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주 건강 상태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Assessment of Acidogenic Potential for Dental Biofilms by Periodontal Health Condition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2, 2015년, pp.202 - 208  

민지현 (청주대학교 치위생학과) ,  윤홍철 (베스트덴 치과) ,  김종관 (베스트덴 치과) ,  강시묵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김백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대상자의 치주 건강 상태에 따라 그들의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Cariview 검사법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치과에 내원한 만 20세 이상의 성인 68명의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여 Cariview 검사를 시행하였고, 방사선 사진 및 QLF-D 사진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 건강 상태에 따라 대상자의 나이, 치조골 소실 치아 수, 임플란트 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001). 그러나 치은염, 경도 치주염, 중등도 치주염, 고도 치주염으로 치은 건강상태의 분류에 따라 평균적인 Cariview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p=0.12).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health condition and the results of a new method such as Cariview which could evaluate the acidity of dental biofilms. Fifty four subjects more than 20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e candidates of this stud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균의 당 분해로부터 생성된 산으로 인해 치아 법랑 질의 탈회가 진행되므로 pH는 치아우식증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Cariview 검사도 본래 산 생성 능력에 따른 개인의 우식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치주질환 상태에 따라서도 산 생성 능력이 다를 수 있다는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9-11) , 본 연구에서는 치주 건강 상태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pH 차이를 Cariview 검사 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치주 건강 상태를 갖고 있는 치주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치면세균막의 산생성 능력을 Cariview 검사법으로 평가함으로써, 이들 집단 간에 Cariview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1)12). 세균의 당 분해로부터 생성된 산으로 인해 치아 법랑 질의 탈회가 진행되므로 pH는 치아우식증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Cariview 검사도 본래 산 생성 능력에 따른 개인의 우식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치주질환 상태에 따라서도 산 생성 능력이 다를 수 있다는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9-11) , 본 연구에서는 치주 건강 상태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pH 차이를 Cariview 검사 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rivew 점수에 의해 치주 건강 상태에 따른 치면 세균막의 산 생성 능력 평가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치과에 방문한 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 치주 상태의 군이 없었고, 치은염 군의 대상자가 적었다. 차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연구에 참여시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성별, 사회경제적 수준 별 차이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신 질환자 및 흡연자 등의 치면 세균막의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대상자의 배제기준에 포함하여 대상자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 치주질환은 치은 연하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치주질환이 의심되는 부분의 치은 연하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여 Cariview 검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Cariview 검사법은 치아우식 활성 검사에 맞춰 제작되어 있으나, 이를 치주질환 원인균의 관련 검사를 위해 세균 배지 및 배양법을 변형해 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치면세균막이란 무엇인가? 구강은 인체 내에서 세균이 가장 많이 집락화된 기관 중 하나이다. 특히 치아 표면과 치은 열구 내에 다양한 세균으로 구성된 바이오 필름(biofilm)을 치면세균막(dental plaque)이라 하며, 이것은 세균 간의 상호 소통이 존재하는 세균 집락체이다1-3). 만약 치면세균막을 철저한 구강위생관리를 통해 제거하지 않으면 그 양이 증가하고 질적인 특성 변화로 인해 결국 치면세균막 자체의 항상성(homeostasis)이 붕괴되고 세균 집락 구성의 변화를 통해 구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적 상태에 이른다1-3).
치면세균막을 제거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현상은? 특히 치아 표면과 치은 열구 내에 다양한 세균으로 구성된 바이오 필름(biofilm)을 치면세균막(dental plaque)이라 하며, 이것은 세균 간의 상호 소통이 존재하는 세균 집락체이다1-3). 만약 치면세균막을 철저한 구강위생관리를 통해 제거하지 않으면 그 양이 증가하고 질적인 특성 변화로 인해 결국 치면세균막 자체의 항상성(homeostasis)이 붕괴되고 세균 집락 구성의 변화를 통해 구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적 상태에 이른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arsh PD: Microbial ecology of dental plaque and its significance in health and disease. Adv Dent Res 8: 263-271, 1994. 

  2. Sbordone L, Bortolaia C: Oral microbial biofilms and plaque-related diseases: microbi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the shift from oral health to disease. Clin Oral Investig 7:181-188, 2003. 

  3. Huang R, Li M, Gregory RL: Bacterial interactions in dental biofilm. Virulence 2: 435-444, 2011. 

  4. Moore LV, Moore WE, Cato EP, et al.: Bacteriology of human gingivitis. J Dent Res 66: 989-995, 1987. 

  5. Savitt ED, Socransky SS: Distribution of certain subgingival microbial species in selected periodontal conditions. J Periodontal Res 19: 111-123, 1984. 

  6. Socransky SS, Haffajee AD: Dental biofilms: difficult therapeutic targets. Periodontol 2000 28: 12-55, 2002. 

  7. Goodson JM, Tanner AC, Haffajee AD, Sornberger GC, Socransky SS: Patterns of progression and regression of advanced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9: 472-481, 1982. 

  8. Papapanou PN, Neiderud AM, Papadimitriou A, Sandros J, Dahlen G: "Checkerboard" assessments of periodontal microbiota and serum antibody responses: a case-control study. J Periodontol 71: 885-897, 2000. 

  9. Sissons C: Plaque, plaque model systems and pH. N Z Dent J 94: 56-60, 1998. 

  10. Frostell G: Studies on the ammonia production and the ureolytic activity of dental plaque material. Acta Odont Scand 18:29-65, 1960. 

  11. Baliga S, Muglikar S, Kale R: Salivary pH: a diagnostic biomarker. J Indian Soc Periodontol 17: 461-465, 2013. 

  12. Kang SM, Jung HI, Jeong SH, Kwon HK, Kim BI: Development of a new color scale for a caries activity test. J Korean Acad Oral Health 34: 9-17, 2010. 

  13. Tassery H, Levallois B, Terrer E, et al.: Use of new minimum intervention dentistry technologies in caries management. Aust Dent J 58(Suppl 1): 40-59, 2013. 

  14. Kim 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a potential tool for dental hygiene process. J Dent Hyg Sci 13: 115-124, 2013. 

  15. Lee SY, Lim SR, Bae HS: Applicability evalu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cariview in caries prediction study. J Dent Hyg Sci 13: 403-409, 2013. 

  16. Ahmad NE, Sanders AE, Sheats R, Brame JL, Essick GK: Obstructive sleep apnea in association with periodontitis: a case-control study. J Dent Hyg 87: 188-199, 2013. 

  17. Petersen PE: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p.10-12, 2003. 

  18. Faveri M, Figueiredo LC, Duarte PM, Mestnik MJ, Mayer MP, Feres M: Microbiological profile of untreated subjects with loc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36:739-749, 2009. 

  19. Lindhe J, Ranney R, Lamster I, et al.: Consensus report: chronic periodontitis. Ann Periodontol 4: 38, 1999. 

  20. Lang NP, Bartold PM, Cullinan M, et al.: Consensus report:aggressive periodontitis. Ann Periodontol 4: 53, 1999. 

  21. Takahashi N, Schachtele CF: Effect of pH on the growth and proteolytic activ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Bacteroides intermedius. J Dent Res 69: 1266-1269, 1990. 

  22. Takahashi N, Saito K, Schachtele CF, Yamada T: Acid tolerance and acid-neutralizing activ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and Fusobacterium nucleatum. Oral Microbiol Immunol 12: 323-328, 1997. 

  23. Loesche WJ, Gibbons RJ: Amino acid fermentation by Fusobacterium nucleatum. Arch Oral Biol 13: 191-202, 1968. 

  24. Socransky SS, Listgarten M, Hubersak C, Cotmore J, Clark A: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tiation of three types of small oral spirochetes. J Bacteriol 98: 878-882, 1969. 

  25. Golub L, Borden S, Kleinberg I: Urea content of gingival crevice fluid and its relationship to periodontal disease in humans. J Periodontal Res Suppl (4): 22-23, 1969. 

  26. Jann RC: The relationship between pH and the initiation of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Abstr 19: 6-12, 1971. 

  27. Galgut PN: The relevance of pH to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J Int Acad Periodontol 3: 61-67, 2001. 

  28. Hajishengallis G: Aging and its impact on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implications for periodontitis. J Oral Biosci 56: 30-37, 2014.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won, pp.580-583, 2012. 

  30. Fabian TK, Hermann P, Beck A, Fejerdy P, Fabian G: Salivary defense proteins: their network and role in innate and acquired oral immunity. Int J Mol Sci 13: 4295-4320, 2012. 

  31. Hirotomi T, Yoshihara A, Ogawa H, Ito K, Igarashi A, Miyazaki H: A prelimina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ated saliva and periodontal condition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J Dent 34: 692-698, 2006. 

  32. Hironaka M, Ansai T, Soh I, et al.: Association between salivary levels of chromogranin A and periodontitis in older Japanese. Biomed Res 29: 125-130, 2008. 

  33. Blechman H, Gupta OP, Bartels HA: The incidence of caries in sialoadenectomized rats drinking water containing human saliva. J Dent Res 39: 5-10, 1960. 

  34. Nakamura-Kiyama M, Ono K, Masuda W, et al.: Changes of salivary functions in experimental periodontitis model rats. Arch Oral Biol 59: 125-132, 2014. 

  35. Nomura Y, Shimada Y, Hanada N, et al.: Salivary biomarkers for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chronic periodontitis. Arch Oral Biol 57: 413-420, 2012. 

  36. Charalampakis G, Dahlen G, Carlen A, Leonhardt A: Bacterial markers vs. clinical markers to predict progression of chronic periodontitis: a 2-y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ur J Oral Sci 121: 394-40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