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의원 편 『내의원(內醫院) 식례(式例)』의 저술 시기와 내용 연구
A Study on Written Year and Contents of 『Naeuiweonshikryef』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28 no.1, 2015년, pp.39 - 51  

박훈평 (화순마루요양병원 한방6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euiweon (內醫院) is the royal medical office of Joseon Dynasty. "Naeuiweonshikrye (內醫院式例)" contains various regulations of Naeuiweon in early 19th century. Therefore, attention has been utilized by several researchers. However, these studies show partial side of this document. The purpose of this s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의원식례』은 어떤 형태의 책인가? 본 연구에서 활용한 『내의원식례』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필사본을 복제 신청하여 받은 사본 자료이다.6) 1권 1책의 필사본으로, 본서의 표제는 “內醫院”이며 앞뒤 표지를 제외하면 전체가 17장 겹장인데 처음과 끝장은 아무런 내용 없이 계(界)만 존재하는 빈 면이고, 내용이 있는 면에는 쪽수가 판심(版心)의 하단부에 표기되어있다. 책의 크기는 35.3×22.3 cm이다.7) 界가 있는 종이에 10행(行)으로 20자로 필사되었는데 注는 雙行의 소자로 되어있다. 五針眼釘法으로 제책되어있다.
內醫院式例이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되고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특히 규장각에 소장된 『內醫院式例』는 내의원의 제반 규정을 담고 있는 문헌이라는 점에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되고 활용되어왔다. 안상우에 의해 개괄적인 소개가1) 이루어졌고, 『내의원식례』를 활용한 기존 연구로는 궁중 출산풍속을 연구한 신명호,2) 『태의원일기』를 연구한 김정선,3) 왕실의약을 다룬 홍세영,4) 궁중음식을 다룬 주영하5) 등의 연구가 있다.
『내의원식례』를 활용한 기존 연구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규장각에 소장된 『內醫院式例』는 내의원의 제반 규정을 담고 있는 문헌이라는 점에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되고 활용되어왔다. 안상우에 의해 개괄적인 소개가1) 이루어졌고, 『내의원식례』를 활용한 기존 연구로는 궁중 출산풍속을 연구한 신명호,2) 『태의원일기』를 연구한 김정선,3) 왕실의약을 다룬 홍세영,4) 궁중음식을 다룬 주영하5)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내의원식례』 문헌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전에 이루어진 바가 없었고, 해당 주제를 다루면서 부차적으로 다루거나 관련부분만 인용하여 논하는 수준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강위빙 저, 박훈평 역주. 역주 혜국지. 서울:퍼플. 2015. 

  2. 김경문, 김지문. 국역 통문관지.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3. 성주덕. 국역 서운관지.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4. 전의감 편, 박훈평 역주. 심약사례 상. 서울:퍼플. 2015. 

  5. 편자미상. 궁궐지. 서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7. 

  6. 한희숙. 의녀. 서울:문학동네. 2012. 

  7. 김정선. 1898년도 조선왕실의 의료연구. 의사학. 2004;13(2):219-232. 

  8. 신명호. 조선시대 궁중음식 관련 고문헌 자료 소개. 고문서연구. 2002;21:156-176. 

  9. 주영하. 조선왕조 궁중음식 관련 고문헌 자료 소개. 장서각. 2013;30:422-436. 

  10. 홍세영. 왕실의 의약. 한국의사학회지. 2010;23(1):105-113. 

  11.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 

  1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자료검색(http://e-kyujanggak.snu.ac.kr) 

  1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14. 안상우. 고의서산책 120 조선왕실의 규정집. 민족의학신문. 200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