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기와 노년기별 암 경험자의 유병기간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sease duration on depression change in cancer survivors betwee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5 no.2, 2020년, pp.1 - 13  

고경민 (고려대학교 보건학협동과정) ,  문성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손민성 (고려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솔 (고려대학교 보건학협동과정) ,  고든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isease duration on depression change in cancer survivors betwee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s. Methodology: To that end, we analyzed 275 patient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from 2011 to 2016 jointly developed by the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단면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병기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를 보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는 6년 간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암 발생 이후 암 경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우울감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생산가능연령에 있는 암 경험자뿐만 아니라 고령의 암 경험자 모두 경제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우울감 관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암 경험자의 고용 및 근로 환경에 대한 세심한 정책적 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응답자들은 첫 암 발생 이후 암 경과기간에도 일관되게 주요병명을 암으로 표기한 것이 아니라 응답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2016년까지 불규칙적으로 암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으로 표시하지 않은 기간은 완치되었거나 또는 증상이 없거나 병이 진행되지 않아 병원진료를 받지 않는 기간으로서 복합질병으로 타 질병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기간으로 판단하였다. 비록 연속해서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암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서 암 경험기간 또한 암 유병기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우울은 생애주기의 영향을 받으며, 생애주기 중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고용 상실로 인해 복지정책의 대상자로 여겨지는 연령은 65세 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65세 미만과 65세 이상으로 집단을 층화한 후, 유병기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병기간에 따른 암 경험자의 우울감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암 경험자들에 대한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우울 관련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년간의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암 경험자의 유병기간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65세 전후의 성인기와 노년기 집단을 중심으로 암 경험자의 유병기간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urvey, KoWePS)의 6년 간의 패널자료를 활용한 단면분석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가 공동으로 조사하였으며, 소득계층별, 경제활동상태별, 연령별 등 각 인구집단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등을 파악하고 정책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종단 연구자료이다[38].
  • 본 연구는 성인기와 노년기에 따른 우리나라 암 경험자의 유병기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가설과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암 발생에 따른 우울감 변화와 암 발생 이후 경험 및 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우울감의 변화 수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우울은 생애주기의 영향을 받으며, 생애주기 중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고용 상실로 인해 복지정책의 대상자로 여겨지는 연령은 65세 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65세 미만과 65세 이상으로 집단을 층화한 후, 유병기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를 측정하였다.
  • 인구학적 특성(성별, 결혼상태)과 사회경제학적 특성(교육수준, 종교유무, 소득수준, 경제활동상태)을 통제하여 암 발생에 따른 우울감 변화와 암 발생 이후 시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은 층화변수이며, 65세를 기준으로 성인기와 노년기로 층화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암 진단 이후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우울감이 악화될 것이다.
  • 가설2: 연령에 따라 유병기간에 따른 우울감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2. Kim JH. Update on distress management for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9;62(3):167-173. 

  3. Jang BY, Park JY.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Cancer Stigma in Long-term Cancer Survivors after Gastric Surgery. Asian Oncol Nurs 2018;18(2):86-93. 

  4. Carlson LE, Waller A, Mitchell AJ. Screening for distress and unmet needs in patients with cancer: review and recommendations. J. Clin. Oncol 2012;30(11):1160-1177. 

  5. Linden W, Vodermaier A, MacKenzie R,Greig D. Anxiety and depression after cancer diagnosis: prevalence rates by cancer type, gender, and age. J. Affect. Disord 2012;141(2-3):343-351. 

  6. Holland JC,Bultz BD. The NCCN guideline for distress management: a case for making distress the sixth vital sign. J. Natl. Compr. Canc. Netw 2007;5(1):3-7. 

  7. Heo EK, Kim KH, Hong YP, Kang HS. Return-to-Work Experience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1;15:92-102. 

  8. Hwang SY.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313-323. 

  9. Kim DH, Kang SH. Effects of Critical Illnesses on Losing Income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Insurance 2015;102(0):39-57. 

  10. Park JH, Park EC, Park JH, Kim SG, Lee SY. Job Loss and Re-Employment of Cancer Patients in Korean Employees: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J. Clin. Oncol 2008;26(8):1302-1309. 

  11. Lee CH, Lee E. Retirement of Older Wage Workers in Korea: Hazard Model Analysis by Firm Size.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015;38(1):31-65. 

  12. Jung KW, Won YJ, Kong HJ, Lee ES.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6. Cancer Res. Treat 2019;51(2):417-430. 

  13. Park JY, Kim NH. Factors Influencing Rehabilitation among Cancer Survivors. Korean J Adult Nurs 2017;29(5):463-471. 

  14. Boer AG, Taskila T, Ojajarvi A, Dijk FJ, Verbeek JH, Cancer survivors and unemployment: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JAMA 2009;301. 

  15. Statistics Korea, 2019 statistics on the aged 2019. 

  16. Skaug K, Eide GE,Gulsvik A,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symptoms in the terminal stage of lung cancer: A community study. Chest 2007;131(2):389-94. 

  17. Hinz A, Krauss O, Hauss JP, Hockel M, Kortmann RD, Stolzenburg JU, and Schwarz R.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Eur. J. Cancer Care (Engl.) 2010;19(4):522-529. 

  18. Zhang Y, Wang Y, Song B,Li H. Patients' self-report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in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Psychol. Health Med 2019:1-11. 

  19. Noh KW, Ha JW, Lim SW, Lee JE, Lee KB, Kim H, and Oh KS. The Differences of Depression, Anxiety and Positive Thinking between Adult and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J. Anxiety Disord 2013;9(1):38-44. 

  20. Ha EH. The influenc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depressive symptoms of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 Woman Psychol 2011;16:499-515. 

  21. Kang SJ.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Using KNHANES 2010-2014.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9):628-637. 

  22. Tae YS, Kwon S, Choi JH, Lee A. Predi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3). 

  23. Schaakxs R, Comijs HC, van der Mast RC, Schoevers RA, Beekman AT, Penninx BW. Risk factors for depression: differential across ag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7;25(9):966-977. 

  24. Wi ES, Yong JS. Di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piritual Needs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 

  25. Lee EO, Eom AY, Song RY, Chae YR, Lam P.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5):649-655. 

  26. Seo HJ, Ryu EJ, Ham MY. Relationships among Mood Status,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sian Oncology Nursing 2018;18(2):104-113. 

  27. Giese-Davis J, Collie K, Rancourt KM, Neri E, Kraemer HC, Spiegel D, Decrease in depression symptoms is associated with longer surviva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a secondary analysis. J. Clin. Oncol. 2011;29(4):413. 

  28. Vahdaninia M, Omidvari S,Montazeri A, What do predict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follow-up stud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0;45(3):355-361. 

  29. WHO.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primary health car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9. 

  30. Van Dam NT, Earleywine M. Validat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CESD-R): Pragmatic depression assessm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iatry Res. 2011;186(1):128-132. 

  31. Chung JH, Ju GW, Yang JY, Jeong JW, Jeong YS, Choi MK, Kwon Jh, Lee KH, Kim ST, and Han HS. Prevalence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advanced gastrointestinal cancer.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8;33(3):585-594. 

  32. Kim SY, Kim JM, Kim SW, Shin IS, Yoon JS, Shim HJ. Management of depress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Psychopharmacol 2010;21(2):51.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msung Medical Center.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7. 

  34. Park JH, Lee JJ, Lee SB, Huh Y, Choi EA, Youn JC, Jhoo JH, Kim JS, Woo JI, and Kim KW.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J. Affect. Disord 2010;125(1-3):234-40. 

  35. Ahn JY, Tak YR.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1):72-83. 

  36. Feuerstein M. Defining cancer survivorship.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and Practice 2007;1(1):5-7. 

  37. Lee JE, Shin DW, Cho BL.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survivorship care and a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care model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4;10(2):58-62. 

  38. Korea Welfare Panel Study user's guide. I.o.S.W.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39. Park JH, Kim KW.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2011;54(4). 

  40. Sohn MS, Jung M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Smoking in Movies on Cigarette Cravings among Adolescents: A Contextual Quasi-Experimental Model. Health communication 2020;35(1):83-88. 

  41. Naughton MJ, Weaver K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cancer survivors considerations for long-term care and quality of life. N. C. Med. J 2014;75(4):283-286. 

  42. Park EY, Bae YT, Lee JY, Seo HI, Moon ES, Jung YJ. Depressive Symptom-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Breast Cancer 2011;14:S64-9. 

  43. You JW, Song Ih. The Effects of Quality of Employment on the Depressive Mood among Paid Workers -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conomic Statu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6;44(1):106-133. 

  44. Kim YG, Park JH, Park JH. Cancer patients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and its related factor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0;20(4):58-73. 

  45. Kim, DH, Improvemen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through Efficient Medical Expenditure.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2017(10):1-129. 

  46. Kang HJ. Issues and Policy Options for Moon Jae-in Car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8(255):23-37. 

  47. Chung HJ, Sohn MS, Kim JM, Kim JS, Jung HW, Che X, et al. Analyzing uncovered health care services of municipal hospital and establishing the health care coverage expansion strategy: focused on the Seoul-type paid sick leave system and innovative health security policy. Seoul: Seoul Health Foundation 2018. 

  48. Jung HW, Sohn MS, Chung HJ. Designing the Sickness Benefit Scheme in South Korea: Using the Implication from Schemes of Advanced Nations. Health Policy Manag 2019;29(2):112. 

  49. Sohn MS, Kim YY, Chang JM, Chung HJ. Financial Profection for Sickness Benefits and Paid Sick Leave using the NHIS Cohort Data Bas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9;25(2):1-28. 

  50. Jung JW, Cho SY.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aging for the middle-old aged in their 60s and Its influence and depress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4):15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