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rienzyme Extraction-Microplate Assay를 이용한 한국 차례 및 제사 음식의 엽산 분석 및 검증
Validation of Trienzyme Extraction-Microplate Assay for Folate in Korean Ancestral Rite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5, 2015년, pp.716 - 724  

박수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범균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재은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영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길락 (통영시농업기술센터) ,  황은정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성원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과학연구소)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차례 및 제사에 이용되는 식단의 엽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trienzyme 추출과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microplate assay법을 검증하고, 이를 적용하여 분석하는 동안 분석 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정확성 검증으로 분석값이 인증값의 상대표준 오차 범위 안에 포함되는 값을 얻었으며 식품군을 대표하는 시료를 선정하여 엽산 표준용액을 첨가한 시료와 첨가하지 않은 시료를 함께 분석하여 엽산 회수율을 측정 시 96.0~106.2%를 얻어 정확성이 높은 분석법임을 확인하였다. Repeatability와 reproducibility로 측정한 미생물학적 분석법의 정밀성 모두 5% 미만의 값을 얻어 정밀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사 음식 중의 엽산 함량은 국 및 탕류($4.62{\sim}18.84{\mu}g/100g$)에서는 토란국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물류($6.13{\sim}48.40{\mu}g/100g$)에서는 미나리나물, 적 및 전류($5.49{\sim}49.50{\mu}g/100g$)는 홍합산적, 찜류($10.34{\sim}38.88{\mu}g/100g$)에서는 도미찜, 후식류($3.33{\sim}49.55{\mu}g/100g$)에서는 송화다식이 엽산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의례 음식의 섭취는 1회 100g 섭취 시 성인 일일 권장 섭취량의 0.8~12.4%의 수준까지 엽산을 섭취할 수 있으며, 한상차림으로 섭취 시 평균 약 28.1%의 엽산을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진행된 약 10개월 동안 분석 품질관리를 수행하였으며 품질관리도표(quality control chart)의 관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진행된 모든 분석이 관리 하에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논문에서 보고하는 총 59종의 한국 차례 및 제사 음식의 엽산 함량이 신뢰도 높게 분석되어 국가 엽산 함량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enzyme extraction coupled with microplate assay (Lactobacillus casei subsp. rhamnosus) was validated and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folate (vitamin B9) in Korean ancestral rite foods. Foods included five Guk (Tang), eleven Sookchaes, eight Jeoks, nine Jeons, six Jjims, and twenty desser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차례 및 제사에 이용되는 식단의 엽산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trienzyme 추출과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microplate assay법을 검증하고, 이를 적용하여 분석하는 동안 분석 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정확성 검증으로 분석값이 인증값의 상대표준 오차 범위 안에 포함되는값을 얻었으며 식품군을 대표하는 시료를 선정하여 엽산 표준용액을 첨가한 시료와 첨가하지 않은 시료를 함께 분석하여 엽산 회수율을 측정 시 96.
  • rhamnosus (ATCC 7469)를 이용한 microplate 분석법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한 국내 차례 .제사 음식의 엽산 함량 분석 및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함으로 신뢰도 높은 국내 식품의 엽산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Jeok indicates steamed or pan-fried meat coated with soy sauce and sugar. 2)%RNI=recommended nutrient intake of folate for Korean adult.
  • 1)Sukchae indicates blanched and seasoned vegetables.
  • 1과 같다. QC 시료를 반복 분석하여 CV가 5% 이하인 분석값 13개의 평균값은 169.12± 8.59 ug/100 g이었으며 이를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값으로설정하였다. 이것을 기준으로 관리 범위(LCL~UCL)를 15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i HJ, Kim S, Yon M, Hyun T. 2009. Folate content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Korean J Nutr 42: 397-405. 

  2. Arcot J, Shrestha A. 2005. Folate: methods of analysis. Trends Food Sci Technol 16: 253-266. 

  3. Ruggeri S, Vahteristo LT, Aguzzi A, Finglas P, Carnovale E. 1999. Determination of folate vitamers in food and in Italian reference die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855: 237-245. 

  4. Min HS, Kim CK. 1996. A study of blood folate levels in adolescent girls. Korean J Nutr 29: 104-111. 

  5. Ball GFM. 2012. Vitamins in foods: analysis, bioavailability, and stability. CRC Press, London, UK. p 231. 

  6. Chang N, Kang M, Paik HY, Kim IH, Cho YW, Park SC, Shin YW. 1993. Serum folate and iron levels of pregnant, lactating, and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67-75. 

  7. Kang M, Chang N. 1993. Effect of dietary folate intakes on serum folate levels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433-442. 

  8. Choe JS. 2003.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64-778. 

  9. Tamura T. 1990. Microbiological assay of folates. In Folic Aci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Picciano MF, Stokstad ELR, Gregory JF, eds. John Wiley & Sons Press, New York, NY, USA. p 121-137. 

  10. Kariluoto S, Vahteristo L, Finglas PM, van den Berg H, Carnovale E, Jagerstad M. 2001. Intercomparison of current methods for folate determination in food. Proceeding of Fourth International Food Data Conference, Bratislava, Slovakia. p 40-41. 

  11. Smith JS. 1998. Evaluation of analytical data. In Food Analysis. 2nd ed. Nielsen S, ed. Aspen Publication, Gaithersburg, MD, USA. p 67. 

  12. Chun J, Martin JA, Chen L, Lee J, Ye L, Eitenmiller RR. 2006. A differential assay of folic acid and total folate in foods containing enriched cereal-grain products to calculate ${\mu}g$ dietary folate equivalents ( ${\mu}g$ DFE). J Food Compos Anal 19: 182-187. 

  13. AOAC. 2002.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D, USA. p 12-13. 

  14. FDA. 1994. ICH Q2 (R1)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Current step 4 version, parent guideline dated 27 October. (Complementary guideline on methodology dated 6 November, 1996 incorporated in November 2005).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ilver Spring, MD, USA. p 11-12. 

  15. Kim YM. 1979. The measurement of folacin content in Korean foods -Part 3. Folate distribution in various foods-. Korean J Nutr 12: 53-63. 

  16.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6. Food component table. 7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27-79. 

  17. Kim YM. 1977. The measurement of folacin content in Korean foods - Part 1. Folate distribution in vegetables. Korean J Nutr 10: 84-91.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Seoul, Korea. p 149-165. 

  19. Min HS. 1998.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 -The comparisons of thermal destruction and loss of folate into cooking water by blanching time of spin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86-290. 

  20. Williams VR, Fieger EA. 1946. Oleic acid as a growth stimulant for Lactobacillus casei. J Biol Chem 166: 335-343. 

  21. Williams WL, Broquist HP, Snell EE. 1947. Oleic acid and related compounds as growth factors for lactic acid bacteria. J Biol Chem 170: 619-630. 

  22. Chen L, Eitenmiller RR. 2007. Single laboratory method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analysis of total food folate by trienzyme extraction and microplate assay. J Food Sci 72: C243-C2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