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임금 근로자의 직장 내 폭력 경험과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5 no.2, 2015년, pp.211 - 219  

윤재홍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  성효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유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승섭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d a cross-sectional survey of 29,601 wage workers from the third wav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11. Experience of workp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3차 근로환경조사(Korea Work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3가지 유형의 직장 내 폭력 경험(신체적 폭력, 왕따/괴롭힘, 성희롱)의 빈도를 측정하고, 그 경험들이 근골격계 증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직장 내 폭력 경험과 같은 사회심리적 인자의 경우, 성별의 차이가 중요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성별에 따라 층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이란 무엇인가? 미국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직장에서 상․하지 및 척추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 수행과 작업 조건 때문에 발생 또는 악화되는 근골격계 질환을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이라고 정의하고 있다(CDC, 2013). 전세계적으로 근막통 증후군, 요통, 수근관 증후군 등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은 작업관련 건강문제 중 가장 흔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ILO, 2013), 2005년 유럽 직업성 질환 통계에 따르면 작업관련 질환 중 60%가 근골격계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Steinbuka et al, 2010).
2008년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사회적 손실은 어느정도인가? 2008년 한해 동안 근골격계 질환으로 발생한 의료비용은 약 $42억, 비의료비용은 약 $3억으로 총 약 $45억인 것으로 추산되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손실, 즉 생산성 손실과 조기사망으로 인한 비용은 총 약 $24억에 달했다.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총 약 $69억으로 한국 국내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의 약 0.
국내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어느정도 증가하였는가? 한국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ILO, 2013; MoEL, 2014). 산업재해보상보험자료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은 2001년 기준 1,634명에서 2010년 기준 5,502명으로 지난 10년간 4배 가량 증가했다(ILO, 2013). 또한, 2014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경견완장애 및 요통 등을 포함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로 보상받는 작업관련성 질환의 약 80%(5,446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oE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en JH, Haahr JP, Frost P. Risk factors for more severe regional musculoskeletal symptoms: a two-year prospective study of a general working population. Arthritis Rheum 2007;56(4):1355-64 

  2. Ariens GA, Bongers PM, Hoogendoorn WE, Houtman IL, van der Wal G et al. High quantitative job demands and low coworker support as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Spine 2001;26(17):1896-901 

  3. Artazcoz L, Cortes I, Borrell C, Escriba-Aguir V, Cascant L. Gender perspective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between long workhours,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7;33(5):344-350 

  4. Bernard BP, Putz-Anderson V, Burt SE, Cole LL, Fairfield-Estill C et al.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HHS 1997. p.97-141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Glossary of terms. 2013 Oct [cited 2015 Apr 6]; Available from: URL:http://www.cdc.gov/workplacehealthpromotion/glossary/index.html#W4 

  6. Clays E, De Bacquer D, Leynen F, Kornitzer M, Kittel F et al.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low back pain: longitudinal results from the Belstress study. Spine(Phila Pa 1976) 2007;32(2):262-8 

  7. Eijckelhof BH, Bruno Garza JL, Huysmans MA, Blatter BM, Johnson PW et al. The effect of overcommitment and reward on muscle activity, posture, and forces in the arm-wrist-hand region--a field study among computer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3;39(4):379-89 

  8. Garza B, Jennifer L, Eijckelhof BHW, Huysmans MA, Catalano PJ et al. The effect of over-commitment and reward on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shoulder, head, neck, and torso postures during computer use in the field. Am J Ind Med 2013;56(10):1190-200 

  9. Greenhaus JH, Allen TD, Spector PE. Health conseq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The dark side of the work- family interf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being 2006;5:p.61-98 

  10. Grooten WJM, Mulder M, Josephson M, Alfredsson L, Wiktorin C. The influence of work-related exposures on the prognosis of neck/shoulder pain. Eur Spine J 2007;16(12):2083-91 

  11. Harcombe H, Mcbride D, Derrett S, Gray A.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New Zealand nurses, post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Injury Prev 2010; 16(2): p. 96-100 

  12. ILO.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2013. P. 6 

  13. Kim H, Jayaraman S, Landsbergis P, Markowitz S, Kim SS, et al. Perceived discrimination from management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New York City restaurant workers. Int J Occup Environ Health 2013a;19(3):196-206 

  14. Kim SS, Chung y, Subramanian SV. Measuring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underestimating the prevalence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among female and less educated workers?. PloS one 2012;7(3) 

  15. Kim SS, Okechukwu CA, Buxton OM, Dennerlein JT, Boden LI, et al. Associ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musculoskeletal pain among hospital patient care workers. Am J Ind Med 2013b;56(4) 

  16. Koch PA. Schablon A. Latza U, Nienhaus A. Musculoskeletal pain and effort-reward imbalance-a systematic review. BMC Public Health 2014;14:37 

  17. Lang J, Ochsmann E, Kraus T, Lang JWB. Psychosocial work stressors as antecedents of musculoskeletal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tability-adjusted longitudinal studies. Soc Sci Med 2012;75(7):1163-1174 

  18. Messing K, Punnett L, Bond M, Alexanderson K, Pyle J et al. Be the fairest of them all: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gender in occupational health research. Am Ind Med 2003; 43(6):618-629 

  19. Messing K, Ostlin P. Gender equality work and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WHO 2006. P. 11-24 

  20. Messing K, Stock SR, Tissot F. Should studies of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be stratified by gender? Lessons from the 1998 Quebec Health and Social Survey.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9; 96-112 

  2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3. 2014. p.13 

  22. Miranda H, Punnett L, Gore R, Boyer J. Violence at the workplace increase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pain among nursing home workers. Occup Environ Med 2011;68(1):52-57 

  23. Miranda H, Punnett L, Gore RJ. Musculoskeletal Pain and Reported Workplace Assault A Prospective Study of Clinical Staff in Nursing Homes. Hum Factors 2014;56(1):215-227 

  24. Oh IH, Yoon SJ, Seo HY, Kim EJ, Kim YA. The economic burden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Korea: A cross 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 2011;12(1):157 

  25. Steinbuka I, Clemenceau A, Venema A, Heuvel S, Geuskens G. Health and safety at work in Europe (1999-2007) - A statistical portrait. EU 2010. p. 9 

  26. Stock SR, Tissot F. Are there health effects of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 gender-sensi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neck pain. Ergonomics 2012;55(2):147-59 

  27. Takaki J, Taniguchi T, Hirokawa K. Associations of workplace bullying and harassment with pain. Int J Environ Res Publ Health 2013;10(10):4560-70 

  28. UCLA. Stata Data Analysis Example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Statistical Consulting Group [cited 2015 Apr 6]. Available from: http://www.ats.ucla.edu/stat/stata/dae/nbreg.htm 

  29. Yang LQ, Spector PE, Chang CH, Gallant-Roman M, Powell J. Psychosocial precursors and physical consequences of workplace violence towards nurses: a longitudinal examination with naturally occurring groups in hospital settings. Int J Nurs Stud 2012;49 (9):1091-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