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매체와 댓글에 따른 영화 구전의도 및 관람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WOM and Selecting Movie According to Online Media and Replies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4 no.2, 2015년, pp.177 - 193  

여등승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  임규건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reat number of customers, who want to watch movies usually check out online reviews before choosing what to watch a movie. The most representative online media that customers consult are portal sites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online eWOM (e-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아쉽게도 이러한 온라인 매체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댓글 정보에 대한 신뢰성에 인식 차이가 있는지, 온라인 댓글의 양과 긍정 또는 부정의 방향성은 영화 관람의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영화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를 단일하게 보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 온라인 매체의 유형 별 온라인 구전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며 온라인 매체유형을 조절변수로 추가하여 구전의도와 영화 관람의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매체인 영화 포털과 2007년 이후 최고의 SNS인 페이스북의 온라인 댓글의 양과 방향성이 구전의도 및 영화 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페이스북은 2013년 말까지 가입자 수는 12억 명을 돌파하였고, 하루 25억 개의 콘텐츠가 공유되고, 27억 번의 ‘좋아요’ 버튼이 클릭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두 온라인 매체인 영화 포털사이트와 SNS의 댓글 차이비교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SNS의 이용형태를 [Table 3]으로 정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전의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CGV영화 포털같은 영화 포털사이트와 대표적인 SNS인 페이스북(Facebook)의 구전정보가 구전효과를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두 온라인 매체상의 댓글의 방향성(긍정적/부정적)과 댓글의 양(고/저)이 구전의도하고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고자 [Figure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H1a:많은 양의 댓글은 적은 양의 댓글보다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1b:많은 양의 댓글은 적은 양의 댓글보다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2a:긍정적인 온라인 댓글은 부정적인 온라인 댓글보다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2b:긍정적인 온라인 댓글은 부정적인 온라인 댓글보다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3a: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댓글의 양이 많은 경우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3b: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댓글의 양이 많은 경우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3c: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댓글의 양이 적은 경우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3d: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댓글의 양이 적은 경우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4a: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긍정적인 댓글이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4b: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긍정적인 댓글이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4c: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부정적인 댓글이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가설 H4d:SNS가 영화 포털사이트 보다 부정적인 댓글이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연구문제 H1:온라인 댓글의 양에 따라 구전의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H2:온라인 댓글의 방향성에 따라 구전 의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H3:온라인 댓글의 양에 따른 구전의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온라인 매체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H4:온라인 댓글의 방향성에 따른 구전 의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온라인 매체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전이란? 근래 대부분의 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구전마케팅은 소비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의 확산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구전(WOM:Word of Mouth)은 실제 제품 혹은 서비스를 경험한 소비자들이 자신의 직․간접적인 경험을 입에서 입으로 다른 소비자나 친구들과 전달하고 교환하는 활동이다. 근래 연구에 의하면 신제품의 홍보효과는 기업 차원에서 제공하는 광고보다 실제적으로 제품을 사용한 사람들이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and Yu, 2006).
구전의도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구전의도는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구두를 통해 타인들에게 비공식적으로 전달할 가능성으로 정의된다. 구전의도는 잠재적인 고객들의 해당 제품 구매 혹은 사용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구전의도는 영화산업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가? 구전의도는 잠재적인 고객들의 해당 제품 구매 혹은 사용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영화산업에서는 아직 그 영화를 관람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의 기대와 관람의도에 영향을 준다. Kim and Hwang(1997)은 컴퓨터를 구매하는 실제 실험 환경을 제시하고 구전의 수용과 구전의도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ndt, J., "Role of Product-Related Conversation in the Diffusion of a New Prod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 No.3, 1967, 291-295. 

  2. Bae, J.H., B.J. Shin, and B.D. Kim, "Simultaneous Effect between eWOM and Revenues : Korea Movie Industry",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2, 2010, 1-25. (배정호, 심범준, 김병도, "온라인 구전과 영화 매출간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영화 산업을 중심으로", 아시아마케팅저널, 제12권, 제2호, 2010, 1-25.) 

  3. Brister, J.M.,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nd their Effects in Consumer Network",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8, 1991, 155-169. 

  4. Chevalier, J. and D. Mayzlin, "The Effect of Word of Mouth on Sales : Online Book Review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3, No.3, 2006, 345-354. 

  5. Christiansen, T. and S.S. Tax, "Measuring word of mouth : the questions of who and when?",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Vol.6 No.3, 2000, 185-200. 

  6. Cho, C.H., S.H. Ahn, and Y.D. Shon, "A Study Regarding the Effects of Direction of Comments about Online Reviews and Credibility of Web Sites on Brand Attitudes Toward Services :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a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1, No.2, 2012, 69-91. (조춘한, 안승호, 손영돈, "댓글의 방향성과 웹사이트의 신뢰성이 서비스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비교",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2호, 2012, 69-91.) 

  7. Jeon, B.S., "The Discriminant Analysis of Sources of Movie Information for Moviego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46, No.3, 2002, 390-413. (전범수, "영화 관람객의 영화정보채널 유형별 특성" 한국언론학회, 제46권, 제3호, 2002, 390-413.) 

  8. Jill, S., G. Soutar, and T. Mazzarol, "Factors Enhancing Word-of-Mouth Influence : Positive and Negative Service-Related Message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8, No.1, 2014, 336-359. 

  9. Katz, E. and P.F. Lazarsfeld, Personal Influence, The Part Played by People in the Flow of Mass Communications, Transaction Publishers, 1955. 

  10. Kim I.J., D.C. Lee, and G.G. Lim,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ocial Commer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Service Providers and the Users : Focused on Ticket Monster in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4, No.2, 2014. 

  11. Kim, C.H. and E.R. Hwa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WOM and WOM of Effect", Korea Advertising Society, Vol.35, 1997, 55-77. (김창호, 황의록, "구전정보의 특성과 구전효과의 관계", 광고연구학회, 제35권, 1997, 55-77.) 

  12. Kim, H.K. and J.H. Song, "The quality of Wordof-Mouth in the Online Shopping Mall", 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Vol.4, No.4, 2010, 376-390. 

  13. Kim, H.W, "Relationship between Box-Office Success of Films and Attributes of On-Line Word-of-Mouth",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4, No.2, 2010, 1-14. (김혜원, 영화흥행과 온라인 구전 특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제4권, 제2호, 2010, 1-14.) 

  14. Kim, J.H. and S.H. Sang,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on the Purchase Intention : Case of Internet Service Portal Site",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2010, 83-97. (김준희, 서상혁, "온라인 정보 및 구전특성 요인이 고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터넷 서비스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제2호, 2010, 83-97.) 

  15. Langdridge, D. and H.J. Gareth, 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in Psychology, Pearson Education, 2009. 

  16. Metzger, M., "Making Sense of Credibility on the Web : Models for Evaluating Online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8, No.13, 2007, 2078-2091. 

  17. Milad, D. and T. Mustafa, "A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Facebook Advertising on Enhancing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49, 2015, 597-600. 

  18. Park, C. and C.J. Yu,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s' Word of Mouth about Brand Experiences and Responses on Brand Evaluations at Online Context",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Vol.17, No.1, 2006, 73-93. (박찬, 유창조, "온라인에서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표 사용후기와 답글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제17권, 제1호, 2006, 73-93.) 

  19. Park, J.Y.,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d of Mouth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SNS's on Word of Mouth Effects",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27, No.6, 2012, 385-408. (박진영, "SNS를 통한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제27권, 제6호, 2012, 385-408.) 

  20. Senecal, S. and J. Nantel, "The Influence of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s on Consumers' Online Choices", Journal of Retailing, Vol.80, No.2, 2004, 159-169. 

  21. Sung, Y.S., J.Y. Park, and E.A. Park, "The Influence of On-line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Viewing Intention toward Motion Picture", Advertising Research, Vol.57, 2002, 31-52.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57호, 2002, 31-52.) 

  22. Yu, D.S. and G.G. Lim, "The Effect of the Quantity and Direction of Online Reply on Wordof-Mouth for Movie Choice", Proceedings of 2014 Korea IT Services Fall Conference, 2014, 429-432. (여등승, 임규건, "온라인 영화관련 댓글의 양과 방향성이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4년 한국IT서비스학회 추계학술대회, 2014, 429-432.) 

  23. Embrain Trend Monitor, URL : http://www.embrain.com,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