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부모통제지각과 내·외현문제의 관계 : 자존감의 매개효과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s : Self-esteem as a Mediat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520 - 4527  

장경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심리 및 행동통제와 청소년의 자존감 및 내 외현문제 간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청소년 개인의 자존감이 부모통제와 이들의 내 외현문제 간을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심리 및 행동통제, 자존감, 그리고 내현 및 외현문제를 측정하였다. 총 355명(남: 171명, 여:184명; 중학생: 170명, 고등학생: 1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심리통제는 낮을수록, 행동통제는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존감이 높고 내 외현문제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내 외현문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부모심리통제와 내현문제 간을 부분매개, 부모행동통제와 내현 및 외현문제 간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가족주의 문화나 입시위주의 경쟁적 교육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바람직한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and adolescents' self-esteem and their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s. The other is to examine if self-esteem mediate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upon adolesc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모의 심리 및 행동통제와 청소년의 자존감 및 내·외현문제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지 알아 본 후, 청소년 개인의 자존감이 부모심리 및 행동통제와 청소년의 내현 및 외현문제 간에 어떤 매개작용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존감이란 무엇인가? 자존감(self-esteem)은 자기에 대해 갖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를 의미하며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관련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변인 중 하나이다[11,12]. 자존감 발달과정에 관한 대표적 이론인 상징적 상호작용이론(Symbolic interaction theory)에 따르면, 자존감은 아동기와 청소년기 동안 다양한 개인 내적, 사회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 특히 아동이 부모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받는 반사된 평가(reflected appraisals)가 아동의 자존감 형성에 중요한 원천이라고 한다.
자존감이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많은 선행연구들도 자율성을 보장하고, 확고한 통제, 합리적 설명과 지지, 그리고 명확한 의사소통을 하는 부모행동이 자녀의 자존감을 높이며, 과도한 벌이나 죄책감 유발, 사랑의 철회 등의 부모행동이 자녀의 자존감을 낮춘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해 왔다[10, 13, 14]. 청소년의 내․외현 문제행동과 자존감의 관련성을 다루고 있는 많은 연구들은 높은 자존감이 학업성취, 사회적 유능성, 좋은 인간관계, 개인의 성공이나 행복 등 친사회적 기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며, 비행이나, 학업실패, 이른 성(性)적 접촉, 우울 등 개인의 내․외현적 문제행동에 연루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고 밝히고 있다[15,16,17,18].
부모양육행동에 따라 청소년의 개인의 자존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한편,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Wang 등은 부모양육행동은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우울이나 문제행동으로 연결되기보다 청소년의 개인의 자존감을 통해서 연결된다고 주장 한다[22]. 부모의 지지(support)와 감독(monitoring) 같은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기관(즉 높은 자존감)을 갖도록 하여 우울과 같은 내현문제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데 반해, 거부(rejection)나 강압(coercion)과 같은 부모행동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즉 낮은 자존감)를 하도록 하여 우울증상에 취약하게 만든다는 것이다[23]. 실제로 몇몇 선행연구들은 부모의 거부적 행동이 아동의 자존감을 낮추고, 그에 따라 우울로 연결될 수 있다고 하여 부모행동과 아동의 우울 간에 자존감의 매개 가능성을 제안하였고, 부모의 수용/거부, 자율성 지지/심리적 통제, 확고한/느슨한 통제행동과 아동의 우울 간에 아동의 자기가치(self-worth)에 대한 지각이 부분적으로 매개작용을 한다는 연구도 있다[24,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 M. Chang, "The influence of children's perceived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raextraversion characteristics on their self-determination and School achieve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2, No. 1, pp. 165-179, 2007. 

  2. B. K. Barb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Vol. 67, No. 6, pp. 3296-3319, 1996. DOI: http://dx.doi.org/10.2307/1131780 

  3. L. Steinberg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Feldman, S. S., Elliott, G. R.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990. 

  4. R. A. Bean, B. K. Barber., D. R. Crane,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among african american youth. The relationships to academic grades, delinquency, and depression," Journal of Family Issues, Vol. 27, No. 10, pp. 1335-1355, 2006. DOI: http://dx.doi.org/10.1177/0192513X06289649 

  5. B. K. Barber,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2002. 

  6. B. K Barber, J. A. Olsen, S. C. Shagl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Vol. 65, No. 4, pp. 1120-1136, 1994. DOI: http://dx.doi.org/10.2307/1131309 

  7. Y. S. Park, "Parental control of adolescents' personal domain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3, No. 1, pp. 51-65, 2010. 

  8. D. T. Shek, "Perceived 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Chinese adolescents in Hong Kong,"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 34, No. 2, pp. 163-176, 2006. DOI: http://dx.doi.org/10.1080/01926180500357891 

  9. Y. J. Chyung (2004). "Children's perceptions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oderator effects of children's sex and peer accepta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25, No. 6, pp. 205-223, 2004. 

  10. K. R. Bush, G. W. Peterson, J. A. Cobas, A. J. Supple,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behavior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self-esteem in mainland China," Sociological Inquiry, Vol. 72, No. 4, pp. 503-526, 2002. DOI: http://dx.doi.org/10.1111/1475-682X.00031 

  11. M. Rosenberg, "The self-concept: Social product and social force". In Rosenberg, M. & Turner, 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1981. 

  12.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1967. 

  13. P. R. Amato, F. Fowler,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64, No. 3, pp.703-716,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2.00703.x 

  14. J. Garber, N. S. Robinson, D. Valentiner,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self-worth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 12, No. 1, pp. 12-33, 1997. DOI: http://dx.doi.org/10.1177/0743554897121003 

  15. M. Mann, C. M. Hosman, H. P., Schaalma, N. K. de Vries, "Self-esteem in a broad -spectrum approach for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 19, No. 4, pp.357-372, 2004. DOI: http://dx.doi.org/10.1093/her/cyg041 

  16. V. Gecas, J. Peter, Burke, "Self and identity," I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ocial Psychology. Cook, K. S. Fine, G. A. House, J. S. (Eds.), Allyn and Bacon, Boston, MA. 1994. 

  17. T. J. Owens,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reciprocal effects of positive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on adolescent problem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9, No. 3, pp. 391-407, 1994. DOI: http://dx.doi.org/10.2307/2095940 

  18. M. Rosenberg, M. C. Schooler, C. Schoenback, "Self-esteem and adolescent problems: modeling reciprocal effec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4, No. 5, pp. 1004-1018, 1989. 

  19.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New York, 1965. 

  20. E. H. Erikson, Youth, Identity and Crisis. Norton, New York, 1968. 

  21. M. Herbert, Living with Teenagers. Basil Blackwell, Oxford, 1987. 

  22. C. Wang, Y. Xia, W. Li, S. M. Wison, K. Bush, G. Peterson, "Parenting behaviors,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the role of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difficulties among Chinese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23, pp. 1-23, 2014. 

  23. S. H. Goodman,"Depressive symptoms and early adverse experiences". In Handbook of depressive symptoms. Gotlib, I. H., Hammen, C. L. (Eds.), NY: Guilford Press, New York, 2002. 

  24. G. R. Patterson, D. M. Capaldi, "Mediational model for boys depressed mood". In Rolf, J., Masten, A. S., Cicchetti, D., Nuechterlein, K. H., Weintraub, S. (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992. 

  25. S. Y. Jeon, "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mediational effects of emotional autonom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5, No. 6, pp. 101-111, 2007. 

  26. E. K. Lee, S. Y. Park,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dispositions and depression on the self esteem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31, No. 6, pp. 87-106, 2010. 

  27. K. M. Chang, "Associations between youth self-differentiatio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 pp. 845-85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845 

  28. R. A. Bean, K. R. Bush, P. C. McKenry, S. M. Wilson,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 8, No. 5, pp. 523-541, 2003. 

  29. Yalcin Ozdemir, "Parental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trol relationships to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Sciences [Online], Vol. 9, No. 2, pp. 1581-1590, 2012. 

  30. D. T. Shek, "Assessment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 chinese adolescents in hongkong.,"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 16, No. 4, pp. 382-391, 2006. DOI: http://dx.doi.org/10.1177/1049731506286231 

  31. H. Stattin, M. Kerr, "Parental monitoring: a reinterpretation," Child Development, Vol. 71, No. 4, pp. 1072-1085, 2002. 

  32. M. J. Kim, Pruefuengsanst und andere Psychosozialer merkmale, Duesseldorf, 1988. 

  33.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NJ., 1965. 

  34. Research center of behavior science attached Korea University, " Handbook of psycholoy scales I", Hacjisa, Seoul, Korea, 1998. 

  35. T. M. Achenbach,, C. S. Edelbrock, "Behaviour problems and competencies reported by parents of normal and disturbed children aged four through sixte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erial No.188, Vol. 46, No. 1, pp. 1-82, 1981. 

  36. R. M. Baron, D. A. Kenne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37. G. S. Pettit, R. DLaird, K. A. Dodge, J. E. Bates, M. M. Criss, "Antecedents and behavior -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Vo. 72, No. 2 pp. 583-598, 2001. DOI: http://dx.doi.org/10.1111/1467-8624.00298 

  38. E. Reitz, M. Dekovc, A. M. Meijer, "Relations between parenting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early adolescent: Child behavior as moderator and predictor," Journal of Adolescence, Vol. 29, No. 3, pp. 419-436,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dolescence.2005.08.003 

  39. Q. Wang, E. M. Pomerantz, H. Chen, "The role of parents' control in early adolescents' psychological functionin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hild Development, Vol. 78, No. 5, pp. 1592-1610,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07.01085.x 

  40. M. H. Kernis,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Vol. 14, No. 1, pp. 1-26, 2003.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401_01 

  41. M. H. Kernis, "The roles of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Baumeister, R. F. (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lenum Press. New York, 1993. DOI: http://dx.doi.org/10.1007/978-1-4684-89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