Marcitelli R, Agostinho FS, Gimenes CS. Hierarchical approach to determining risk factors for pneumonia in children. Jornal Brasileiro de Pneumologia 2004;30(5):445-451. 

  9. Damore D, Mansbach JM, Clark S, Ramundo M, Camargo Jr CA. Prospective multicenter bronchiolitis study: Predicting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8;15(10):887-894. 

  10. Fisher HR. The needs of parents with chronically sick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6(4):600-607. 

  11. Principi N, Esposito S. Pediatric influenza prevention and control.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4;10(4):574-580. 

  12. Kim IO. A study on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respiratory 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measurement of it's effec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66-79. 

  13. Lee SY, Choi MH, Kwon HJ.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aising knowledge and satisfaction with out-patient care of mothers with Ill-child.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7;3(1):83-98. 

  14. Ahn HS. The pediatrics. Seoul: Daehane Co; 2007. p. 629-630. 

  15. Kim HS, Kang KA, Kim SJ, Kim HO, Moon SY, Park SN, et al.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2013. p. 17-19. 

  1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7. Yi MY. Effects of the educational session of infant respiratory disease management of mother's performance level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p. 50-59. 

  18. Song WS, Song BJ, Kim W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full-term newborns without risk factors. Neonatal Medicine. 2015;22(1):27-33. http://dx.doi.org/10.5385/nm.2015.22.1.27 

  19. Grams K. Breast-feeding a means of imparting immunity.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1978;3(6):340-344. 

  20. Breast feeding Advantages [Internet].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cited March, 13].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leading_initiatives/breast_feeding_adv.php. 

  21. Xepapadaki P, Papadopoulos NG. Viral infections and allergies. Im munobiology 2007;212(6):453-459. 

  22. Kwon J, Seo J, Yu J, Kim B, Kim HB, Lee SY,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allergen sensitization in children of Songpa area, Seoul.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11;21(1):47-55. 

  23. Gilliland FD, Li Y, Dubeau L, Berhane K, Avol E, McConnell R, et al. Effect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1,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asthma and wheezing i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166(4):457-463. http://dx.doi.org/10.1164/rccm.2112064 

  24. Jung HJ, Baek SH, Seo WH, Kim JH.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ozone concentration and respiratory diseases in Daejeon city.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Environment Management. 2001;7(1):107-116. 

  25. Jurado D, Munoz C, de Dios Luna J, Munoz-Hoyos A. Is maternal smoking more determinant than paternal smoking on the respiratory symptoms of young children. Respiratory Medicine. 2005;99(9):1138-1144. 

  26. Park JS, Bang KS. Nursing needs of the parents of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2):136-144. http://dx.doi.org/10.14370/jewnr.2014.20.2.136 

  27. Isasscs D, Dickson H, O'Callaghan C, Sheaves R, Winter A, Moxon ER. Handwashing and cohorting in prevention of hospital acquired infection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1;66(2):227-231. 

  28. Lim JY, Chung SM, Choung JT. The role of patient and parents education in the management of pediatric asthm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2000;10(1):51-60. 

  29. Kwon IS, Seo YM. Knowledge and practice on infection prevention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0;13(2):102-109. 

  30. Kamaruzaman NA, Muthupalaniappenm L, Pasi H. Health care seeking behaviour among caregivers of children with pneumonia in a rural area.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2013;20(4):413-4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