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 묵은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Mukeunji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5, 2015년, pp.702 - 708  

허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명신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란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정서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성기간별 시판 묵은지와 일반 숙성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묵은지의 품질규격 표준화와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pH의 경우 시판 묵은지는 3.69~4.22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산도의 경우 2.94~1.71%의 범위를 보였다. 반면 시판 배추김치의 pH와 산도는 각각 pH 5.92와 0.28%로 시판 묵은지에 비해 pH는 높은 값을 보였고, 산도의 경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감소한 반면 산도는 증가하였다. 시판 묵은지의 평균 염도는 2.22%를 나타내 시판 배추김치의 염도인 1.79% 보다 현저히 높은 염도를 나타냈으며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염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묵은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기저장으로 인한 연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김치의 1~1.5% 높게 담근다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색도의 경우 L(밝기), a(적색도), b(황색도)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판 배추김치의 L값은 60.14로 시판 묵은지의 평균 L값인 37.09보다 현저히 큰 값을 나타냈다. 조직감의 경우 시판 묵은지의 강도와 두께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묵은지의 강도는 2.11~3.43 kgf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시판 배추김치의 강도인 3.51 kgf와 비교하여 낮은 강도를 나타냈다. 두께의 경우 시판 배추김치는 7.64 mm로 시판 묵은지의 평균 두께인 5.34 mm와 비교하여 2.0 mm 이상 두꺼웠다. 환원당 함량은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숙성기간이 3년이었던 H3 시료의 환원당 함량은 2.78 mg/mL로 시판 배추김치(13.11 mg/mL)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시판 묵은지의 유기산 분석 결과 acetic acid, lactic acid와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와 succinic acid의 경우 제조회사가 동일한 경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lactic acid의 경우 시판 배추김치에선 검출되지 않았으나 시판 묵은지 시료에선 평균 533.33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 묵은지 6종의 묘사 분석 결과 쓴맛을 제외한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동일한 제조회사의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 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동일한 제조회사의 경우 쉰내, 신맛, 탄산감, 무른 정도와 같은 특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단맛, 감칠맛, 탄산감, 배추 향미, 아삭한 정도, 단단한 정도와 같은 특성에선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ukeunji product along with its sensory properties. Six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 Mukeunji products were purchased through an on-line market, and each product had a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Gener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개월~3년간 숙성시킨 시판 묵은지를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여 숙성기간에 따른 묵은지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익히지 않은 시판 포기김치의 품질 특성을 동시에 비교함으로써 향후 묵은지의 품질규격의 표준화와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숙성기간별 시판 묵은지와 일반 숙성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묵은지의 품질 규격 표준화와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pH의 경우 시판 묵은지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JY, Park EY, Kim YS. 2006.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1: 319-324. 

  2.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Lee JS, Kim HY, Yoo SM.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fres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67-174. 

  3. Kang SK, Park WS, Choi TD. 1995. A profitable enterprise and management of Kimchi. The Farmers Newspaper, Seoul, Korea. p 19-25. 

  4. Kim HJ, Shin HK, Yang EJ. 2013.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keunji with a mixed star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67-1474. 

  5. Park WS. 2008. Sprit of the Korean rac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19-24. 

  6. Jung HJ, Kim HR, Yoo MJ. 2005. Changes in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426-432. 

  7. Yoo MJ, Kim HR, Chung HJ.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31-441. 

  8. Lee Y. 2009.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9. Yoo MJ. 2002. Quality propertie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0. Chun JY.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keun Kimchi under a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KH, Cho HS. 2008.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kate (Raja kenojei) kimchi on the market. Korean J Food Culture 23: 235-242. 

  12. AOAC. 1995. Official methods. 16th ed. Patricia Cunniff, New York, NY, USA. p 66-70. 

  13.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4. Park HY, Jung LH, Lee SS.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26-431. 

  15. Hong SI, Park JS, Park NH. 1995.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16. Moon JS. 2013.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their application for Mukeunji.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17.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18. Lee MH, Jun HK, No HK. 1992. Color measurement of kimchi juice for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Nutr 21: 677-680. 

  19. Lee HS. 1995.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 83-91. 

  20. Lee HY, Paik JE, Han YS. 2003.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54-262. 

  21. Noh JS, Kim JH, Lee MJ, Kim MH, Song YO. 2008.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for the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61-668. 

  22. Woo M, Choi JR, Kim M, Jang MS, Cho EJ, Song YO. 201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71-1777. 

  23. Kim HJ, Kang SM, Yang CB. 1997. Effects of yeast addition as starter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90-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