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흥행영화의 온라인 구전패턴과 관객수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nline WOMs and the Number of Audience of Successful Film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147 - 162  

황예나 (경희대학교 문화관광콘텐츠학과) ,  남윤재 (경희대학교 문화관광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흥행영화의 온라인 구전패턴을 확인하고, 온라인 구전과 관객수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했다. 분석대상으로 삼은 흥행영화는 2017년 한국에서 개봉한 영화 중 누적 관객수 기준으로 상위 20위까지의 영화이며, 본 영화에서 온라인 구전으로 도출한 변인은 각 20개 영화에 대한 블로그 포스팅, 기사, 리뷰, 그리고 검색의 양(volume)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구전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SPSS의 곡선추정으로 한 결과, 모든 변인이 3차 모형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고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구전과 관객수와의 관계를 보기 위해 패널 분석을 한 결과, 블로그양, 리뷰양, 검색량은 관객수와 모두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사량은 부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WOMs(such as volume of blogs, articles, reviews, searches) and the number of audience of successful film.The results are as follow: Frist, using a curve-estim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longitudinal trends of the online WOMs can...

주제어

표/그림 (1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객이 기사를 접하는 것은 블로그 포스팅이나 영화 리뷰를 직접 찾아보고 영화를 검색해보는 행위보다 수동적 행위에 해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사량이 블로그양, 리뷰양, 검색량과 다른 결과를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론할 수 있다. 기사는 본 연구에서 수집한 다른 구전 변인들과는 달리 일반인들에 의해 발생한 구전이 아니며, 영화에 대한 정보성을 띠기보다는 광고나 홍보의 일환으로 배포되는 경우가 다수이다. 때문에 관객이 기사를 접하는 것은 블로그 포스팅이나 영화 리뷰를 직접 찾아보고 영화를 검색해보는 행위보다 수동적 행위에 해당한다.
콘텐츠 산업은 무엇인가? 영화는 대표적인 영상문화콘텐츠이며 콘텐츠 산업은 창의성과 같이 무형자산을 생산요소로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1]. 콘텐츠산업의 개념은 1998년 OECD 의 ‘신(新)성장 산업으로서 콘텐츠’라는 언급을 통해 처음 소개되었고, 이후 하위 분야로 디지털콘텐츠의 중요 성이 부각되었다[2].
영화 마케팅은 어떠한 것을 초점으로 두엇는가? 영화는 인기 있는 소수 영화로 상업적인 성공이 집중되며 긴 생산단계에 비해 짧은 판매기간을 갖는다. 때문에 영화 마케팅은 짧은 판매 기간 안에 많은 관객이 영화를 통해 만족을 얻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4]. 특히 영화는 관람하기 전까지 그 특성을 알 수 없고 관람하고 나서야 평가가 가능하다는 경험재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소비자의 광고나 홍보 등의 정보의존도를 높이는데, 이때 소비자는 선택의 불확 실성을 줄이기 위해 영화에 대한 사전 정보 탐색 과정을 거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134-143, 2008. 

  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2017. 

  3. MPAA, Theatrical Market Statistics 2016,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Inc, 2017. 

  4. 김기태, 영화흥행을 위한 마케팅, 서울: 삶과 꿈, 1997. 

  5. 전범수, "영화 소비 결정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226-233, 2013. 

  6. 고정민, 한국 영화산업의 선순환구조와 발전전략,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2. 

  7. 영화진흥위원회, 2016 온라인 영화소비자 조사 결과보고서, 2017. 

  8. 최건용, 비즈니스로 보는 한국영화산업, 형설출판사, 2012 

  9.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No.4, pp.159-175, 1983. 

  10.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 No.2, pp.35-50, 1989. 

  11. R. O. Wyatt and D. P. Badger, "Effects of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 film criticism," Journalism Quarterly, Vol.67, No.2, pp.359-368, 1990. 

  12. S. Sochay,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7, No.4, pp.1-20, 1994. 

  13. S. A. Ravid, "Information, blockbusters, and stars: A study of the film industry," The Journal of Business, Vol.72, No.4, pp.463-492, 1999. 

  14. B. H. Chang and E. J. Ki, "Devising a practical model for predicting theatrical movie success: Focusing on the experience good property,"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18, No.4, pp.247-269, 2005. 

  15. 김휴종, "한국 영화스타의 스타파워 분석," 문화경제연구, 제1권, 제1호, pp.165-200, 1998. 

  16. 유현석, "한국영화의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3호, pp.183-213, 2002. 

  17. 김은미,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7호, 제2권, pp.190-220, 2003. 

  18. 최은희, 표티나, 박윤진, 염준근, "한국영화의 흥행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2005년 말부터 2008년까지 한국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1호, 제5호, pp.2773-2784, 2009. 

  19.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 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81-393, 2010. 

  20. 박승현, 송현주, 정완규,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231-258, 2011. 

  21. 배정호, 심범준, 김병도, "온라인 구전과 영화 매출간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2, pp.1-25, 2010. 

  22. T. Hennig­Thurau, K. P. Gwinner, G. Walsh, and D. D. Gremler, "Electronic word of­mouth via consumer­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8, No.1, pp.38-52, 2004. 

  23. 홍성태, 이은영, "온라인 구전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9권, pp.1-15, 2004. 

  24. B. Bickart and R. M. Schindler, "Internet forums as influential sources of consumer information,"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5, No.3, pp.31-40, 2001. 

  25. S. Snecal and J. Nantel, "The influence of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s on consumers' online choices," Journal of retailing, Vol.80, No.2, pp.159-169, 2004. 

  26. 정영호, "온라인 구전의 정보적 특성 (구전량, 일치도, 정보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4권, 제1호, pp.47-76, 2013. 

  27. G. T. Lau and S. Ng,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wordof­ mouth behaviour,"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s, Vol.18, No.3, pp.163-178, 2001. 

  28. 김성훈, "제품 관여도 및 제품 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57-280, 2003. 

  29. 정재학, 김영찬, "구전 효과가 소비자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19권, 제3호, pp.1-20, 2004. 

  30. S. H. Kim, N. Park, and S. H. Park, "Exploring the effects of online word of mouth and expert reviews on theatrical movies' box office succes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6, No.2, pp.98-114, 2013. 

  31. 김세준, 이세진,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광고연구, 제96권, pp.100-136, 2013. 

  32. F. Zufryden, "Linking advertising to box office performance of new film releases-A marketing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4, pp.29-42, 1996. 

  33. R. O. Wyatt and D. P. Badger, "How reviews affect interest in and evaluation of films," Journalism Quarterly, Vol.61, No.4, pp.874-878, 1984. 

  34.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product sales-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ovie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Vol.84, No.2, pp.233-242, 2008(6). 

  35. Y. Liu,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74-89, 2006. 

  36.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Do online reviews matter?-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anel data,"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5, No.4, pp.1007-1016, 2008(11). 

  37. 김연형, 홍정한,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예측 연구,"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제18권, 제6호, pp.859-869, 2011. 

  38. S. Jeon and Y. S. Son,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variables as predictors of box offic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29, No.4, pp.657-678, 2016. 

  39. 전범수, "국내 영화관람객의 영화 소비 행동,"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2호, pp.297-326, 2003. 

  40. 조재영, "영화홍보에 있어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4호, pp.193-217, 2005. 

  41. A. Chakravarty, Y. Liu, and T. Mazumda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nline word-ofmouth and critics' reviews on pre-release movie evaluation,"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24, No.3, pp.185-197, 2010. 

  42. C. C. Moul, "Measuring word of mouth's impact on theatrical movie admissions,"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rategy, Vol.16, No.4, pp.859-892, 2007. 

  43. 임현정, 양희동, 백현미, "블로그와 온라인 뉴스가 영화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21, No.4, pp.157-171, 2014. 

  44. 이수범, 강은희, "블로그를 이용한 영화 마케팅의 수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1권, 제1호, pp.329-342, 2010. 

  45. 박조원, 이귀옥, "영화 관련 신문 보도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 pp.62-83, 2004. 

  46. S. Basuroy, S. Chatterjee, and S. A. Ravid, "How critical are critical reviews? The box office effects of film critics, star power, and budgets," Journal of marketing, Vol.67, No.4, pp.103-117, 2003. 

  47. 박승현, 장정헌, "온라인 영화 리뷰의 내용과 품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221-256, 2012 

  48. S. Goel, J. M. Hofman, S. Lahaie, D. M. Pennock, and D. J. Watts, "Predicting consumer behavior with Web search,"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107, No.4, pp.17486-17490, 2010. 

  49. 이유석, 차경천, 김상훈, "인터넷 정보 검색 행동과 영화 흥행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45권, 제5호, pp.1501-1526, 2016. 

  50. H. Choi and H. Varian, "Predicting the present with Google Trends," Economic Record, Vol.88, No.1, pp.2-9, 2012. 

  51. S. P. Jun, J. H. Yeom, and J. K. Son, "A study of the method using search traffic to analyze new technology adop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81, pp.82-95, 2014. 

  52. G. Kulkarni, P. K. Kannan, and W. Moe, "Using online search data to forecast new product sale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52, No.3, pp.604-611, 2012. 

  53. 한광종, SPSS활용 미래예측과 시계열분석, 백산출판사, 2015. 

  54. 데이타솔루션 컨설팅팀, SPSS Statistics 회귀분석, SPSS 데이터솔루션, 2013. 

  55. Y. J. Nam and G. A. Barnett, "Communication media diffusion and substitutions: Longitudinal trends from 1980 to 2005 in Korea," new media & society, Vol.12, No.7, pp.1137-1155, 2010. 

  56.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2. 

  57. 최충익, "패널모형: 시계열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한번에," 국토, 통권320호, pp.120-127, 2008. 

  58.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문우사, 2012. 

  59. 배은송, 패널데이터분석을 활용한 인바운드 관광수요에 미치는 한류의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