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tres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3, 2015년, pp.340 - 349  

김서윤 (부산보훈병원) ,  양진향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ients on hemodialysis need to manage the stress of having a life-threatening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among patients on hemodialysis. Methods: The research ha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using a questionnaire. The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연령, 투석기간, 직장변화 등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간호중재가 고려된다면 좀 더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토대가 되는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혈액투석은 환자의 인생에 있어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큰 변화를 요구하므로 다른 질환에 비해 환자들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나아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피로, 우울, 및 자아존중감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U광역시 소재 2차병원 3개, 1차병원 1개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 연구 설명서를 제공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참여의 자발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중재를 모색하는 것은 대상자의 질병관리에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3), 여러 가지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울은 혈액투석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정서 상태로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yekçin et al., 2012). 또한 피로는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요소를 가진 복합적 현상으로 혈액투석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Bossola, Vulpio, & Tazza, 2011). 한편 혈액투석 환자는 생존을 위해 투석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율성 요구가 충족되지 않아 자아존중감이 손상을 받게 되고 이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Theofilou, 2012). 그 외 대상자 특성으로 교육수준, 배우자 동거 유무, 월소득, 및 동반질환 수(Shim, 2010), 투석횟수와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Hur, 2005) 등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신장질환 환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요법은 무엇인가? 2014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신 대체요[법을 받는 사람의 수는 총 80,674명으로, 1990년도에 비해 약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중 혈액투석은 신 대체요법의 71.0%를 차지하고 있어(Korean Society of Nephology [KSN], 2015) 만성신장질환 환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요법이다.
혈액투석 환자는 어떤 변화를 겪는가? 혈액투석 환자들은 주 2-3회씩 1회 4시간동안 투석을 받아야 하며, 중단할 경우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는 점에서 다른 질환에 비해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uh & Cho, 2014). 혈액투석을 받으면서 환자들은 다양한 변화와 제약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신체적 변화로는 식욕부진, 피로감, 수면장애, 체중변화, 성기능 장애, 집중력 장애 등(Hur, 2005)이 있고, 심리사회적 변화로는 동정맥루로 인한 신체상 변화(Oyekçin, Gülpek, Sahin, & Mete, 2012),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심리적 불안감(Perales-Montilla, Duschek, & Reyes-Del Paso, 2013) 등이 포함된다. 또한 혈액투석 환자들은 식이 및수분 제한, 신체활동 감소, 직장이나 가정에서의 역할상실, 경 제적 부담감 등(Shim, 2010)의 제약들을 경험하게 되어 스트 레스가 더욱 가중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ldree, K. S., Murphy, S. P., & Powers, M. J. (1982). Stress identification and coping pattern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Nursing Research, 31(2), 107-112. 

  2. Bossola, M., Vulpio, C., & Tazza, L. (2011). Fatigue in chronic dialysis patients. Seminars in Dialysis, 24(5), 550-555. 

  3. Chen, C. K., Tsai, Y. C., Hsu, H. J., Wu, I. W., Sun, C. Y., Chou, C. C., et al. (2010).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Psychosomatics, 51(6), 528-528. 

  4. Dumitrescu, A. L., Garneata, L., & Guzun, O. (2009). Anxiety, stress, depression,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urs in Romanian hemodialysis patients. Romani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47(2), 161-168. 

  5. Gorji, M. A., Mahdavi, A., Janati, Y., Illayi, E., Yazdani, J., Setareh, J., et al. (2013).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stressors among hemodialysis patients in educational hospitals of northern Iran.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19(3), 166-169. 

  6. Gurkan, A., Pakyuz, S. C., & Demir, T. (2015). Stress coping strategies in hemodialysis and kidney transplant patient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47(5), 1392-1397. 

  7. Hur, J. (2005). A study of the treatment related-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of hemodialysis noncompliant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1(4), 439-448. 

  8.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1), 107-130. 

  9. Kim, H. R. (1996). Fatigu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53-72. 

  10. Kim, S. R. (2010). Depression and anxie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a single center study.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9(6), 733-741. 

  11. Kim, Y. O. (1993). Effect of therap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3), 431-452. 

  12. Korean Society of Nephology. (2015).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Retrieved Jun 15, 2015,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5/index.html 

  13. Lee, K. A., Hicks, G., & Nino-Mucria, G. (199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cale to assess fatigue. Psychiatry Research, 36(3), 291-298.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Improving payment system for medical aid patients who get hemodialysis treatment. Gwache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Oyekcin, D. G., Gulpek, D., Sahin, E. M., & Mete, L. (2012). Depression, anxiety, body image, sexual functioning, and dyadic adjustment associated with dialysis type in chronic renal failur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43(3), 227-241. 

  16. Perales-Montilla, C. M., Duschek, S., & Reyes-Del Paso, G. A. (2013). The influence of emotional factors on the report of somatic symptoms in patients on chronic haemodialysis: the importance of anxiety. Nefrologia, 33(6), 816-825. 

  17.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Seo, N. S., Kang, S. J., Kim, J. H., & Kim, S. J. (2013).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str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285-297. 

  19. Shim, O. S. (2010). Effects of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patients on renal dialysi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2), 95-107. 

  20. Suh, S. R., & Cho, I. H. (2014). Influ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and accepta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11), 829-837. 

  21. Takaki, J., & Yano, 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with stress and employment in patients receiving maintenance hemodialysi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8(4), 276-283. 

  22. Takaki, J., Nishi, T., Shimoyama, H., Inada, T., Matsuyama, N., Kumano, H., et al. (2005). Possible interactiv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and stress coping mechanism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8(3), 217-223. 

  23. Theofilou, P. (2012). Self-esteem in Greek dialysis patients: the contributi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Irani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6(2), 136-140. 

  24. Tu, H. Y., Shao, J. H., Wu, F. J., Chen, S. H., & Chuang, Y. H. (2014).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of 20-45-year-old hemodialysis patients. Collegian, 21(3), 185-192. 

  25. Yoon, S. K., & Tak, Y. R. (2014).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3), 395-405. 

  26. Zung, W., Richards, C. B., & Short, M. J. (1965). Self-rating depression scale in an outpatient clinic further validation of the SD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3(6), 508-5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