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일반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rley Soybean Paste (Doenjang) Containing Kelp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2, 2014년, pp.1843 - 1851  

오세인 (서일대학교 식품영양과)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  이근종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시마에는 항산화성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알긴산 등 증점 다당류가 풍부한 해조류이다. 다시마 추출물 함량을 달리한 재래식 보리된장을 제조하여 2개월간 발효시키면서 항산화능 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된장의 pH는 5.80~6.86, 산도는 0.57~1.87%, 수분 함량은 65.30~40.90% 범위로 저장기간 동안 pH는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점도는 보리된장 대조군이 4,913 cps이었고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4,793~9,333.3 cps까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비례하였다(P<0.05). 다시마를 첨가한 보리된장의 색도는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각각 L 값과 b 값은 증가하였으나 a 값은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12.72 mg TAE/g, 처리군이 13.40~16.37 mg TAE/g이었으며(P<0.05), flavonoid 함량은 대조군이 $0.98{\mu}gRE/g$, 처리군이 $1.25{\sim}1.56{\mu}gRE/g$으로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과 비례하여 항산화능에 영향을 주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HA를 (+)대조군으로 하여 $IC_{50}$ 함량을 각각 구하였으며 보리된장 대조군 23.23 mg/mL, 다시마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24.83 mg/mL, 10.28 mg/mL 수준으로 다시마 추출물이 된장의 항산화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총균수는 초기에 7.20~7.57 log CFU/g으로 나타났고 초기 젖산균수는 4.20~4.71 log CFU/g 범위로 나타나 다시마 처리군의 총균수는 대조군보다 적고 젖산균 수는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감칠맛은 대조군에 비해서 20% 다시마 처리군이 6.1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질감 또한 대조군(5.7점)보다 20%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군이 6.4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군이 5.6점이었고 20% 첨가 처리군에서 6.5점으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보리된장에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하면 항산화능도 뛰어나므로 보리된장의 제품화 가능성도 더욱 크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ley Doenjang (soybean paste) containing various contents (4, 12, and 20%) of kelp extracts. After 60 days of fermentation, pH, acidity, and viscosity of Doenjang were 5.80~6.86, 0.57~1.87%, and 4,913.3~9,333.3 cps,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다시마를 첨가한 보리된장의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을 통하여 식품의 이용가치 및 가공식품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항산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다시마 물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보리된장의 일반적인 보리된장의 특성으로 pH 및 산도, 수분함량, 점도, 색도, 아미노태 질소를 분석하였고, 보리된장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 다시마 물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보리된장의 일반적인 보리된장의 특성으로 pH 및 산도, 수분함량, 점도, 색도, 아미노태 질소를 분석하였고, 보리된장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미생물로는 총균수와 젖산균수 등을 조사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호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마가 다른 해조류에 비해 많이 갖고 있는 성분은 무엇이며 그것의 특징은? 다시마는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낮으나 비타민 및 무기 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철 등의 함량이 높다. 특히 다른 해조류에 비해 요오드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요오드는 갑상 선의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서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현대인들은 원자력발전소, 핵실험, 병원에서의 방사선노출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많은 방사능 물질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 과다노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된장이 갖고 있는 다양한 생체 조절 기능은? 된장은 예로부터 내려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대두 발효식품으로 고유한 풍미를 지니고 있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암, 혈당 강하, 항돌연변이, 항산화 작용, 혈관질환 예방, 항비만 및 항균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체 조절 기능이 보고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 관심이 증가 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7).
다시마에 들어있는 생리 활성이 강한 다당류는 무엇인가? 다시마의 요오드는 방사능 물질의 예방 차원에서 더 높은 기능성 가치가 있다고 본다(21). 또한 다시마에는 알긴산(alginate), 후코이단(fucoidan), 라미나란(laminaran) 등 생리 활성이 강한 다당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기능성 소재나 건강식품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알긴산은 다시마의 미끈거리는 성분으로 건조한 다시마의 20% 정도가 함유되어 있는데 콜레스테롤 합성 저하, 혈압 상승 억제, 항암, 중금속 해독능력이 매우 뛰어나고(22-25), 대장 기능에 도움을줄 뿐 아니라 지방의 흡수를 방해해 당뇨 유발시킨 쥐의 다이어트에 도움을 준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im YS, Kim JY, Choi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rice soybean paste. Korean J Food Preserv 18: 853-858. 

  2. Kim SH. 1998. New trends of studying on potential activities of doenjang. Korea Soybean Digest 15: 8-15. 

  3. Hwang KM, Oh SH, Park KY. 2007. Increased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by adding green tea extract and bamboo salt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7. 

  4. Oh HJ, Kim CS. 2007.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 foods (Chungkujang,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03-1510. 

  5.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ushroom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61-467. 

  6. Jung KO, Park SY, Park KY. 2006. Longer aging time increases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of doenjang. Nutrition 22: 539-545. 

  7. Lee JJ, Kim AR, Lee H, Kim CH, Chang HC, Lee MY. 2011. Effects of soybean, cheonggukjang and doenjang on serum cholesterol level and weight reduction in rats fed a high-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Preserv 18: 226-235. 

  8. Ahn JB, Park JA, Jo HJ, Woo IH, Lee SH, Jang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Korean J Food & Nutr 25: 142-148. 

  9. Ruiz-Larrea MB, Mohan AR, Paganga G, Miller NJ, Bolwell GP, Rice-Evans CA.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phytoestrogenic isoflavones. Free Radical Res 26: 63-70. 

  10. Jo SJ, Hong CO, Yang SY, Choi KK, Kim HK, Yang H, Lee KW. 2011. Changes in content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by ripening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57-564. 

  11. Rohrdanz E, Ohler S, Tran-Thi QH, Kahl R. 2002. The phytoestrogen daidzein affects the antioxidant enzyme system of rat hepatoma H4IIE cells. J Nutr 132: 370-375. 

  12. Jang CH, Park CS, Lim JH, Kim JH, Kwon DY, Kim YS, Shin DH, Kim JS. 2008. Metabolism of isoflavone derivatives during manufacturing of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Food Sci Biotechnol 17: 442-445. 

  13. Lee SW, Park YW, Chang PS, Lee JH. 2010. Isoflavone distribution and $\beta$ -glucosidaseglucosidase activity in homemade and factory-produced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25-129. 

  14. Lee SJ, Lee KJ, Rhee SH, Park KY. 2004. Physiological activity in doenjang added with various mushroom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365-370. 

  15. Park JH, Ha AW, Cho JS. 2005. Effects of green tea soybean paste on weights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06-811. 

  16. Cui CB, Lee EY, Lee DS, Ham SS. 2002.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doenjang added sea tang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2-328. 

  17.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added soybean paste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16-421. 

  18. Bae JO, Lee KJ, Park JS, Choi DS. 2012. Preparation of sweet potato doenjang using colored sweet potato. Korean J Food & Nutr 25: 529-537. 

  19. Shin JH, Choi DJ, Kwen OC.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Yuza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98-205. 

  20. Hur J. 1966. Dong-ui-bo-gam. Namsand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177. 

  21. Choi JS, Shin SH, Ha YM, Kim YC, Kim TB, Park SM, Choi IS, Song HJ, Choi YJ. 2008. Miner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Life Sci 18: 474-481. 

  22. Koo JG, Choi YS, Kwak JK. 2001.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J Korean Fish Soc 34: 515-520. 

  23. Colliec S, Fischer AM, Tapon-Bretaudiere J, Boisson C, Durand P, Jozefonvicz J. 1991. Anticoagulant properties of a fucoidan fraction. Thromb Res 64: 143-154. 

  24. Kim YS, Kang CO, Kim MH, Cha WS, Shin HJ. 2011.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SBB J 26: 112-118. 

  25. Jin DQ, Li G, Kim JS, Young CS, Kim JA, Hun K. 2004. Preventiv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aqueous extract on the oxidative stress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liver. Biol Pharm Bull 27: 1037-1040. 

  26. Park MY, Kim KH, Jeong KS, Kim HA. 2007.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sea tangle on the renal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2: 140-148. 

  27.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d Hyg Safety 19: 21-37. 

  28. Han IJ, Song BS, Kim JH, Park JH, Lee JH, Chun SS. 2011. Effect of antioxidant and irradiation treatment under freezing temperature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arakjuk (milk porrid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750-1756. 

  29. Park BJ, Jang KS, Kim DH, Yook HS, Byun MW. 2002. Changes in microbiological and physio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 and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9-84. 

  30.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ntinus edode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68-775. 

  31. Kim HJ. 2002. Brown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ctivity of Doenjang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44-654. 

  32.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 Enzymol 299: 152-178. 

  3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27-130. 

  34. Cho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 Sa, Seoul, Korea. p 381-382. 

  35. Senba Y, Nishishita T, Saito K, Yoshioka H, Yoshioka H. 1999. 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s. Chem Pharm Bull 47: 1369-1374. 

  36. Shin DH, Kang KS, Lee JY, Jeong DY, Han GS. 2010.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ur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J Fd Hyg Safety 25: 360-366. 

  37. Kim HE, Han SY, Jung JB, Ko JM, Kim Y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61-368. 

  38.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d Hyg Safety 19: 31-37. 

  39. Jang SM, Lee JB, An H, Rhee CH, Park HD. 2000. Changes of microorganism,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the Korean soybean past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inseng extrac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736-742. 

  40. Yoo SK, Cho WH, Kang SM, Lee SH.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soy bean sauc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113-117. 

  41. Oh CK, Oh MC, Kim SH, Lim SB, Kim SH. 1998.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ea-mustard and sea-tangle. J Korean Fish Soc 31: 90-94. 

  42. Kim JH, Lee DS, Lim CW, Park HY, Park JH.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cin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Fish Soc 32: 191-195. 

  43. Kim YS, Jeong DY, Hwang YT, Uhm TB. 2011. Bacterial community profil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by pyrosequencing method. Korean J Microbiol 47: 275-280. 

  44. Peterson G, Barnes S. 1991. Genistein inhibition of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independence from estrogen receptors and the multi-drug resistance gen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79: 661-667. 

  45. Kim SS, Kim SK, Ryu MK, Cheigh HS. 1983. Studies on the color improvemen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various Aspergillus oryzae strains.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1: 67-74. 

  46. Lee YJ, Han JS. 2009.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using a meju containing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gigas, and Corni fructu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0-97. 

  47. Kim S, Woo S, Yun H, Yum S, Choi E, Do JR, Jo JH, Kim D, Lee S, Lee TK. 2005. Total phenolic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seaweed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4: 798-802. 

  48. Kim JW, Kwon YR, Youn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16-721. 

  49. Hwang JH, Oh YS, Lim JH, Park JE, Kim MB. 200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56-1663. 

  50.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