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련성: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중심으로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2, 2015년, pp.47 - 56  

유수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강창렬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의료정보과) ,  김영란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ata from the years 2010 and 2011 were used which are from the fifth edition of the 'Survey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A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상태의 어떠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건강상태의 개념이 다차원적인 것에 비해 실제 연구 범위는 제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변인들을 모두 고려하여 건강상태를 논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상태의 어떠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건강상태의 개념이 다차원적인 것에 비해 실제 연구 범위는 제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변인들을 모두 고려하여 건강상태를 논의하였다.
  •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8][9][10] 다른 나라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비교가 가능한 EQ-5D를 사용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65세 이상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를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건강 상태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증진 방안 및 노인복지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전망은 어떠한가? 오늘날 노인 인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현재 우리나라 고령화 진행속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2000년에 7.2%에 달하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14%이상인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1]. 이러한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해 과거에는 오래 사는 기대수명 연장에만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근래에 와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는 욕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건강상태인데 이를 조사한 국내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질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건강상태 이며[3], 삶의 질은 사회적 조건이나 개인의 삶에 대한 인식,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인 전반적인 영역을 포함한다[4]. 이러한 노인의 건강수준과 삶의 질에 관한 국내연구는 1990년대 초반까지도 노인의 건강상태를 조사하거나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고[5][6], 그 후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의 삶의 질이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7]. 하지만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들 중에서 일부 요인들만을 다루거나, 제한된 인구집단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우리나라 전체를 대표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노인 인구 증가에 대한 관심도는 왜 높아지고 있는가? 2%에 달하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14%이상인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1]. 이러한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해 과거에는 오래 사는 기대수명 연장에만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근래에 와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는 욕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막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2009),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 S.J. Choi(2000),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1-145. 

  3. E.S. Park, S.J. Kim, S.I. Kim, Y.J. Jeon, P.S. Lee, H.J. Kim, K.S. Han(1998),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8(3);638-649. 

  4. S.K. Kang(2000), Th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Vol.3(1);113-137. 

  5. Y.H. Choi, Y.J. Baek, J.S. Lee(199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tal-Emotional Health Assessment Too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The Korean Journal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5-29. 

  6. Y.J. Lee(198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Assessment Tool in Korean Elderly,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1-75. 

  7. S.Y. Park(2009), A Study on Depression, ADL, IADL, and QOL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come Elderly, The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3(1);78-90. 

  8. E.K. Park, S.J. Kim, S.I. Kim, Y.J. Jeon, P.S. Lee, H.J. Kim, K.S. Han(1997),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6(2);238-250. 

  9. S.S. Baek(2005), Study of the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Single Aged Wome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1-92. 

  10. E.S. Lim, K.J. Lee(2003),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J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5(1);38-49. 

  11. S.J. Nam, S.S. Moon(2001), Focus on Physical Health and Disability of Elderly WomenHealth Status of Elderly in Korea,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1(1);15-29. 

  12. I.H. Oh, S.J. Yoon, E.J. Kim(2011), Korean burde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4(6);646-652. 

  13. H.S. Jo, B.G. Kim, H.J. Lee, B.Y. Lee(2010), Perceived Social Support as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12;51-59. 

  14. H.S. Nam, K.Y. Kim, I.S. Kwon, S.S. Kwon K.Y. Koh, K. Poul(2007),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 method Seoul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p.1-104. 

  15. T.H. Kim, D.B. Kim, M.H. Kim, J.Y. Lee, Y.J. Lee, A.S. Kim(1998),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12(1);150-167. 

  16. S.D. Ko(1995), An Analytical Study of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1-151. 

  17. S.K. Kim, S.Y. Son(2012),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Vol.14(2);91-98. 

  18. J.S. Park(2005), Correlation study among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Graduate School of Korean University, pp.1-62. 

  19. S.G. Lee, S.Y. Joon(2005), The Relations of Socioeconomic Status to Health Behaviors in the Elderly, J Prev Med Public Health, Vol.38(2);154-162. 

  20. J.M. Laborde, M.J. Powers(1985), Life satisfaction, health control orientation and illness-related factors in persons with osteoarthritis, Nursing and Health, Vol.8;183-190. 

  21. Y.H. Shin(1997),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in Elderly Women,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1-122. 

  22. J.D. Kwon(2010), Senior Citizen Welfare, Hakjisa, p.12. 

  23. H.R. Kim(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Aged in one Korean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167-178. 

  24. D.H. Lee(2010),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1);93-108. 

  25. Campbell(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31(2);117-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