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 요인
Quality of Life and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in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816 - 4827  

전영미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상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증상경험 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1개의 대학병원과 2개의 투석전문병원에 등록되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10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이었고, 자료분석은 SPSS/WIN 18.0을 활용하여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 중 피로가 가장 높았고, 피부건조, 가려움 순이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3점이었고, 영향요인은 가족의 월수입과 증상정도이었으며, 설명력은 42.2%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혈액투석 대상자들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지원 확대와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증상정도를 완화해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및 간호중재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피로와 가려움, 수면 장애는 혈액투석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증상으로서 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 symptoms and severity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ach symptom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involved 102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emodialysis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wo Kidney Ce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증상경험과 정도를 파악하고 각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증상관리에 필요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증상경험과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한편, 많은 연구자들이 혈액투석환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증상들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우울, 불안, 피로, 수면장애, 소양증[14][15][16]과 같은 일부 증상을 중심으로 실태와 관련성을 파악했을 뿐 구체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혈액투석환자의 전반적인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거나 각각의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피츠버그 대학에서 개발한 투석환자 증상지수 (Dialysis Symptom Index) 도구와 WHOQOL-BREF 도구를 이용하여 혈액투석환자의 증상경험과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신부전은 어떤 질환인가? 만성신부전은 비가역적 신기능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보존요법으로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여 투석이나 신장이식 수술을 받아야만 생명연장이 가능한 질환이다[1]. 대한신장학회에서는 2013년에 새로 혈액투석을 시작하는 환자 수는 9,543명으로 2013년 말 기준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 수가 52,378명에 달하며 매년 약 5-8%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2].
만성 신 질환자에 적용되는 투석의 한계는 무엇인가? 만성 신 질환자에 적용되는 투석은 효과적이고 안정된 신 대체 요법으로 인정되어 왔으나,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주는 치료법이 아니므로, 질병을 지닌 채 살아가야 하는 혈액투석환자들은 치료과정에서 다양한 문제, 즉 신체적 제한, 신체상 변화, 사회활동 제한, 불안, 우울및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된다[3][4]. 또한 혈액투석은 요독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는 방법으로 1회 4시간 이상, 주 2-3회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감이 높아진다[5].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은 삶에 어떤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되는가? 특히 에너지 고갈, 기진맥진, 식욕부진, 통증, 오심, 소양증, 호흡곤란, 근육경련, 수면장애 등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가 자주 호소하는 증상이다[6]. 이러한 신체적 특성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은 물론 삶 자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갖도록 유도하기도 한다[7]. 또한 기계에 의존하여 평생 투석을 받으며 살아야 하고 투석을 중단하면 죽음에 직면할지도 모른다는 좌절감과 압박감, 사회적 고립감 및 생의 의미 상실 등 수많은 긴장을 가중시켜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S. Min, E. J. Lee,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s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pp. 64-73, 2006. 

  2.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3).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2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cited 2014 Jan 19].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 

  3. E. Y. Choi, "Prediction model of fatigue for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5. 

  4. R. B. Curtin, D. B,Sitter, D. Schatell, B. A. Chewning, "Self management, knowledge, and functioning and well-being of patient on hemodialy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31(4), pp. 378-396, 2004. 

  5. K. A. Min,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2004. 

  6. S. D. Weisbord, L. F. Fried, R. M. Arnold, A. J. Rotondi, M. J. Fine, D. J. Levenson, G. E. Switzer, "Development of a symptom assessment instrument for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The Dialysis Symptom Index",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 27(3), pp. 226-240,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3.07.004 

  7. H. W. Lim, "A study on the hemodialysis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sleep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7. 

  8. D. S. Yong, A. O. Kwok, D. M Wong, M. H. Suen, W. T. Chen, D. M. Tse, "Symptom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end-stage renal disease: A study of 179 patients on dialysis and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3(2), pp. 111-119, 2009. DOI: http://dx.doi.org/10.1177/0269216308101099 

  9. P. L. Kimmel, S. S. Patel,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focus on end-stage renal disease treated with hemodialysis", Semin Nephrol 26, pp. 68-79, 2006. DOI: http://dx.doi.org/10.1016/j.semnephrol.2005.06.015 

  10. D. L. Mapes, A. A. Lopes, S. Satayathum, K. P. McCullough, D. A. Goodkin, F. Locatelli,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a predictor of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the dialysis outcomes and practice patterns study (DOPPS)", Kidney Int, 64, pp. 339-349,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523-1755.2003.00072.x 

  11. H. J. Min, K. S. Ko, M. S. Kim, S. S. Moon, W. D. Park, C. W. Park, et al., "The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18(5), 714-732, 1999. 

  12. K. H. Cho, K. W. Sung, "The effect of anticipated variables on hemo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30(2), pp. 413-424, 2000. 

  13. S. H. Oh, E. K. Yoo,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and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pp. 1145-1153, 2006. 

  14. N. S. Seo, S. J. Kang, J. H. Kim, S. J. Kim,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str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pp. 285-297, 2013. 

  15. M. H. Jeong,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2(4), pp. 292-303,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4.292 

  16. J. S. Park, Y. S. Hong, K. H. Lee, K. K. Kim, H. R. Lee, "Comparative Research of Pruritus Group and Non Pruritus Group in Hemodialysis Patients", J Korean Biol Nurs Sci, 11(1), pp. 59-67, 2009. 

  17.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Seou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Press, 2009. 

  18. D. L. Patrick, P. Erickson, "Health status and health policy. Quality of life in health care evalu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9. S. K. Min, C. I. Lee, K. I. Kim, S. Y. Suh, D. K. Ki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 pp. 571-579, 2000. 

  20. H. B. Onsoz, Y. O. Ust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dialysis symptom index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Turk Neph Dial Transpl, 22(1), pp. 60-67, 2013. DOI: http://dx.doi.org/10.5262/tndt.2013.1001.08 

  21. E. H. Choi, "Symtoms, Mood and Sleep Disturbance in Hemodialysis", Korean Journal Rehabilitation Nursing, 13(2), pp. 105-113, 2010. 

  22. N. S. Seo, S. J. Kang, J. H. Kim, S. J. Kim,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str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pp. 285-297, 2013. 

  23. E. Welter, R. Frainer, A. Maldotti, A. Losekann, M. Weber,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terations in mineral metabolism and pruritus in hemodialysis patients" Dermatologia, 86(1), pp. 31-36. 2011. 

  24. A. E. Horigan.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4(5), pp. 715-724, 2012. DOI: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1.10.015 

  25. J. Hur, A. J. Kim, "Effect of self-efficacy and yangsaeng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pp. 76-83, 2010. 

  26. E. Y. Kim, J. S. Kim,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4), pp. 597-607, 2004. 

  27. O. S. Shim, "The study on the elderly homodialysis patients'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1), pp. 179-194, 2010. 

  28. H. J. Yang, J. S. Park, "A survey of quality of life and sexual satisfa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s", The korean Central Journal of Medicine, 62(2), pp. 185-197, 1997. 

  29. Y. H. Lee, "The effect of family support,self-efficacy, and fatigue on the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Jeonnam, 2014. 

  30. R. Sesso, J. F. Rodrigues-Neto, M. B. Ferraz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of ESRD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4(1), pp. 186-195, 2003. DOI: http://dx.doi.org/10.1053/ajkd.2003.50003 

  31. S. J. Ka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Jeonnam,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