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기반시설 침수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Urban Infrastructure Risk Areas to Flooding using Neural Network in Seoul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4, 2015년, pp.997 - 1006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침수발생가능성과 침수위험지역을 도출하고, 위험지역 내 도시기반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서대문구 등에서 침수발생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교통시설의 $4.17km^2$이상이 위험지역에 분포하여 우선 관리시설로 나타났고, 강남구 지역은 침수위험이 높은 기반시설$0.85km^2$이상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침수발생가능성 분석에 활용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평가결과는 다양한 계획과정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urban infrastructure risk to flooding based on the possibility map of flooding calculated by neural network model focusing on Seoul. This study found that Gangnam-gu, Songpa-gu, Seocho-gu and Seodaemun-gu contained relatively large high-risk areas to flooding. Over $4.17k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모델 중 다층퍼셉트론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침수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의 첫 번째 작업은 훈련지역과 과정을 선정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모델과 GIS를 활용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침수발생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반시설에 대한 침수위험을 시설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이로써 중요도와 파급효과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는 도시기반시설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기반시설 가운데 저지대나 침수발생가능지에 설치되는 것이 오히려 도시지역 전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녹지 등의 공간시설, 유수지 등의 방재시설은 제외하고, 교통시설, 유통·공급시설, 공공·문화체육시설, 보건위생시설, 환경기초시설에 초점을 맞추고 도시 기반시설들의 침수위험지역을 평가하였다.
  • 최종 도출된 도시기반시설 침수위험지역은 서울시 전체에 대해 10×10m의 상세데이터이므로 각종 공간계획 수립을 위해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도시기반시설 위험지역의 공간분포 특성 파악과 이해향상을 위해 지역별(구별) 자료로 정리하여 살펴보였다.

가설 설정

  • 벡터 데이터는 상세한 결과물을 제공하고 저장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그리드 기반의 래스터로 구축하는 것이다.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모델링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층퍼셉트론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본 연구서는 침수가 발생한 지역, 침수에 영향을 주는 입력 데이터 및 향후 침수가 발생하는 취약지역으로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다층퍼셉트론이 적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다층퍼셉트론은 3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정보가 인가되는 층을 입력층(Input layer), 처리된 정보가 나타나는 층을 출력층(Output layer),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의 모든 중간층을 은닉층(Hidden layer)이라고 하며, 은닉층은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층별로 구성되어 있는 노드들의 출력은 층간 가중치를 통하여 확대 또는 감소 다른 층의 노드로 전달된다.
인공신경망이란 무엇인가? 인공신경망이란 인간 두뇌의 작용을 모델링 기법으로 모사한 것으로 두뇌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신경세포들 간의 연산과정을 모델링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뇌 구조와 신경 세포들의 역할과 공간적 인지능력의 이해를 바탕으로 뇌가 수행하는 연산 기능의 원리를 컴퓨터 언어(Matlab, C, Fortran 등)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어떤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인공신경망이란 인간 두뇌의 작용을 모델링 기법으로 모사한 것으로 두뇌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신경세포들 간의 연산과정을 모델링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뇌 구조와 신경 세포들의 역할과 공간적 인지능력의 이해를 바탕으로 뇌가 수행하는 연산 기능의 원리를 컴퓨터 언어(Matlab, C, Fortran 등)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발생하는 최종 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 데이터로부터의 반복적인 학습과정을 거쳐 데이터에 숨어 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모델링 기법으로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는 입력 데이터와 최종 발생 결과를 수많은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최종 결과를 예측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D. H. and Lee, M. H. (2010).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case studies of climate-change." Journal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 344, pp. 20-31 (in Korean). 

  2. Hines, J. W., Tsoukalas, L. H. and Uhrig, R. E. (1997).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g,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3. Jang, O. J. and Kim, Y. O. (2009). "Flood risk estimation us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4, pp. 71-80 (in Korean). 

  4. Kang, J. E. and Lee, M. J.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3, pp. 119-136 (in Korean). 

  5. Kang, J. E., Lee, J. Y., Kim, Y. S. and Oh, N. H. (2012).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system for business sector adapt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6. Kim, B. S. and Jang, D. W. (2009). "Development of flood protection decision-making system based on GIS."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10, pp. 43-50 (in Korean). 

  7. Kim, H. M., Lee, D. G. and Park, C. (2013). "A study on selection for vulnerable area of urban flooding adaptable capacity using MaxEnt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 4, pp. 205-217 (in Korean).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10).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adaptation measures in Korea II, No. 2010-13 (in Korean).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12).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for the national risk management, No. 2012-02 (in Korean). 

  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8). Societal security - Guideline for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KS A ISO PAS 22399:2008 (in Korean). 

  11. Lee, C. H., Han, G. Y. and Kim, J. S. (2006). "Development of urban flood analysis model adopting the unstructured computational gri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5, pp. 511-517 (in Korean). 

  12. Lee, G. S. (2012). "The evaluation of flood risk area of Jeonju river using GIS and cadastral map."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 14, No. 2, pp. 1-14 (in Korean). 

  13. Lee, M. J. and Kang, J. E. (2012). "Predictive flooded area susceptibility and verification using GIS and frequency rati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2, pp. 86-102 (in Korean). 

  14. Lee, M. J., Lee, S. R. and Jeon, S. W. (2012). "Landslide hazard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probability rainfal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2, pp. 57-70 (in Korean). 

  15. Marzocchi, W., Garcia-Aristizabal, A., Gasparini, P., Mastellone, M. L. and Ruocco, A. D. (2012). "Basic principles of multi-risk assessment: A Case Study in Italy." Natural Hazards, Vol. 62, No. 3, pp. 551-573. 

  1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Center (2010). Seoul climate-change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ies : Health and Disaster Sectors (in Korean). 

  1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ing climate-change II (in Korean). 

  18. OECD (2009). OECD studies in risk management-innovation in country risk management. 

  19. Paola, J. D. and Schowengerdt, R. A. (1995). "A review and analysis of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for classification of remotelysensed multi-spectral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6, No. 16, pp. 3033-3058. 

  2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Disaster 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plan of Seoul (in Korean). 

  2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Urban planning facilities decision status of Seoul (in Korean). 

  2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Rainwater management master plan of Seoul (in Korean). 

  23. Son, M. W., Sung, J. Y., Chung, E. S. and Jun, K. S. (2011).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3, pp. 231-248 (in Korean). 

  24.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4). Reducing disaster risk - A challenge for development, A global report, UNDP-Bureau for Crisis Prevention and Recovery (BRCP), New York, N.Y. 

  25. World Economic Forum (2013). Global Risk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