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 평가 모델
Constructability Assessment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4, 2015년, pp.941 - 951  

이용욱 (포스코건설) ,  이상구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장우식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건설기업들은 해외건설 시장에서 6천 8백억 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양적성장을 지속해 왔으나, 원천기술과 사업관리 역량이 선진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으며 최근 무리한 저가수주로 인해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천기술과 사업관리역량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시공성 개념은 이러한 대안의 하나이며 해외 선진국에서 다양한 연구결과가 실무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기업이 해외 EPC건설공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공성 개념의 실무적용이 필요하다. 시공성이란 건설공사에서 전체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범위를 의미하며, 시공용이성과 프로젝트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공사에 대한 시공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서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델을 활용한 시공성 평가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여러 변수들 간에 복잡하게 연결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으며 직 간접효과를 동시에 도출하여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는 문헌고찰, 기업보고서 및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를 통하여 8개의 잠재변수와 34개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비용절감, 공기단축, 품질향상 측면에서 전략적 대응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사업의 최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recent years,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awarded 680 billion USD in the oversea projects which lead to a successful quantitative growth. However, due to the lack of capability in the core technology and project management compared to the leading companies, in addition to low-pri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공성은 이러한 건설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되었으며, 시공지식과 경험을 적용하여 사업을 최적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비용, 공기, 품질 측면에서의 효과를 보여주는 수준에 이르렀다.
  • 국내 건설기업이 성공적인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선진기업과의 기술경쟁력 및 사업관리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시공성은 건설 프로젝트의 전 단계에서 사업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지식과 경험을 적용하여 사업을 최적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에 한해서 해외건설공사 전체 프로세스의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여 해외건설의 복잡한 프로세스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해외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요소들에 대한 시공성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시공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 시공성은 건설 프로젝트의 전 단계에서 사업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지식과 경험을 적용하여 사업을 최적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에 한해서 해외건설공사 전체 프로세스의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여 해외건설의 복잡한 프로세스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해외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요소들에 대한 시공성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시공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 집중하여 시공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구조방정식을 통해 설계, 시공, 본사지원 등 참여주체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여 해외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 집중하여 시공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구조방정식을 통해 설계, 시공, 본사지원 등 참여주체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여 해외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설계, 시공, 본사지원의 프로젝트 참여주체에 따라 시공성 영향요소의 영향정도가 다르다는 기본 가설을 설정하여 이들 사이에 관계가 시공성에 어떠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은 선정된 요소들의 시공성 영향정도를 Likert 등간척도를 이용하여 최고점수를 7점, 최저점수를 1점으로 설정 하였다. 이를 통해 실무 전문가들이 참여한 해외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각 영향요소의 만족도와 시공성 영향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시공성 평가 모델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구조방정식은 최소한 200건 이상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야 했으나 본 논문에서는 회수된 149건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 앞서 각 영향요소별 측정항목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검토방법으로는 Bartlett 검정과 Kaiser-MeyerOlkin(KMO)의 MSA(Measure of Sampling Adequacy)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인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요인분석을 시도해 볼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 6이상이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측정항목별 상관계수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상관분석을 기반으로 수집된 설문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함과 동시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다중공선성을 예방하기 위한 변수를 제거하는데 참고하였다. 예를 들면 ‘안전관리 미흡’과 ‘환경관리 미흡’의 `변수의 상관계수는 0.
  •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계, 시공, 본사지원의 각 부서별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설문분석 결과를 통하여 해외 건설프로젝트 수행 시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 통계적 기법인 회귀분석을 이용한 해외건설 프로젝트의 업무영역별 시공성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측정오차를 무시하는 방법이므로 회귀분석에 의한 결과는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Table 7과 같이 최초의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는 6개 기준에 대하여 모두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초 구조방정식 모델의 수정을 통해 적합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모델을 실무적으로 적용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상 프로젝트에 대하여 시공성을 평가하고 잠재변수와 측정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모델의 사례적용은 데이터 수집의 한계가 있어 가상사례 1건만 가지고 검증하였으며 향후 실제사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가상의 프로젝트의 설정은 실제로 완료된 해외 플랜트 프로젝트의 요약보고서를 통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시공성 영향요인들에 대하여 사전조사 및 대응방안이 전략적으로 수립되지 않아 공기지연 및 비용초과로 적자를 나타냈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프로젝트의 배경은 중동지역에 플랜트 프로젝트로 LNG Tank를 건설하여 파이프로 연결하는 공사로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의 결과에서 가장 높은 영향요소로 나타난 항목에 대하여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때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도출을 제시하고자 한다. Table 11은 프로젝트의 개요 및 문제점을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는 해외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시공성 개념을 도입한 연구로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시공성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를 설계단계와 시공단계로 한정하고 각 단계별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설계와 시공단계에서의 시공성 영향요소의 직·간접적인 영향정도를 통하여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공성의 개념은 무엇인가? 시공성의 초기개념은 생산성에 중점을 둔 협의의 개념이며, 통합된 설계관리의 개념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초기 기획, 프로젝트 조달,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포괄하는 전체 프로세스 개념이다(Griffith et al., 1995).
시공성의 목표는 무엇인가? 시공성은 이러한 건설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되었으며, 시공지식과 경험을 적용하여 사업을 최적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비용, 공기, 품질 측면에서의 효과를 보여주는 수준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 앞서 각 영향요소별 측정항목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는데 검토방법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 앞서 각 영향요소별 측정항목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검토방법으로는 Bartlett 검정과 Kaiser-MeyerOlkin(KMO)의 MSA(Measure of Sampling Adequacy)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인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요인분석을 시도해 볼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KMO의 MSA의 해석기준은 일반적으로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ralia (1996). Constructability Manual, CII Australia, Brisbane. 

  2. Eldin, N. N. (1999). "Impact of employee, management and process issues on constructability implementation."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Vol. 17, No. 6, pp. 711-720. 

  3. Elgohary, M., Fairclough, N. and Ricciuti, R. (2003). "Constructability-from Qinshan to the ACR." Nuclear Plant Journal. 

  4. Francis, V. E., Mehrtens, V. M., Sidwell, A. C. and McGeorge, W. D. (1999). "Constructability strategy for improved project performance."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Vol. 42, No. 2, pp. 133-138. 

  5. Han, K. H., Kim, M. K., and Park, C. S. (2004). "A study on analysis of effective application of constructability in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n, Vol. 24, No. 1, pp. 539-542. 

  6. Hyun, C. T. (1998). "Application of the constructability program at the early phase of the project."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n, Vol. 40, No. 10, pp. 41-47. 

  7. Kim, D. H. and Paek, J. H. (1999).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structability for building projects in korea -with case study applic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n, Vol. 15, No. 3, pp. 99-108. 

  8. Kim, D. Y., Han, S. H., Kim, H. K. and Park, H. D. (2006).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predicting level of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Modeling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605-3610. 

  9. Kim, J. H. (2009).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the road network of seou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4, No. 6, pp. 797-812. 

  10. Kim, S. I. and Lee, H. C. (2004). "A study on the claim potential on public construction work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 41, pp. 53-68. 

  11.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e equation modeling, 2nd Ed The Guilford Publications Inc., New York. 

  12. Lee, H. S.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AMOS, Book Publication. 

  13. Lee, H. K. (2008). The consideration of constructability practice in the oil refining plant project, The University of Hanyang, Academic thesis. 

  14. Lee, H. C. (2011).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constructability review for office building at pre-construction phase, The University of Seoul, Academic thesis. 

  15. Park, J. S. (2009). Development of checklist improving constructability i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The University of Seoul, Academic thesis. 

  16. Ugwu, O. O., Anumba, C. J. and Thorpe, A. (2004).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dels for constructability assessment in steel frame structures." Advances in Engineering Software, Vol. 35, No. 3, pp. 191-203. 

  17. Yang, Y. Q., Wang, S. Q., Dulaimi, M. and Low, S. P. (2003). "A fuzzy quality function deployment system for buildable design decision-making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2, No. 4, pp. 381-393. 

  18. Yoon, J. J. (2012). Development of constructability checklist for each stage of apartment remodeling, The University of Seoul, Academic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