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멀미 경감 연구를 위한 전정안구반사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vestibulo-ocular reflex measurement system for the study of cybersicknes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1, 2015년, pp.27 - 38  

전현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장은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박찬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정지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정안구반사(VOR; vestibulo-ocular reflex)는 머리가 움직이는 동안 안정된 망막상을 얻기 위해 일어나는 안구의 보상적 움직임이다. 망막정보와 전정신호가 감각갈등(sensory conflict)을 일으키면 멀미가 일어나며, VOR 이득(gain)이 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보고에서는 VOR을 측정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저렴한 시스템을 LabVIEW와 Arduino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VOR의 특징적 변화를 두 가지 실험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자기회전검사법을 이용하여 실험참가자(n = 4)의 수평 및 수직 전정안구반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가상환경 하에서 실험참가자(n = 8)가 정지된 화면을 볼 때와 사이버멀미(cybersickness)를 경험하는 3D 가상주행 영상에 노출되었을 때의 머리 움직임과 안구 운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상주행을 경험할 때 특징적인 머리 움직임과 안구 운동이 측정되었다. 본 보고에서 소개한 전정안구반사 측정 시스템은 가상환경에서의 사이버멀미 경감을 위한 심리생리학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stibulo-ocular reflex (VOR) is a compensatory response of the extraocular muscles generated by vestibular signals to stabilize images on the retina during head/body movements. It has been reported that mismatches between retinal and vestibular information, which cause motion sickness or cybersick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유로운 머리 및 몸의 회전운동과 그에 따른 안구운동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목적 전정안구반사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하드웨어로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Arduino를 도입하였다.
  • 실험 1에서는 본 시스템이 인체의 전정안구반사 운동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을 인체에 적용하기에 앞서, 먼저 하드웨어 제작에 사용된 자이로스코프 센서 칩(GY-521 관성측정장치 모듈)의 물리적 성능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실험 2에서는 본 측정 장비를 착용한 실험 참가자를 가상환경에 노출시키고, 이 때 경험하는 안구 및 머리 회전(전정활동) 운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사이버멀미 및 가상현실 연구에 대한 본 시스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정안구반사는 무엇인가? 전정안구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는 머리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안 그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안구운동이다. 이러한 반사 운동은 머리가 회전하는 동안 망막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올바른 주시(gaze)를 돕는다.
기존 전정안구반사 측정 장비의 제한점은? 그런데 기존 전정안구반사 측정 장비들은 전정질환 진단용으로 전문화되어 있다. 따라서 심리학 및 인간공학 연구 현장에서 쉽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비디오 안구운동 검사장비(안선엽 등, 1997),안전도(electrooculogram; EOG)를 이용한 안구움직임 검사장비(박양선 등, 2008) 등 인체의 눈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저가형 장비는 소개된 바가 있으나, 머리 회전 운동과 안구 운동을 모두 반영한 전정안구반사측정 장비는 아직 개발된 바가 없다.
전정 안구 반사 운동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전정안구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는 머리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안 그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안구운동이다. 이러한 반사 운동은 머리가 회전하는 동안 망막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올바른 주시(gaze)를 돕는다. 전정안구반사는 말초 전정기관에서 생성된 신호가 세 개의 뉴런이 관여하는 반사궁(three-neuron arc)을 거쳐 외안근(extraocular muscle)에 작용하여 발생하며 지연 시간은 10-15 ms로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이 특징이다(김병건,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 Y., Kim, M. N., Won, C. H., Chae, S. P., Lee, S. H., & Cho, J. H. (1997). Implementation of a image processing system for VOR signal acquisition (전정 안구 반사 신호 획득을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현), Proceedings of Korea Signal Processing Conference 1997, 10(1), 949-952. 

  2. Aoki, M., Burchill, P., Ito, Y., Gresty, M. (1998). Asymmetry of vestibular function induced by unidirectional visual-vestibular conflict, Acta Oto-laryngologica, 118, 628-634. 

  3. Beogher, N. (2013, December 8). LIFA MPU-60X0 [Web community documents]. Retrieved from https://decibel.ni.com/content/docs/DOC-34263 

  4. Cho, Y. C., Kim, M. S., & Yoon, J. O. (2013). A study on the electrical difference for the limbs and thoracic impedance using real-time bio-impedance measurement system (실시간 생체임피던스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사지와 흉부 임피던스에 대한 전기적인 차이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18(6), 9-16. 

  5. Collewijn, H., Van Der Mark, F., Jansen, T. C. (1975). Precise recording of human eye movements, Vision Research, 15, 447-450. 

  6. Di Girolamo, S., Picciotti, P., Sergi, B., Di Nardo, W., Paludetti, G., & Ottaviani, F. (2001). Vestibuloocular reflex modification after virtual environment exposure, Acta Oto-laryngologica, 121(2), 211-215. 

  7. Haslwanter, T., & Moore, S. T. (1995). A theoretical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eye position measurement using polar cross-correl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42(11), 1053-1061. 

  8. Hwang, S. T., Park S. I., Won, M. J., & Hwang, M. C. (2013). Variation of facial temperature to 3D visual fatigue evoked (3D 시각피로 유발에 따른 안면 온도 변화).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4), 509-516. 

  9. Imai, T. (2003). Video-occulography (VOG) -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eye movement -, Equilibrium Research 62(2), 61-74. 

  10. Kim, B. K. (2002). Anatophysiology of Central Vestibular System (중추전정계의 신경해부생리).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1(2), 176-183. 

  11. Kim, J. S. (2013).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이비인후과학. I : 기초.이과 : 두경부외 과학), Seoul: Iljogak. 

  12. Kim, S. H. (2010). Anatomy and physiology of vestibulo-ocular reflex (전정안반사의 해부와 생리),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9(S1), S19-S24. 

  13. LaViola, Jr., J. J. (2000). A discussion of cybersickness in virtual environments. SIGCHI Bullentin, 32(1), 47-56. 

  14. Lee, C. H., Kim, G. D., Hong, J. E., Kwon, J. W., & Lee, D. H. (2009). A Study on mobile based EEG display and device development (모바일기반으로한 EEG표시 및 장치개발에 관한 연구), Proceedings of Information and Control Symposium 2009. 145-147. 

  15. Lee, S. C. (2013). Video Control for Beginners with LabVIEW and USB Cameras (초보자를 위한 LabVIEW와 USB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제어), Seoul: Book Lab. 

  16. Lee, S. I., & Kwak, H. W. (2010). Improvements of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of the low-cost eye-tracking device (저비용 안구운동추적 장치의 시공간 해상도 개선),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2(4), 639-649. 

  17. Lee, S. I., Sohn, Y. J., Kwak, H. W., Jang, Y. M., & Lee, M. H. (2011). Verifications of the low-cost eye-tracker KSL-240 (저비용 안구운동 추적기 KSL-240의 개발과 기기 타당도 검증: Tobii 1750을 사용하여),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4), 653-663. 

  18. Li, H. C. O., & Moon, K.-I. (2012). Validity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using EEG (EEG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 로 측정방법에 대한 타당화 연구),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5(1), 17-28. 

  19. Park, S. H. & Park, J. S. (2014). Measuring fear levels using Arduino device (아두이노 장치를 활용한 사용자의 공포 정도 측정),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2014. 1933-1935. 

  20. Park, Y. S., Kim, H. S., Yi, J. H., & Lim, Y. T. (2008). Technical note: development of wireless electrooculography system to measure vestibulo ocular reflex (단신: 전정 반사 분석을 위한 안구 움직임 무선 측정 장치 개발),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8(1), 39-43. 

  21. Song, M. H., Kim, S. C., Nam, K. C., Kim, D. W., Shin, Y. S., & Lee, W. S. (2004). Real-time measurement of 3-dimensional eye movements by videooculography (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3차원 안구 운동 측정),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3(1), 161-169. 

  22. Warren, S., & Ross, R. G. (1998). Deficient cancellation of the vestibular ocular reflex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34, 187-193. 

  23. Yardley, L., & Redfern, M. S. (2001).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recovery from balance disorders, Anxiety Disorders, 15, 107-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