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우는 맥락 상황에서의 사용자 경험(UX)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UX) in the Usage Context of Erasing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2, 2015년, pp.65 - 74  

신영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과학협동과정) ,  이선화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전공) ,  김연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전공) ,  임채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과학협동과정) ,  김진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주요 흐름인 '발전과 진화'의 방향성에서 한발 물러나, '지우는' 경험과 그 감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키워드인 지우는 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조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맥락 질문법을 진행하였다. 맥락 질문법의 경우, 아날로그적인 연필-지우개 사용맥락, 디지털의 대표적인 맥락인 컴퓨터-키보드 사용맥락,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한 활용을 보이는 Tablet PC 사용맥락에 따른 사용자들을 모집한 후, 각각의 사용맥락에 대한 In-depth한 정성적 인터뷰 및 정량적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우는 맥락에서는 특정 내용을 잘 지워내는 상황적 효용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도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 진행된 탐험적 시도 및 실증적 결과들은 향후 연구들에 대한 학술적 접근과 함께 실용적 관점에서의 디자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people start to focus on the value of 'Mindfulness' and 'Slowness', instead of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Advancement' in their whole life. According to this background, we attempted to find new research opportunities on User Experience(UX) in usage context of 'Erasing'. Throu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점화자극인 ‘Word Stem’을 제시하여 참가자의 암묵기억을 확인하는 형식의 실험 패러다임을 차용 및 적용하였다(Graf & Haden, 1982). 다시 말해, 우연학습을 통해 저장된 암묵기억의 단어들에 대해 재인 단서를 하나의 점화자극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기억 수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실험 참가자가 3음절의 초성힌트를 보고 작성한 답안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정답률의 측정을 위해, 작성을 시도한 총 단어 수에 대한 정답률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기존 대부분의 ‘쓰는 경험’에 대한 연구의 흐름들 속에서, ‘지우는 경험’의 고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다음 절에서부터는 이러한 관련 연구들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바탕으로, 정성적인 맥락 질문법에 근거한 실제적 고찰 및 정량적인 고찰까지도 함께 진행해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기억 속의 기억 수행에서부터, 지우는 경험 자체가 실험자의 인지과정에서 점화를 일으키고, 이를 통한 행동의 발현으로까지 확장되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나 암묵기억 체계의 기억 네트워크 안에 저장되는 내용들과 만족스러운 경험 사이의 연합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관심사였던 쓰는 맥락이 아닌 지우는 맥락 상황에서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맥락 질문법은 정성 조사 방법의 하나로 연구자들이 사용자 경험 맥락에 직접 참여하여, 행동을 관찰하고, 그 안에서의 경험 맥락들을 토대로 새로운 연구 방법이나 디자인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조사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우는 맥락들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전반적 경험 상황에 대한 맥락 질문법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물론 상황 자체는 동일할 수 있지만, 기기 사용자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들은 분명 또 다른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참가자의 행동적, 감성적 반응들과 함께, 자기 보고 형식의 인터뷰 내용들을 바탕으로 지우는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하였다.
  • 따라서 해당 연구의 논의 부분에서는 ‘지우는 경험 맥락’에 대한 학제적, 실용적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적 내용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그러한 발전적인 방향성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었던 ‘언어와 문자’ 체계를 보다 세분화된 연구 범위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과 감성과학의 측면에서의 고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적 흐름에서 ‘지움’을 키워드로 하는 감성 과학 분야의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명확한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의 내용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해당 현상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설명의 키워드나 설명 체계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최종적으로 관련 논의들에 대한 고찰의 과정을 요약해 본다면, 시대적-인문학적 모티브의 측면에서는 철학의 무소유 개념, 연구의 이론적 개념들과 방법론적 참고의 측면에서는 심리학의 처리적 유창성과 정서적 만족감, 그리고 잠재기억과 점화효과에 대한 논의들을 통합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찰을 통한 도메인 적용 및 활용의 측면에서는 HCI 적 관점들을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기존 대부분의 ‘쓰는 경험’에 대한 연구의 흐름들 속에서, ‘지우는 경험’의 고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발전적 경향성의 대표적 단상인 인간의 쓰는 행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쓰는 행위 이후의 지우는 행위에 보다 주목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함으로써, 지움에 대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 특히나 인간과 기술,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의 관점에서 사용자들의 지우는 경험에 대한 통합적, 감성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학술적 연구와 실용적 제품 또는 서비스 개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의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기존 대부분의 ‘쓰는 경험’에 대한 연구의 흐름들 속에서, ‘지우는 경험’의 고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도 이러한 시대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 한계의 극복과 발전의 방향성에서 한 발 물러나 ‘더하는’ 가치에 초점을 두는 연구가 아닌, ‘비우는’ 경험과 행위들의 중요성을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 부수적으로, 맥락 질문법을 포함한 정성적 방법론들이 지닌 한계의 극복과 향후 실증적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지우는 경험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 방법의 모색도 함께 고민해보았다. 정성적 방법론과 응용 분야의 선택적 한계로 인해, 결과 분석에 있어서의 통계적 엄정성 수준은 엄격한 실험 연구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 또한 이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함으로써, 지움에 대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 특히나 인간과 기술,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의 관점에서 사용자들의 지우는 경험에 대한 통합적, 감성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학술적 연구와 실용적 제품 또는 서비스 개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의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해당 연구의 궁극적 연구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우연학습과 재인과제의 패러다임 안에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기준에 따라 총 20개의 3음절 일반 명사들을 선정하였다(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2). 선정 단어들은 사용맥락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A4 사이즈의 종이를 기준으로 동일한 배율로 보일 수 있도록 Tablet PC와 컴퓨터 맥락별로 조건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단어 암기에 있어서는 순서화된 지각 및 암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어 배치와 레이아웃의 구성이 규칙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배치하였다(Figure 1).
  • 이와 같은 연구적 기회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간 한계의 극복과 발전적 방향을 추구해온 현재까지의 지배적 연구 경향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적 기회의 탐색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발전적 경향성의 대표적 단상인 인간의 쓰는 행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쓰는 행위 이후의 지우는 행위에 보다 주목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함으로써, 지움에 대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주제들 속에서, 글 쓰는 맥락과 관련해서는 Handwriting이 사후 기억 측정 과제의 수행에 긍정적 재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연구 결과를 참고하고자 하였다(Longcamp et al., 2006). 물론 이러한 논의들도 인간에게 보다 더 이로울 수있는 기술적 발전을 항상 주요 관심사로 두고 있기 때문에, 지우거나 비우는 맥락에 특화된 HCI적 연구들은 역시나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연구적 기회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간 한계의 극복과 발전적 방향을 추구해온 현재까지의 지배적 연구 경향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적 기회의 탐색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발전적 경향성의 대표적 단상인 인간의 쓰는 행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쓰는 행위 이후의 지우는 행위에 보다 주목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기억 속의 기억 수행에서부터, 지우는 경험 자체가 실험자의 인지과정에서 점화를 일으키고, 이를 통한 행동의 발현으로까지 확장되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나 암묵기억 체계의 기억 네트워크 안에 저장되는 내용들과 만족스러운 경험 사이의 연합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관심사였던 쓰는 맥락이 아닌 지우는 맥락 상황에서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해당 연구는 기존의 전 사회적 관심사인 발전과 상승의 관점에서 한발 물러나, 비우고 지우는 관점과 그 가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확장되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는 측면에서, 좁게는 학문적 영역에서부터 넓게는 사회 전반에 적용 가능한 시대적 가치를 인간의 ‘경험’의 측면에서 다루는 의미성을 지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우는 경험에 있어서의 처리적 유창성이란? 최근에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그러한 ‘느낌’적 영향력이 다른 판단 근거들보다 더 강력하게 작용할 수있음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Laham, Alter, & Goodwin, 2009; Laham, Koval, & Alter, 2012). 따라서 지우는 경험에 있어서의 처리적 유창성이란 지우는 행위 및 결과상으로 행위자가 잘 지워졌다는 느낌을 받게 유도하는 것이라 정의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지우는 행위자들에게 이러한 처리적 유창성을 자연스럽게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행위자가 어떤 맥락에서 어떠한 도구들을 활용하려 하는지에 대한 선행적 고찰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HCI 분야의 연구적 관점에서 쓰고 지우는 방식 세 가지는? 또한 HCI 분야의 연구적 관점에서 생각해 본다면, 쓰고 지우는 방식에 있어서 발전시켜온 도구들은 크게 세 가지의 맥락 특이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Godwin-Jones, 2003; Longcamp, Zerbato-Poudou, & Velay, 2005). 보다 구체적으로는1)연필로 쓰고, 지우개로 지우거나, 2)컴퓨터 작업 시 지우려는 위치에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해 커서를 위치시키고, Backspace 또는 Delete Key를 눌러서 지우거나, 3)마지막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용 맥락에 따라 Tablet PC나 스마트폰의 터치를 통해 가상의 기기환경에서 그림판처럼 쓰고 지우는 맥락들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구분에 따른 각각의 상황은 다를 수 있지만, 행위자들은 지우는 행위를 통해 지운 내용에 대한 기억은 희미해지며, 지우는 행위의 결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는 공통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맥락 질문법을 어떻게 진행하였는가? 이를 위해, 지금까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키워드인 지우는 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조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맥락 질문법을 진행하였다. 맥락 질문법의 경우, 아날로그적인 연필-지우개 사용맥락, 디지털의 대표적인 맥락인 컴퓨터-키보드 사용맥락,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한 활용을 보이는 Tablet PC 사용맥락에 따른 사용자들을 모집한 후, 각각의 사용맥락에 대한 In-depth한 정성적 인터뷰 및 정량적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우는 맥락에서는 특정 내용을 잘 지워내는 상황적 효용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도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ter, A. L., & Oppenheimer, D. M. (2009). Uniting the tribes of fluency to form a metacognitive 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3, 219-235. 

  2. Anderson, J. R. (1990).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5th Ed.), New York: Freeman. 

  3. Bailey, J. E., & Pearson, S. W. (1983).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29(5), 530-545. 

  4. Bargh, J. A., Chen, M., & Burrows, L. (1996). Automaticity of social behavior: Direct effects of trait construct and stereotype activation on 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2), 230-244. 

  5. Beyer, H., & Holtzblatt, K. (1997). Contextual Design: A Customer-Centered Approach to Systems Designs (Interactive Technologies), San Francisco: Morgan Kaufmann. 

  6. Bop, J. (1999). Do Not Have, Seoul: Bumwoosa. 

  7. Diamond, J. M. (1998). Guns, germs, and steel: A short history of everybody for the last 13,000 years, London: Random House. 

  8. Doll, W. J., & Torkzadeh, G. (1988).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12(2), 259-274. 

  9. Eich, E. (1984). Memory for unattended events: Remembering with and without awareness, Memory & Cognition, 12(2), 105-111. 

  10. Godwin-Jones, R. (2003). E-Books and the Tablet PC.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7(1), 4-8. 

  11. Graf, P., & Haden, P. (1982). Simulating amnesic symptoms in normal subjects, Science, 218(4578), 1234-1244. 

  12. Jacoby, L. L., & Dallas, M. (1981).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perceptual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0(3), 306-340. 

  13. Jacoby, L. L., & Kelley, C. M. (1987). Unconscious influences of memory for a prior event,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13(3), 314-336 

  14. Jeong, S. H. (2010). The Comparison of the User's Emotions Before and After Using a Product (제품 사용 전후의 사용자 감성 비교),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3(4), 761-768. 

  15.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Kim, J. W. (2012). Human-Computer Interaction, Seoul: Ahngraphics. 

  17. Kwon, J. H., Noh, E. Y., Park, M. A., Yang, Y. A. Choi, H. S. Park, S. J., & Park, S. H. (2008). Impact of Aging on Performing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ask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2), 47-58. 

  18. Laham, S. M., Alter, A. L., & Goodwin, G. P. (2009). Easy on the mind, easy on the wrongdoer: Discrepantly fluent violations are deemed less morally wrong, Cognition, 112(3), 462-466. 

  19. Laham, S. M., Koval, P., & Alter, A. (2012). The name-pronunciation effect: Why people like Mr Smith more than Mr Colquhou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8(3), 752-756. 

  20. Longcamp, M., Bourcard, C., Gihodes, J.-C., & Velay, J.-L. (2006). Remembering the orientation of newly learned characters depends on the associated writing knowledge: A comparison between handwriting and typing, Human Movement Science, 25(4-5), 646-656. 

  21. Longcamp, M., Zerbato-Poudou, M. T., & Velay, J. L. (2005). The influence of writing practice on letter recognition in preschool children: A comparison between handwriting and typing, Acta Psychologica, 119(1), 67-79. 

  22. Lynch, M. (2002). The culture of control: Crime and social order in contemporary society, Political and Legal Anthropology Review, 25(2), 109-112. 

  23. Murayama, K., & Kitagami, S. (2014). Consolidation power of extrinsic rewards: Reward cues enhance long-term memory for irrelevant past even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3(1), 15. 

  24. Reber, R., Schwarz, N., & Winkielman, P. (2004). Processing fluency and aesthetic pleasure: Is beauty in the perceiver's process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8(4), 364-382. 

  25. Seo, J. H., & Lee, K. P. (2010). A Study on the Emotional Quality Design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the User Experience with Emphasis on the User Interface Design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감성 품질 디자인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3(3), 523-532. 

  26. Sparrow, B., Liu, J., & Wegner, D. M. (2011). Google effects on memory: Cognitive consequences of having information at our fingertips, Science, 333(6043), 776-778. 

  27. Spreng, R. A., MacKenzie, S. B., & Olshavsky, R. W. (1996). A Re-examination of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3), 15-32. 

  28. Staple, D. A., & Blanton, H. (2004). From seeing to being: Subliminal social comparisons affect implicit and explicit self-evalu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4), 468-481. 

  2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2). the list of words in the investigation of frequently used modern Korean words,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ess. 

  30. Toffler, A. (1981). The third wave (pp. 111-120), New York: Bantam books. 

  31. Tulving, E., & Schacter, D. L. (1990). Priming and human memory system, Science, 247(4940), 301-306. 

  32. Tulving, E., Schacter, D. L., & Stark, H. A. (1982). Priming effects in word-fragment completion are independent of recognition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8(4), 336-342. 

  33. Whitehead, A. N. (2011). Science and the moder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