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의 변화 궤적과 영향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Analyzing Changes and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during Adolescence: A Latent Growth Analysi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4, 2018년, pp.496 - 505  

최유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혜영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self-rated health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its predictors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KCYPS. Methods: A sample of 2,351 adolescents who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0 was analyzed. The study employed la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4]에서는 횡단적 시점에서 변인 간의 관련성 및 인과관계를 살펴봤기 때문에 단편적인 정보만 제공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변화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중학교 1학년때부터 고등학교 3학년때까지 증가하는 선형 모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시간의 증가가 주관적 건강의 향상에 기여한 반면, 좌식 여가활동시간이 증가할 경우 주관적 건강 수준이 감소하여 청소년에게 운동시간의 충분한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건강 불균형을 해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하여 사회인구학적인 객관적 조건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및 건강 행태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이 느끼는 건강은 단순히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녕, 사회적 자원 등이 총체적으로 작용하므로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개인,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의 융합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청소년은 성인과 달리 질병이 가시적이지 않지만 청소년기의 건강은 장기적으로 성인기의 건강 상태 및 질병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부터 건강 수준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의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건강 행태, 사회경제적, 사회심리적으로 분석하여 건강 상태의 변화에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분석함과 동시에 종단연구의 핵심인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독립 변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중학교 1학년때부터 고등학교 3학년때까지 증가하는 선형 모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시간의 증가가 주관적 건강의 향상에 기여한 반면, 좌식 여가활동시간이 증가할 경우 주관적 건강 수준이 감소하여 청소년에게 운동시간의 충분한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가설 설정

  • 개인적 요인과 주관적 경제 수준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경우 1차년도 때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여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를 예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주관적 경제 수준의 경우 5차년도에 처음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 건강 행태 요인은 시간 의존적(time-variant) 변수로 취급하였는데, 체육시간 중 운동시간이나 여가활동시간은 매년 바뀌는 학년과 학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16]. 따라서 각 년도의 건강 행태 요인이 해당 년도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사회심리적 요인 중 성적 만족도, 공격성, 스트레스, 우울은 2차년도에 처음으로 측정되었으므로 2차년도 때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은 1차년도 때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 다면적으로 청소년의 건강 수준을 측정한 문항을 이용한다면 심층적이고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 행태 요인을 제외한 일부 독립 변수가 매 년도에 연속적으로 측정되지 못하였으므로 시간 의존적 변수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 독립적 변수로 가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역동적인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만성질환 유병률, 주관적 건강 상태, 비만 등이 있다. 주관적 건강 상태(self-rated health)의 경우 건강 불평등을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써[5]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을 비롯한 광범위한 건강 영역의 지표로 쓰이며 사망률, 의료서비스 이용률에 대한 예측 인자로 사용된다[6].
기대 수명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평균 기대 수명은 2016년 기준으로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회원국의 기대 수명보다 남녀 모두 높았으며, 경제 수준의 향상, 환경 변화,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기대 수명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그러나 기대 수명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수명의 격차는 증가하였고, 이는 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하여 건강 불평등 문제가 공공 및 사회정책에서 정치적 논쟁의 핵심이 되고 있다[2].
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중 주관적 건강 상태는 무엇인가? 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만성질환 유병률, 주관적 건강 상태, 비만 등이 있다. 주관적 건강 상태(self-rated health)의 경우 건강 불평등을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써[5]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을 비롯한 광범위한 건강 영역의 지표로 쓰이며 사망률, 의료서비스 이용률에 대한 예측 인자로 사용된다[6].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는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전세계적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이용하는 신뢰도 높은 지표이며, 성인의 경우 질환의 유무, 삶의 만족감, 활기참을 반영하고 다양한 건강 측정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수입의 변화 등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신체가 상대적으로 건강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인종,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등 환경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7]. 더불어 Kwon [8]의 연구에 따르면 생애주기 별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노인은 만성 질환 유무와 같은 객관적인 건강 수준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청년이나 성인은 소득이나 교육 등 사회경제적 수준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hang YH. Lifecourse approaches to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5;38(3):267-275. 

  2. Lee MS.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05;39(6):183-209. 

  3. Marmot M.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equalities. The Lancet. 2005;365(9464):1099-104. https://doi.org/10.1016/S0140-6736(05)71146-6 

  4. Ahn JS, Kim HJ.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2):205-231. 

  5. Boynton-Jarrett R, Ryan LM, Berkman LF, Wright RJ. Cumulative violence exposure and self-rated health: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2008;122(5):961-970. https://doi.org/10.1542/peds.2007-3063 

  6. Bjorner JB, Kristensen TS. Multi-item scales for measuring global self-rated health: Investigation of construct valid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Research on Aging. 1999;21(3):417-439. https://doi.org/10.1177/0164027599213004 

  7. Goodman E, Huang B, Schafer-Kalkhoff T, Adler N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 new type of identity that influences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7;41(5):479-487.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7.05.020 

  8. Kwon TY. A study on the trajectory of self-rated health and its predictors: Focusing on the difference across the life course.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2011;35(4): 203-231. 

  9. Page RM, Suwanteerangkul J. Self-rated health,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health-related behavior among Thai adolescents. Pediatrics International. 2009;51(1):120-125. https://doi.org/10.1111/j.1442-200X.2008.02660.x 

  10. Newacheck PW, Hung YY, Park MJ, Brindis CD Jr, Irwin CE. Disparities in adolescent health and health care: Does socioeconomic status matter? Health Services Research. 2003;38(5):1235-1252. 

  11. Kim JY, Lim IS, Song YLA, Han SW. The disparities in subjective health by employment form and gende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health resourc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2;35(1):181-209. 

  12. Kim MH, Jeon KJ, Seo SH. Health inequality in childhood.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1(176):32-44. 

  13. Kim J.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 Korea - Focusing on age variatio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07;41(3):127-153. 

  14. van der Lucht F, Groothoff J. Social inequalities and health among children aged 10-11 in the Netherlands: Causes and consequences. Social Science & Medicine. 1995;40(9):1305-1311. 

  15. Kim KI, Kim JH, Won HT.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 90-reversion. 1st ed. Seoul: Jung Ang Juk Sung Publisher; 1984. p. 8-10. 

  16. Lee JL. The influence of attachments to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on delinquenc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8;26(4):27-40. 

  17. Prenoveau JM, Craske MG, Zinbarg RE, Mineka S, Rose RD, Griffith JW. Are anxiety and depression just as stable as personality during late adolescence? results from a three-year longitudinal latent variable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2011;120(4): 832-843. https://doi.org/10.1037/a0023939. Epub 2011 May 23 

  18. Browne MW, Cudec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992;21(2):230-25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19. Hu L, Bentler P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999;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20. Kim YH.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age in adolescent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2000;10:55-67. 

  21. Lee CJ, Oh KS, Jung OB. Pubertal timing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91;4(1):89-102. 

  22. Vingilis ER, Wade TJ, Seeley JS. Predictors of adolescent self-rated health: Analysis of the 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2;93(3):193-197. 

  23. Park NH, Lee HJ. A critical review of health behavior studies of adolescents conducted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2;13(1):98-114. 

  24. Park SW.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09;34(2):202-213. 

  25. Ruhm CJ. Maternal employment and adolescent development. Labour Economics. 2008;15(5):958-983. https://doi.org/10.1016/j.labeco.2007.07.008 

  26. Oh SH, Hyun WJ, Lee H, Park HR, Lim HJ, Song KH.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0;15(4):498-506. 

  27. Raudenbush SW, Bryk AS.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Sage; 2002. p. 1-485. 

  28. Bray JH, Adams GJ, Getz JG, McQueen A. Individuation, peers, and adolescent alcohol use: A latent growth 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3;71(3):553-564. 

  29. Trzesniewski KH, Donnellan MB, Moffitt TE, Robins RW, Poulton R, Caspi A. Low self-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s poor health, criminal behavior, and limited economic prospects duri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2006;42(2):381-391. https://doi.org/10.1037/0012-1649.42.2.381 

  30. Erikson EH. Identity and the life cycle. 1st ed. New York.London: WW Norton & Company; 1994. p. 1-1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