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만족도에 기반 한 서비스 UX 인덱스 구축 -모바일 컨텐츠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Building Service UX Index : Measuring UX Satisfaction in Mobile Content Services 원문보기

한국HCI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9 no.2, 2014년, pp.41 - 51  

박종민 (SK Planet UX 전략실) ,  하현남 (SK Planet UX 전략실) ,  홍상우 (SK Planet Biz Intelligence 그룹) ,  정경원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성 평가는 User Interface(UI)의 완성도를 진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UX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기반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가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지각되고, 어떤 경험 요소들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파악하는 데는 사용성 평가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비록 사용성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나의 요소이나, 그 외에 다양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태도, 시장 성숙도 및 경쟁 현황 등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인 변수 등은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사용성뿐만 아니라 실제 시장에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내적, 외적 경험 요소들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 컨텐츠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전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UX 인덱스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설계된 UX 인덱스를 기반으로 실제 출시되어 운영 중인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정량 설문 분석을 통해 모델을 검증하고, 결과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본 인덱스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bile content services like apps for smart mobile devices in specific,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ng UX quality to make sure that it provides better experience to users and consequently, secures competitiveness in a market. In that sense, usability testing has been consider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밝혀진 경험 요소들 중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라는 서비스 특성에 부합하는 주요 경험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 형식의 파일럿 설문을 통해 1차적 인 이론적 UX Index 연구 모델을 설계하였다. 단 해당 파일럿 설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특정 서비스가 아닌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 전반에 대해 사용자 가 주요하게 지각하는 경험 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는 사용성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긴 하나, 이미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하며 그 외에 사용자의 기대와 같은 내적변수나, 시장 내 경쟁 상황과 같은 외적 변수들은 포괄하지 못하는데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일회성 구매에 한정되는 제품과는 달리,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의 탐색 -결정-초기사용-지속적사용 전반에 걸쳐 경험되는 모든 것들이 사용자가 최종 지각하는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통해 경험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UX 만족도 진단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1] 그러나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 자 경험과 이에 따른 만족도는 사용성 외 다른 변인들이 작용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시적 관점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험 요소들을 기 연구된 다양한 소비자 만족도 관련 문 헌 고찰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의 결과에 대한 요 약은 표 1과 같다.
  • 설문 결과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유사 및 중복 요인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주요 경험 요소와 만족도 간의 인 과 관계를 파악하는 한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각 경로 간의 가중치 산출한 후 해당 모델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검증된 모델을 기반으로 설문 결과 에 대한 분석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주요 경험요소를 파악하는 한 편,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해 최종 지각하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진단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거시적인 차 원에서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평가 및 진단이 가능한 UX 인덱스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사전에 정의한 5개 서비스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카테고리 별로 사용자의 최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요인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각 경험요소 와 만족도 간 경로계수(Path Co-efficiency) 도출을 통해 파악 하고자 하였다. 각 카테고리 별로 파악된 모델은 그림 4-그림 8과 같다.
  • 먼저 1970년대부터 연구되어 온 소비자 만족도 모델(Customer Satisfaction Index Model, CSI)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서비 스 도메인 전반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통해 지각하는 경험요 소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밝혀진 경험 요소들 중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라는 서비스 특성에 부합하는 주요 경험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 형식의 파일럿 설문을 통해 1차적 인 이론적 UX Index 연구 모델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컨텐츠 기반 서비스에서 서비스 사용 전반에 걸쳐 지각되는 경험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 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각 경험 요인 간 상관관계를 밝혀냄으 로써, 서비스에 대한 UX 만족도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인덱스 를 구축 및 제안하였다.
  • 반면 손쉬운 사용(Ease of Use), 지각된 감성(Perceived Enjoyment), 지각된 안정성(Perceived Security)의 3가지 요소 는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그 유의성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쉬운 사용의 경우 지각된 사용성 내 세부 항목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설문 분석 시 노이즈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설문 항목을 지각된 사용성 항목과 통합 후 이후 진행될 본 설문에서 요인 분석을 통해 통합된 항목들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감성의 경우, 엔터테인적인 컨텐 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이후 본 설 문에도 추가하여 재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 앞서 제시된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스마트 기기를 매개로 한 모바일 컨텐스 서비스에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 요소를 밝히고, 2)이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요 소와 이에 의해 지각된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및 진단할 수 있는 UX 인덱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파일럿을 통해 설계된 연구 모델의 경우 모바일 컨텐츠 서비 스 전반에 대한 설문을 통해 도출된 것으로, 실제 다양한 카테 고리의 서비스를 포괄할 수 있는지 검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 다. 이에 실제 국내에서 운영되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기 구축된 연구모델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서비스 카테 고리를 선정한 후 카테고리 별로 경쟁 관계에 있는 2개의 대표 서비스, 총 10개 서비스를 선정하여 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 그러나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경험 요소들의 경우, 각기 다른 이론 및 모델에서 파악된 요소들로써 각 요소간의 인과관 계가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며, 더욱이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라 는 도메인의 특성에 부합하는지는 파악할 수 없다. 이에 정량적 파일럿 서베이 방식의 실증 연구를 통해 문헌 연구에서 도출된 경험 요소들을 검증하고, 이후 각 요소와 만족도 간의 인과 관 계를 규명하여,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에서의 UX 인덱스에 대 한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손쉬운 사용의 경우 지각된 사용성 내 세부 항목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설문 분석 시 노이즈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설문 항목을 지각된 사용성 항목과 통합 후 이후 진행될 본 설문에서 요인 분석을 통해 통합된 항목들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감성의 경우, 엔터테인적인 컨텐 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이후 본 설 문에도 추가하여 재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세부 항목의 경우, 크게 서 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신뢰도 및 서비스 운영에 의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신뢰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최종 UX 인덱스 에서는 지각된 신뢰도(Perceived Reliability)로 명칭을 수정하 여 해당 요인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표현하고자 하였다. 지각 된 신뢰도의 경우 타 경험 요인과 마찬가지로 최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에 있어 출 시 전 서비스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출시 후 지속적으로 사용자와 Communication 하는 과정 역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정량적 설문 결과를 기반 으로 경험 요소 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적용하여 최종 만족도 지수를 최종적으로 도출한다. 이렇게 가중치를 도출하고 적용 하는 기본 가정은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지각하는 만족도는 각 경험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의 합이 최종 만 족도로써 대표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서비스의 경우 대부 분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여도 하나의 불만족스러운 경험요소 로 인하여 서비스 전체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하기도 하고, 그 반 대로 사용하기 어렵고 유용성이 떨어지는 서비스라도 특정 경 험요소에 의해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성 평가가 UX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용성 평가는 User Interface(UI)의 완성도를 진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UX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기반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가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지각되고, 어떤 경험 요소들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파악하는 데는 사용성 평가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기대 대비 만족도 모델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ACSI와 같은 E-S 기반의 모델은 리테일, 영화, 레스 토랑 같은 오프라인 상에서 일회성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이나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와 같은 지속적인 사 용이 일어나는 경우를 포괄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E-S 모델에 서는 서비스 이용 전 기대 수준과, 이용 후 만족 수준을 객관적 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의 경우 지속적인 사용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초기 사용 시와 이후 지속적 사용이 일어나는 시점에서의 만족 수준이 다를 수 있으며, Expectation 역시 초기 서비스에 대해 기대한 부분이 시간에 따라 점차 희 석되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사용전의 기대 수준을 객관적으로 묻기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제시된 것이다.
고객 만족도 모델은 무엇을 기반으로 하는가? 마케팅 분야에서 기 연구되어 온 고객 만족도 모델(Customer Satisfaction Index)의 경우, 고객이 서비스 사용 전 해당 서비 스에 대해 기대(Expectation)한 수준 대비 사용 후 얼마나 만족 (Satisfaction) 하였는지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2][3] 초기 Fornell에 의해 제시된 기대 대비 만족도 모델(E-S모델)의 경우, 미국 소비자 만족도 지수(ACSI) 측정의 기준이 되었으며, 이 후 ACSI를 토대로 유럽 소비자 만족 지수(ECSI), 한국 소비 자 만족 지수(KCSI) 등 다양한 국가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 할 수 있는 모델들이 연구 및 활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ielsen, J. Usability Engineering, Academic Press Inc. p. 165. 1994. 

  2. Howard, A. J. Consumer Behavior:Application of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7. 

  3. Fornell, C., et.al.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Nature, Purpose, and Findings. Journal of Marketing. Vol.60(4). pp. 7-18. 1996. 

  4. Oliver, R. L. Effect of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on Post Exposure Product Evaluations :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4). p. 480. 1977. 

  5.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An Expectation -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3). pp. 351-370. 2001. 

  6.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2(14). pp.1111-1132. 1992. 

  7. Fred, D. D., Richard, P. B. and Paul, R. 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8). pp. 982-1003. 1989. 

  8. Hackbarth, G., et. al. Computer Playfulness and Anxiety : Positive and Negative Mediators of the System Experienc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pp. 221-232. 2003. 

  9. Abels, E., White, M. D. and Hahn, K. A User-based Design Process for Web Sites. Internet Research : Electronic Networking Applications and Policy. Vol.8(1). pp.39-48. 1998. 

  10. Casalo, L. V., Glezer, C. and Avni, I. User Satisfaction from Commercial Web Sites : the Effect of Design and Us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3(2). pp.157-178. 2006. 

  11. Parasuraman, A., Leonard, L. B. and Valarie, A. Z. SERVQUAL :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0(4). pp.362-375. 2002. 

  12. Erdil, S. T. and Yildiz, O. Measuring Service Quality and a Comparative Analysis in the Passenger Carriage of Airline Industry.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24. pp.1232-1242. 2011. 

  13. Susanto, A., Chang, Y. H., Zo, H. J. and Park, M. C. The Role of Trust and Security in Smartphone Banking Continuance. In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pp.2133-2138. 2012. 

  14. Lin, C. P. and Bhattacherjee, A. Elucidating Individual Intention to Use Interactive Information Technologies : The Role of Network Externa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13(1). pp.85-108. 2008. 

  15. Chen, S. C., Yen, D. C. and Hwang, M.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the Usage of Web 2.0 : An Empirica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3). pp.933-941.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