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비만변증 설문지 개발
The Development of Obes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Uzbekistan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6 no.1, 2016년, pp.1 - 10  

김윤영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문진석 (한국한의학연구원) ,  최선미 (한국한의학연구원) ,  장은수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ussian version of Korean obes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KOPIQ) and classify the pattern of Uzbekistan obes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0 September 2014 to 10 December 2014 in Korea-Uzbekistan Oriental Hos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우친선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에 참여하는 데 동의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러시아어 버전으로 개발된 우즈베키스탄 버전 비만변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은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작성된 설문지는 우즈베키스탄 한우친선 한방병원 연구자가 직접 Microsoft Excel 프로그램(Microsoft, Redmond, WA, USA)으로 입력하여 한국으로 전달되었으며, 전달받은 자료는 검토 및 모니터링을 거쳐 최종적으로 6개 비만변증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비만변증 진단을 위해 사용한 러시아어 버전 비만변증 설문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네 가지 계통 분류별 신뢰도 및 여섯 가지 비만변증 유형별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비만변증 진단 설문지의 신뢰도를 파악한 결과 전체 신뢰도 지수는 Cronbach’s alpha=0.
  • 본 연구에서 비만변증 설문지에 의한 진단결과와 현지 의료인들과의 진단결과 일치정도가 비록 높지는 않았지만, 비만변증 도구의 러시아어 버전을 개발한 첫 연구로 비만변증 알고리즘의 현지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비만변증 프로그램의 현지화를 목표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현지 지역주민의 비만변증 유형을 Internet Explorer를 통해 간편하게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비만변증 유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러시아어 웹 버전 비만 변증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개발에 그치지 않고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현지인의 비만변증 유형을 Internet Explorer를 통해 간편하게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비만변증 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웹 버전 진단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www.ammrc.kiom.re.kr/renewal/obesity). 이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현지에서 비만변증 설문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협력연구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우친선 한방병원 비만 클리닉에 내원한 대상자들의 비만변증 유형을 진단하기 위해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총 52문항으로 구성된 비만변증 설문지3)를 현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어와 러시아어를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향후 중앙아시아지역으로 확산을 고려하여 러시아어로 번역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현지인의 비만변증 유형을 인터넷을 통해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비만변증 유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비만변증 프로그램에 사용한 판별식을 적용하여 러시아어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하여 한국인 비만변증 유형을 분류하는 비만변증 설문지를 번역, 역번역 하는 과정을 거쳐 우즈베키스탄에서 활용 가능한 비만변증 설문지의 러시아어 버전을 개발하였다. 비만변증 설문지의 러시아어 버전 개발에 이어 발생하는 번역상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즈베키스탄 현지 전문 번역가에게 맡겨 직접 번역과 역 번역 작업에 참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우친선 한방병원과 협력하여 비만변증 연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내적 일관성이 높은 러시아 버전 비만변증 설문지와 웹 버전 설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한의학의 세계화, 한의약 세계시장 진출 활성화 및 유라시아 지역 거점 확대를 위한 국가적인 노력에 맞추어 본 연구가 한국 한의학이 우즈베키스탄으로 확산되는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 .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서면동의를 받아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의 한우친선 한방병원을 기반으로 한국형 비만변증 설문지의 러시아어 버전 및 웹 버전을 개발하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지역민들의 비만 정도와 비만 유형을 파악하고 후속연구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의학의 세계화 및 발전을 위해 한국형 비만변증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지역 주민들의 비만 정도와 비만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대사 장애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1)로 한의학에서는 비만을 비(肥), 비반(肥胖), 비귀인(肥貴人), 비인(肥人)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비백흑수(肥白黑瘦)라 하여 비만한 사람은 얼굴이 희고, 마른 사람은 얼굴색이 검다고 하여 그 유형을 구분하였다. 최근 비만으로 인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퇴행성관절염, 요통 등 여러 가지 질병 발생 위험도 증가로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만의 예방 및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2).
한국-우즈베키스탄 친선 한방병원의 성과는 무엇인가? 한편 중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우즈베키스탄에서는 1998년부터 대한한의사협회와 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에서 한국-우즈베키스탄 친선 한방병원(이하 한우친선 한방병원)을 설립하고, 한국 국제 협력단으로부터 인적, 물적 지원을 받아 한의학 진료를 제공하고 있는 동시에 비만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한우친선 한방병원에서는 비만 환자를 포함하여 2013년 기준 15,474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우즈베키스탄 내에서의 한의학 인지도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
한의 비만 변증 설문지에서는 비만 유형을 어떻게 나누는가? 한의학에서는 비만 치료를 위해 비만 유형을 분류하여 접근하고 있으며, 한국의 한의사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기개발된 한의 비만변증 설문지에서는 비만 유형을 6가지, 즉간울형, 비허형, 양허형, 어혈형, 식적형, 담음형으로 나누고 있다3). 비만에 대한 관심과 치료적 접근을 위한 연구는 2000년대 후반에 활발해지기 시작하였으며, 먼저 비만변증 유형 진단을 위한 비만변증 지표 연구3), 비만변증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분석4), 비만변증 설문지 적용5), 비만변증 진단을 위한 판별모형6), 증상척도에 따른 변증 진단 비교7) 등과 같이 변증 지표 및 도구개발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 Paju : Koonja. 2011 : 350-63. 

  2. Park HS, Cho JS, Han DI. The depression in the obese. Korean J Fam Pract. 1995 ; 16(4) : 239-45. 

  3. Moon JS, Kang BG, Ryu EK, Choi SM. A study of syndrome index differentiation in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1) : 55-69. 

  4. Kang BG, Moon JS, Choi SM. A reliability analysis of syndrome differentiation questionnaire for obesity. Korean J Orient Med. 2007 ; 13(1) : 109-14. 

  5. Moon JS, Kang BG, Kang KW, Shim WJ, Shin MS, Choi SM. Weighting method based on experts opinions for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questionnaire. J Korean Med Obes Res. 2008 ; 8(1) : 54-61. 

  6. Kang KW, Moon JS, Kang BG, Kim BY, Kim NS, Yoo JH, et al. The discrimination mode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of overweight patients. Korean J Orient Med. 2008 ; 14(2) : 41-6. 

  7. Kang KW, Moon JS, Kang BG, Kim BY, Shin MS, Choi SM. The comparison of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according to symptom scale based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J Korean Med Obes Res. 2009 ; 9(1) : 37-44. 

  8. Kwon DH, Lee MJ, Lim JY, Lee SJ, Kim HJ. Efficacy of red ginseng by oriental medical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on obese women: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 Korean Med Obes Res. 2011 ; 11(1) : 1-14. 

  9. Park JH, Lee MJ, Kim HJ, Hong SW, Lee DK, Yoo JW, et al. Efficacy and adverse events of Bangpungtongseong-san (Bofutsusho-san) and Bangkihwangki-tang (Boiogiot-tang) by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on obese subjects: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J Orient Rehab Med. 2011 ; 21(2) : 265-78. 

  10. Park JH, Kim HJ.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Bangpungtongseong-san (Bofutsusho-san) and Bangkihwangki-tang (Boiogito) in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12 ; 12(1) : 48-58. 

  11. Park WH, Cha YY, Song YK, Park TY, Kim HJ, Chung WS, et al. The review on the study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focused on Korean research papers. J Orient Rehab Med. 2014 ; 24(2) : 83-93. 

  12. Oh SY, Kwon DH, Lee JS, Dilfuza B, Jang ES, Joo JC. Korean medical care and education activity in Uzbekistan: focusing on the Korea-Uzbekistan friendship hospital of Korean medicine. J Korean Orient Med. 2014 ; 35(3) : 15-21. 

  13. Song YI, Lee KJ, Lee PA, An KS, Kim DH. Reviewing the education of oriental medicine in Uzbekistan: with reference to the data in a medical academy. J Korean Orient Med. 2010 ; 31(5) : 33-40. 

  14. Kwon DH, Ryn YJ, Oh SY, Kim HJ. A survey on obesity conducted in the Korea-Uzbekistan friendship hospital of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bes Res. 2012 ; 12(2) : 17-27. 

  15. Hwang MJ, Moob JS, Park KS, Song MY. Analysis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o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adult women. J Korean Med Obes Res. 2008 ; 8(2) : 63-72. 

  16. Ryoo JY. The importance of promotional material translation for overseas use. Interpreting and Transl Stud. 2011 ; 14(2) : 91-111. 

  17. Chae H.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ducational curriculum for foreign medical student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10 ; 24(6) : 1068-76. 

  18. Cho NH, Kim SH, Woo EK, Lee JJ, Lee SW, Cho HS. Utilization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older population before death.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 ; 7(1) : 37-48. 

  19.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6 Mar 22]. Available from: http://stat.kosis.kr/nsieu/view/tree.do?taskbranchView&id350_35001_6*MT_OTITLE&hOrg350.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Noncommunicable diseases country profiles. Geneva : WHO Press. 2011 : 201. 

  21. Koo JS, Seo JC, Baek JH, Park CS, Beon JS. The analysis of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agreement among three Korean medical doctors. East West Med. 2003 ; 28(4) : 36-9. 

  22. Ham TI, Hwang MW, Lee TG, Kim SB, Lee SK, Koh BH. A study on the concordance rate of the diagnostic results amo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specialists. J Sasang Const Med. 2006 ; 18(3) : 124-30. 

  23. Beak YH, Kim HS, Lee SW, Jang ES. The concordance and validity assessment of diagnosis for the expert in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 Med. 2014 ; 26(3) : 195-303. 

  24.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AKOM) [Internet]. Seoul: AKOM; [cited 2016 Mar 22]. Available from: http://www.akom.org/bbs/board.php?bo_tablepress&wr_id20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