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노년층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 of self-efficacy of middle-aged and elderly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health device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middle-aged and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13 - 22  

신혜리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  김수경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  김영선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중장년층과 노년층 집단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9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를 이용하여, 빈도분석T-test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를 비교한 결과, 중장년층의 이용의도(5.07점)는 노년층(4.86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7.74점) 역시 노년층(6.21점)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연령집단 모두 절반보다 높게 나타나 상당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집단별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층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년층의 경우에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활용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선제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연령집단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 연구의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후속연구로서 유용성, 편의성, 불안 등이 포함된 연구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for digital health devices by middle-aged and aged groups.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019 Korean Senior Technology Accept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하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부분이 갖추어지지 못한다면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가 발생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헬스기기를 통해 중고령자의 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내적 동기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예비 노년층인 중장년층과 노년층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뒤에 이에 대한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건강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연령집단을 구분함으로써 디지털헬스기기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기존의 선행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검증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중장년층과 노년층을 나누어 디지털헬스기기 관련 자기효능감과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자 디지털헬스기기에 특화된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맥박과 수면 정보 등 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첨단기기인 센서를 통하여 수집한 뒤 당뇨 및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은 연령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중장년층(55세~64세이하)과 노년층(65세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모형은 Fig. 1에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맥박과 수면 정보 등 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첨단기기인 센서를 통하여 수집한 뒤 당뇨 및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은 연령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중장년층(55세~64세이하)과 노년층(65세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모형은 Fig.
  •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한 경험 또는 이용한 수준을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아직 디지털헬스기기가 중고령 집단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아 이용의도 변수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용의도 변수는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을 실제로 할 의도가 있는지 여부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령집단별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연령집단을 구분하였다. 500명 중 55세 이상~64세 이하인 중장년층은 총 247명이었으며, 65세 이상인 노년층은 253명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고령자의 디지털 기기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 변수로는 불안[8-10], 자기효능감[4,11-12], 주관적 규범[13-15] 등이 지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수용 및 사용행동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11]되고 있는 자기효능감에 중점을 두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디지털헬스기기를 사용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고령자들이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에 있어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중고령자는 은퇴와 신체적 노화라는 생애주기 변화로 인한 신체·심리·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 주변 환경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며[16, 17], 모바일 기기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사용방법을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디지털헬스기기의 특성상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6]. 다시 말하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부분이 갖추어지지 못한다면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가 발생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2].
중고령자의 디지털 기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이 있는가? 중고령자의 정보격차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접근과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고령자의 디지털 기기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 변수로는 불안[8-10], 자기효능감[4,11-12], 주관적 규범[13-15] 등이 지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수용 및 사용행동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11]되고 있는 자기효능감에 중점을 두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중장년층과 노년층 집단별로 살펴본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를 비교한 결과, 중장년층의 이용의도(5.07점)는 노년층(4.86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7.74점) 역시 노년층(6.21점)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연령집단 모두 절반보다 높게 나타나 상당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집단별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층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년층의 경우에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활용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선제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연령집단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2018 Internet Usage Survey 

  2. S. T. Ahn & J. Y. Lee.. (2019). Older Adults Health Promotion via Mobile Application :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tigm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2), 113-142. DOI : 10.20879/kjjcs.2019.63.2.004 

  3.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2019). Non-financial retirement life of middle-aged people 

  4. Y. W. Kim, S. M. Han & K. S. Kim. (2018).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Digital Healthcare Service of Middle and Older Users. Information Society & Media, 19(3), 1-23. 

  5. Chung, J. E., Park, N., Wang, H., Fulk, J., & McLaughlin, M. (2010). Ag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non-users: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6), 1674-1684. 

  6. Kim, M, Kang, Y, Jung, D & Lee, G. (2013). "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1), 13-22. 

  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Information gap index survey. 

  8. Niehaves, B., & Plattfaut, R. (2014). Internet adoption by the elderly: employing IS technology acceptance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age-related digital divide.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3(6), 708-726. 

  9. Wang, Y. S.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bile computer anxiety scal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8(6), 990-1009. 

  10. M. J. Roh. (2015). A Study on User Acceptance of Mobile Airline Ticketing Apps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5), 69-94. 

  11. Wu, J. H., Wang, S. C., & Lin, L. M. (2007). Mobile computing acceptance factors in the healthcare indus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6(1), 66-77. 

  12. Sun, Y., Wang, N., Guo, X., & Peng, Z. (2013). Understanding the acceptance of mobile health services: A comparison and integration of alternative models.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4(2), 183-200 

  13. Dorin, L., Turner, S. C., Beckmann, L., gro $\ss$ e Schlarmann, J., Faatz, A., Metzing, S., & Buscher, A. (2014). Which need characteristics influence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in home care arrangements in German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4(1), 233. 

  14. Wu, L., Li, J. Y., & Fu, C. Y. (2011). The adoption of mobile healthcare by hospital's professionals: An integrative perspective. Decision support systems, 51(3), 587-596. 

  15. Hsiao, C. H., & Tang, K. Y. (2015). Examining a model of mobile healthcare technology acceptance by the elderly in Taiwan.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18(4), 292-311. 

  16. Baek, H. (2006).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overty among the Po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1): 5-39 

  17. H. J. Hwang & Y. S. Hwang. (2017). Gaps and Reasons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in Korea : Focusing on Household Composition.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4(3), 359-386. 

  18. J. S. Lee. (2014). Digital healthcare platform and major company trends. Health Industry Brief,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40. 

  19.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lanning & evaluation(2017). Digital healthcare. Global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trends and challenges. 

  20. Zebra Technologies. (2017). 2022 Hospital Vision Study Report. Illinois, USA : Zebra Technologies 

  21. Accenture. (2019). Australian Seniors Ride Digital Care Wave. Ireland, Dublin : Accenture 

  22. Palsson, S., Ostling, S., & Skoog, I. (2001). The incidence of first-onset depression in a population followed from the age of 70 to 85. Psychological medicine, 31(7), 1159. 

  23. Rogers, R. G. (1996). The effects of family composition, health, and social support linkages on mortal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26-338. 

  24. B. E. Jung.(2007).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aged and elderly. Sungkyunkwan University Servey Research Center &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6. D. J. Lee, S. C. Lee & Y. H. Seo. (2013).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on Information Systems(IS) Success Model. J Korean Soc Qual Manag Vol, 41(2), 277-288. 

  27. Z. Deng, X. Mo, & S. Liu. (2014). Comparison of the middle-aged and older users' adoption of mobile health service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3(3), 210-224. DOI : 10.1016/j.ijmedinf.2013.12.002 

  28. M. Y. Sim. (2015). The Relation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midlife : Mediating Self-Effic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9. J. Y. Park. (2014). A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Middle-Aged Women's on the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8(4), 257-270. 

  30. I. S. Yeom. (2019).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Peopl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0), 472-486. DOI : 10.5392/JKCA.2019.19.10.472 

  31. Li, L. W., & Liang, J. (2007). Social exchang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Chinese: Does age make a difference?. Psychology and Aging, 22(2), 386. 

  32. I. Y. Jung. (2017).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Integr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4), 423-438. DOI : 10.21097/ksw.2017.11.12.4.4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