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만두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sea tangl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2, 2015년, pp.190 - 196  

박인덕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시마의 활용성 증대 및 다양한 만두피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시마 분말을 1%, 3%, 5% 및 7%로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만두피의 품질특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화개시온도는 다시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고점도, $95^{\circ}C$에서 점도 및 $95^{\circ}C$에서 15분간 유지한 후의 점도는 다시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두피의 색도는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값)는 각 시료간에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만두피의 조리특성을 살펴보면,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이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만두피의 조직감은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경도, 응집성, 씹힘성 및 부착성은 높아졌으며,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만두피의 관능검사 결과, 색깔은 다시마 분말 3%와 5% 첨가군이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향미 특성은 1%와 3%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만두피의 조직감은 다시마 분말 3%와 5%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맛은 다시마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다시마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다시마 분말을 일정량 첨가 시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다시마 분말 특유의 색과 맛을 가미한 다시마 만두피를 제조할 경우 다시마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만두피의 색채감 향상, 맛의 증진 및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 (SP)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s. Various dumpling shell samples were prepared with wheat flour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mpling shell samples were investigated b...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분말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 및 다시마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만두피 개발을 위해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만두피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다시마 만두피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252-257 

  2. Choi JH, Choi JS, Byun DS, Yang DS (1986) Basic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Bull Korean Fish Soc, 19, 485-492 

  3. Kim SH, Park HY, Park WK (198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Nutr, 17, 320-325 

  4. Lee JH, Sung NJ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ean Soc Food Nutr, 9, 51-58 

  5. Bae TJ, Kang DS (2000) Processing of powdered seasoning material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Nutr, 13, 521-528 

  6. Han KH, Choi MS, Ahn CK, Yoon MJ, Song TH (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619-624 

  7. Kwon EA, Chang MJ, Kim S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06-412 

  8. Haroun-Bouhedja F, Ellouali M, Sinquin C, Boisson-Vidal C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 Res, 100, 453-459 

  9. Bae TJ, Choi OS (1998)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11, 556-560 

  10. Bang BH, Seo JS (2002)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e beads. Korean J Food Nutr, 15, 89-96 

  11. Park BH, Cho HS, Kim KH, Kim SS, Kim HA (2008)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52-459 

  12. Ha JO, Park KY (2000)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and development of sea tangle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5-100 

  13. Jeong EJ, Bang BH (2003)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Koran J Food Nutr, 16, 66-71 

  14. Kim SJ, Moon JS, Park JW, Park IB, Kim JM, Rhim JW, Jung ST, Kang SG (2004) Quality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tangle, sea mustard and anchovy powder. J Korean Food Sci Nutr, 33, 875-879 

  15. Cho YJ, Bang MA (2004) Effect of dietary sea tangle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 in streptozp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417-428 

  16.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ulture, 22, 37-44 

  17. Kim JH, Kim JH, Yoo SS (2008) Impacts of the proportion of sea-tangl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65-572 

  18.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ae tangle. Koran J Food Preserv, 15, 274-279 

  19. Pyo SJ, Lee SM, Joo NM (2010)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prepared with (Laminaria longissima)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617-626 

  20. Seo J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dumpling shell with Curcuma longa L.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20, 621-627 

  21. Pyun JW, Nam HW, Woo IA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du-pi differing in roasted soy flour content. Korean J Food Nutr, 14, 287-292 

  22. Lee IO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dupi with rice meal.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5-17 

  23. Cho HS, Kim K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dupi with skate (Raja kenojei)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3, 252-257 

  24. Kim KH, Park BH, Cho YJ, Kim SR,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rimp flour added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Culture, 24, 206-211 

  25. Park BH, Ju SM, Cho HS (2010) Effect of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addition in the quality of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Preserv, 17, 814-819 

  26.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Kim SH, Son SM, Lee J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70-574 

  27. Park ID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loquat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795-801 

  28. Kim HA, Lee KH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dupi added with goam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98-106 

  29. Choe HD, Seo HM, Kim SL, Park YG, Lee CH (2003) Effect of ${\beta}$ -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5-550 

  30. Kim M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31. Kim EH, Kook SW, Jung ST, Park YK (2005) Properties of rice extrudates added with the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2, 241-246 

  32. Kang KS, Kim BS (2003) Changes of rheology on the dumpling shell by added materials. Korean J Food Preserv, 10, 498-505 

  33. Cho HS, Kim KS (2014)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green laver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9, 421-427 

  34. Park BH, An SA, Cho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dupi added with Curcuma aromatica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9, 348-35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