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농업 인식도 및 수용의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Farm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n Sustainable Agricultur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2, 2015년, pp.247 - 265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 ,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 ,  문동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 ,  한재환 (순천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farm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farm survey was conducted using target respondents which were made of the local correspondents and reporters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농업인 대상 설문조사 문항은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인식 5문항, 지속가능한 농업 이슈 4문항, 지속가능한 농업의 애로사항 및 실천경험 5문항, 지속가능한 농업 채택 의향 및 정책방향 11문항, 응답자 특성 3문항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의 특성상 조사대상자인 농업인들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문응답을 할 경우, 응답결과를 수용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설문문항을 제시하기 전에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에 대한 설명문을 제시하였다.5)
  • 이 연구는 농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의 인식도 및 수용의향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농업 확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주로 정성적 분석에 의존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제 간 연구협력을 통해 환경성 및 사회성 제고의 경제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농가의 인식도와 수용의향을 분석하였다. 웹 시스템을 이용하여 농가 설문조사를 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헤크만의 2단계 추정절차에 의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농업이란? 지속가능한 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은 생명의 순환과 공생의 원리에 철학적 기초를 두고 인간은 자연의 정복자가 아닌 공생자라는 시각에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한다(Dragun and Tisdell, 1999). 이러한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은 농업 생산 활동과 자연환경의 조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은 생명의 순환과 공생의 원리에 철학적 기초를 두고 인간은 자연의 정복자가 아닌 공생자라는 시각에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한다(Dragun and Tisdell, 1999). 이러한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은 농업 생산 활동과 자연환경의 조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통일된 개념은 정립되지 않아 국가 또는 국제기구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여러 가지 유사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첫째, 초기 지속가능한 농업 실천에 따른 소득감소를 해소할 적절한 경제적 유인 수단이 요구된다. 하나의 예로 상호 준수제도를 들 수 있으며, 유럽에서 시행되고 있는 환경친화적인 상호준수 방식의 정책프로그램을 우리나라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농경지의 지속적인 지력 유지를 위한 기술, 작물양분 및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의 확립, 미생물 농약 및 천적을 활용한 친환경 병해충 방제기술, 경종과 축산이 연계된 순환농업 정착을 위해 가축분뇨 및 농업부산물의 자원화 기술 등의 지속가능한 농업의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주요 교육내용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 제고방안, 우리농업이 직면한 환경 및 사회적 실태 관련 정보 제공방안, 개발된 기술의 효과적인 보급, 사회적 갈등 해소 방안 등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시청각 자료 및 지속가능한 농업 실천 매뉴얼 개발, 교육담당 전문강사 발굴 및 육성 등 교육 및 훈련 인프라 구축에 과감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지속가능한 농업의 기반시설 확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농업생산의 지속적인 생산성 유지를 위한 토양환경개선의 추진이 필요하다. 토양개량제 및 유기물 시용 등에 의한 토질개선으로 토양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안정적인 농업생산을 위한 우량농지 확보를 위해 생산 기반이 정비된 농업진흥지역 농지 등은 최대한 보전하는 등 기존 농지의 합리적 이용 및 보전이 요구된다. 지속가능한 농업이 추가할 가치가 있는 농업이라면 농지를 더 확보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다른 산업을 위한 용지보다도 농업을 위한 용지를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때 식량안보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Y. T. 2007. The Paradigm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Monthly Seminar Paper 163. Center for Food, Agricultural and Rural Policy. 

  2. Choi, J. Y. and E. S. Shin. 1998. Research on Management Practic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Agricultural Area. Research Repor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De Koeijer, et al. 2005. Measuring agricultural sustainability in terms of efficiency: the case of Dutch sugar beet grower.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6: 9-17. 

  4. Dragun, A. K. and C. Tisdell. 1999.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Globalization and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Cheltenham, UK: Edward Elgar. 

  5. FAO. 1989. Sustainable Development an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Twenty-Fifth Conference, Paper C 89/2 - Sup.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ome. 

  6. Jeong, H. K. 2000. An Analysis bout The Level of Farmers's Accept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Researching About the Farmers Who live in Nam-Yang-Ju City, Kyung-gi Provi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7. Kang, B. S. 1992.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Challengers in Sustainable Agriculture. NongKyoung Journal. 5: 58-65. 

  8. Kim, C. G. 2004. Concepts and Major Activation Task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Quarterly Journal of Agricultural Policy Research. 9: 155-42. 

  9. Kim, C. G. and C. Y. Kang. 2002.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Regional-Based Agri-Environmental Model. Research Report R44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0. Kim, C. G. and J. H. Kim. 200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Report C2002-1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 Kim, C. G., H. K. Jeong, D. H. Moon, and C. Tisdell. 2014. Research on Establishing Sustainable Agriculture System in Korea (year 2 of 2). Research Report R73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Kim, C. G., H. K. Jeong, and Y. H. S. G. Lee. 2008. Performance of Project for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and Their Follow-up Plans. Research Report C2008-4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3. Kim, C. G., J. S. Kim, Y. H. Kim, H. K. Jeong, J. H. Chae, J. E. Lim, and T. H. Kim. 2011.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Promoting Green Growth in Agriculture and Rural Sectors (yer 2 of 2). Research Report R63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4. Kim, C. G., T. Y. Kim, and Y. K. Shin. 2005. Implementation Program for Introducing Regional-Based Maximum Nutrients Loading System. Research Report C2005-5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5. Kim, C. S. and T. K. Kim. 1993. An Analysis on Farmers' Preference on Organic Farming and Their Adaptation level. The Journal of Management and Economics. 21(3): 59-72. 

  16. Kim, H. and W. H. Cho. 1995.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Preference Model and An Analysis on Farmers' Preference Under Trade Liberaliz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1(3): 59-72. 

  17. Kim, H. S. and J. M. Shim. 2004. Social Conflicts in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and Their Management: Focusing on Two Recent Cases. Research Report R48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8. Kim, J. M. 1992. Research on Definition and Economics of Organic Farming Method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2): 19-28 

  19. Kim, M. H., S. H., Han, and T. W. Kim. 2014. 2014 Agricultural and Rural Economic Trends and Outlook. 2014 Korea Agricultural Outlook : 23-3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 Kim, Y. S. and J. J. Lee. 2008. Analysis of agricultural policy for promotion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Kor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2(2): 351-369. 

  21. Oh, H. S. 1992.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Agricultural Issue. NongKyoung Journal, 5: 18-27. 

  22. Oh, H. S. et al. 1993. Agriculture and Environment: Challeng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armers Newspaper Corporation. 

  23. Oh, S. I. and C. Y. Kang. 1993. A Basic Research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Research Report R28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4. Oh, S. I., C. Y. Kang, C. G. Kim, U. Ko, and J. U. Hwang. 2005. A Study for Analyzing Environmentally-Friendly Rice's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Promoting its competitiveness. Research Repor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5. Ryu, S. H. and H. M. Ro .Development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suitable for korean geography and farming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6.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SARE). 2014. . 

  27. UN. 1987.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28. USDA. 1999. Sustainable Agriculture: Definition and Terms. Special Reference Brief Series No. SPR99-02. . 

  29. Yoo, D. K. 1995. An analysis of economic Efficiency of Investment - Program in Organic Farming.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1(3): 59-72. 

  30. Yoo, S. H. and H. M. Ro. 1996. Development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Suitable for Korean Geography and Farming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