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헬스 앱의 효능감과 만족도, 지속적 사용의도가 웨어러블 기기의 수용에 미치는 효과: 융복합적 관점
The Influence of Health Apps Efficacy,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n Wearable Device Adoption: A Convergence Perspectiv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137 - 145  

박동진 (한림대 광고홍보학과) ,  최정화 (한림대 광고홍보학과) ,  김도진 (한림대 인터랙션디자인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의 건강 관리 및 진단 기능은 모바일 헬스라 불리며 가장 혁신적인 분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와의 결합은 향후 가장 유망한 산업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 속도에 비해 소비자들의 수용 및 활용은 아직까지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앱과 연동되어 활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증코자 했다. 특히 건강 관련 앱의 사용 효능감, 사용의도, 만족도가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 관련 앱의 사용 효능감은 건강 관련 앱 만족도와 건강 관련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앱 만족도는 건강 관련 앱 지속사용의도와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건강 관련 앱 지속사용의도 또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같은 결과는 건강 웨어러블 기기의 성공적 확산을 위해서는 선행 요소로 건강 관련 앱의 사용 효능감, 만족도, 앱의 지속사용의도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s health care and diagnostic capabilities are accepted as the most innovative sectors, and the combination with wearable device is being predicted as the future's most promising industries. However, the level of consumer acceptance and utilization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ve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기반이 되는 건강관련 앱의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했다[Fig. 1].
  • 본 연구는 웨어러블 기기가 자체로도 건강관리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 및 스마트폰과의 연동에 초점을 맞춰, 건강 관련 앱의 측면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앱의 이용의도와 만족도가 앱의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도 정적효과를 줄 것으로 예측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자기 기입 방식을 통해 개인들의 건강정보 기술과 지식 능력을 측정한 eHealth Literacy Scale 역시 효능감의 개념을 인터넷 건강정보 분야로 응용한 사례라 볼 수 있다[12,15], 이러한 효능감의 개념은 스마트폰 및 앱의 활용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건강정보 효능감의 개념을 확장, 재구성하여 스마트폰의 건강 관련 앱 사용 효능감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앱 사용 효능감은 건강 관련 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건강관련 앱의 초기 수용에 대한 연구가 아닌 지속적 이용의도가 웨어러블 기기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었다. 벤카테시와 데이비스[31], 조재희[22]의 연구에서 측정된 행위적 의도에 대한 문항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웨어러블 기기가 자체로도 건강관리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 및 스마트폰과의 연동에 초점을 맞춰, 건강 관련 앱의 측면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앱의 이용의도와 만족도가 앱의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도 정적효과를 줄 것으로 예측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헬스 관련 앱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헬스 앱과 연동되어 활용이 예상되는 헬스 관련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를 검증코자 했다. 특히 앱의 사용 효능감, 사용의도, 만족도가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건강관련 앱 사용 효능감은 건강관련 앱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건강관련 앱 사용 효능감은 건강관련 앱 지속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건강관련 앱 만족도는 건강관련 앱 지속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건강관련 앱 만족도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 건강관련 앱 지속사용의도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추적자가 가장 선호하는 웨어러블의 기능은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미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기능에 대해 설문조사한 이마케터(eMarketer)는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자신의 건강을 확인하는 사람들을 ‘자기 추적자(self-tracker)’라고 규정하며, 이러한 사람들은 인터넷 이용자의 31%에 달한다고 밝혔다[3]. 자기 추적자가 가장 선호하는 웨어러블의 기능 또한 운동량 체크나 건강 체크와 같은 건강관리 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실제 헬스 관련 웨어러블 기기의 수용과 지속적 사용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실제 헬스 관련 웨어러블 기기의 수용과 지속적 사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기술의 발전 속도에 비해 관련 연구가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무엇인가? 웨어러블 기기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컴퓨터(착용 가능한 디지털 컴퓨터)를 말하는데, 안경, 시계, 벨트, 목걸이, 티셔츠, 운동화 등 흔히 평소에 사용하던 액세서리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켜 이전과는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기기를 발전시킨 것을 의미한다[4]. 현재는 손목시계 형태의 스마트 워치와 손목 밴드 형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 Park, & B. Kim., A Study on the health care service design by wearable device user activity pattern, KODDCO 2014 conference, 2014. 

  2. D. Gordon, C. Konschak, D. Levin, & W. H. Morris, mHEALTH, Journal of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Vol. 27, No. 4, pp.36-43, 2013. 

  3. J. Lee, Wearable function, the most favorable is health-fitness check, 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127172541 (January 27, 2015). 

  4. H. Park, Is wearable device attractive? Marketing, Vol. 48, No.6, pp. 28-34, 2014. 

  5. M. Sullivan, Samsung wants 'SAMI' and 'Simband' to be the start of a new biohealth ecosystem. http://venturebeat.com/2014/05/28/samsung-announces-simband-biosensor-watch-reference-design/(May 28, 2014.) 

  6. H. Shin, Issue analysis: Mobile healthcare, new medical service. http://www.etnews.com/20141120000155 (Nov. 20, 2014) 

  7.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1997. 

  8. R. A. Landino, & S. V. Owen, Self-efficacy in university facul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3, No.1, pp.1-14, 1988. 

  9. A. Kim, & I.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9, No. 1, pp. 95-123. 2001. 

  10. Y-J. Kwon, Y-S. Park, & U-C. Kim,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support, self-efficacy, happ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Vol. 25, No. 2, pp. 153-172,2007. 

  11. A. Bandura, Health promotion by social cognitive mea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Vol.31, No.2, pp.143-164, 2004. 

  12. D-J. Park, M. S. Kwon. & J. H. Choi,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Kore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17, No.3, pp. 379-413, 2013. 

  13. S. Lim, L. Xue, C. Yen, L. Chang, H. Chan, B. Tai. & M. Choolani, A study on Singaporean women's acceptance of using mobile phones to seek health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Vol.80, No.12, e189-e202, 2011. 

  14. Yun, E. K., & Park, H., "Consumers' disease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on the Internet in Kore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19 20, pp.2860-2868, 2010. 

  15. C. D. Norman, & H. A. Skinner, "eHealth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consumer health in a networked world",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8, No.2, 2006. 

  16. B. Kim, 'Wearable computer', wearable device market opening", Fortune Korea, http://fortune.hankooki.com/fortune_view.php?gs_idx1102 ( Jan. 28, 2014) 

  17. B.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U.S. Patent No. 20,140,308,930. Washington, DC: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14. 

  18. D. Kim, Wearable Device trend and implication, KISDI Report, Vol 25, No. 21, 2013. 

  19. S. Lee, S, You, The current and future of mobile healthcare apps, KISDI report, Vol. 26, No. 17, 2014. 

  20. Y-J. Lee. The effect of information conditions on mental health among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0. pp.17-29. 2013. 

  21. H-J. Son, S-W, Lee, & M-H. Cho, Influent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An Application of the UTAUT2 Mode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68, pp. 7-33, 2014. 

  22. J. Cho,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of determining continuous use of health apps on smartphones, Kore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 18, No. 1, pp. 212-241, 2014. 

  23. P. A. LaBarbera, & D. Mazursky,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dynamic aspect of the cognitive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0, No. 4, pp.393-404, 1983. 

  24.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7, No. 4, pp.460-469, 1980. 

  25. J-H. Choi, D-J. Park, & G-Y. Noh. The effect of attributes of exercise/fitness apps on app usage: A convergence perspectiv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327-339. 2015. 

  26. Y. Do, S, Keum, S., Lee, & J. Lee, The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which influence to the maintenance of using wearable device for healthcare-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user experiences combined with technology, psychology and interaction perspective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2, No.11, pp. 37-45, 2014. 

  27. D. Koh, H. Cho, & Y. Jo.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intentions to use u-health wearable devic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4, Number 3, pp. 1549-1569, 2011. 

  28. J. Kim, Smart phone daily using time 219 minutes, Chosunilbo,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2/2014120200001.html (Dec., 2, 2014) 

  29. S. Fox, & M. Duggan, Mobile health 2012. Washington, DC: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012. 

  30. L. Yi, & W. Xia, A Case Study and Applic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Evaluation System in Tourist Destinations Based and TDCSI, Tourism Tribune, 5, 006. 2004 

  31.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pp.425-478, 2003. 

  32. J. Park, Wearable, still provider dominating market, The financilal news, http://www.fnnews.com/news/201412261043573617 (Dec. 26, 2014) 

  33. S-H. Lee. A study on wearable computing prospect in digital convergenc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0. pp.431-43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