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그라스(Grasses)류의 현대 활용추세 관점에서 본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정원 디자인 특징 Characteristics of Piet Oudolf's Garde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Trends in the Use of Grasses원문보기
본 연구는 자연식재의 경향, 기후변화, 유지관리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경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그라스의 사용은 늘어날 것이며, '그라스류를 어떻게 조경공간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해답을 제공할 목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의 사용에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현대적인 식재디자인의 추세를 이끌어 내고 있는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정원디자인을 통해 그라스 사용의 식재기법과 의미를 디자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돌프의 그라스를 통한 정원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결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라스와 숙근초의 결합방식에 있어 일대일로 대응시키거나, 확대되어 드리프트(drift) 기법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이때의 그라스는 주로 공간을 전환하거나 이미지가 전이될 때 삽입되는 연결 소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정원에서 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그라스의 갈색(brown color)과 질감(texture)을 이용하였다. 이는 가을, 겨울의 서정성과 회화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규모가 커지면서 시점과 동선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층위를 설정하고 있다. 매트릭스, 섬, 분산층위를 통해 반복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를 교차시키고 있다. 이때는 장면과 장면을 설정해 가며, 그 속에서 그라스는 추상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식재의 경향, 기후변화, 유지관리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경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그라스의 사용은 늘어날 것이며, '그라스류를 어떻게 조경공간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해답을 제공할 목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의 사용에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현대적인 식재디자인의 추세를 이끌어 내고 있는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정원디자인을 통해 그라스 사용의 식재기법과 의미를 디자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돌프의 그라스를 통한 정원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결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라스와 숙근초의 결합방식에 있어 일대일로 대응시키거나, 확대되어 드리프트(drift) 기법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이때의 그라스는 주로 공간을 전환하거나 이미지가 전이될 때 삽입되는 연결 소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정원에서 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그라스의 갈색(brown color)과 질감(texture)을 이용하였다. 이는 가을, 겨울의 서정성과 회화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규모가 커지면서 시점과 동선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층위를 설정하고 있다. 매트릭스, 섬, 분산층위를 통해 반복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를 교차시키고 있다. 이때는 장면과 장면을 설정해 가며, 그 속에서 그라스는 추상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Given the recent trend of natural planting, the recognized needs for new landscaping plants that have advantage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nd maintenance, and expected increases in demands for grasses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the techniques to u...
Given the recent trend of natural planting, the recognized needs for new landscaping plants that have advantage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nd maintenance, and expected increases in demands for grasses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the techniques to use grasses and their significance through garden design by Piet Oudolf who is attracting international interests with the use of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and is leading the trends in modern planting design, thereby answering the question: how to best use grasses in landscaping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Oudolf's garden design using grasse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udolf combine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to make one-to-one correspondences or express expanded drifts. Here grasses mainly serve as an element to change over to other spaces or as a connecting element between image transitions. Second, the brown color and texture of grasses represent Oudolf's considerations on the temporal continuity of gardens. They express the lyricism and pictorialism of autumn and winter. Third, grasses serve to set layers in wide areas resulting in discordance between viewpoints and circulations. Oudolf repeatedly cros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using matrices, islands and distributed layering. Here grasses are used to express abstractive meanings in the settings of scenes.
Given the recent trend of natural planting, the recognized needs for new landscaping plants that have advantage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nd maintenance, and expected increases in demands for grasses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the techniques to use grasses and their significance through garden design by Piet Oudolf who is attracting international interests with the use of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and is leading the trends in modern planting design, thereby answering the question: how to best use grasses in landscaping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Oudolf's garden design using grasse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udolf combine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to make one-to-one correspondences or express expanded drifts. Here grasses mainly serve as an element to change over to other spaces or as a connecting element between image transitions. Second, the brown color and texture of grasses represent Oudolf's considerations on the temporal continuity of gardens. They express the lyricism and pictorialism of autumn and winter. Third, grasses serve to set layers in wide areas resulting in discordance between viewpoints and circulations. Oudolf repeatedly cros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using matrices, islands and distributed layering. Here grasses are used to express abstractive meanings in the settings of scen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자연식재의 경향, 기후변화. 유지관리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경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그라스의 사용은 늘어날 것이며, '그라스류를 어떻게 조경공간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해답을 제공할 목적으로 우돌프의 정원디자인을 통해 그라스의 식재기법과 의미를 디자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식재디자인의 새로운 흐름과 그라스 사용의 현대적 인 추세, 우돌프의 생애와 디자인철학을 통해 그라스의 사용 원인을 파악한 후, 특히, 설계작품 중에서 그라스의 사용 관점에 집중하여 식재기법, 그라스의 역할과 의미의 정원디자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있다. 이러한 그라스라는 소재가 정원의 미적 대상으로 인식되는 데 창조적 인 역할을 한 우돌프의 정원디자인 특징을 디자인 관점에서 찾아본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많은 부분 인터넷, 문헌 등의 사진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실공간의 동선과 공간감 등을 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제안 방법
둘째, 정원에서 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그라스의 갈색(brown color)과 질감(texture)을 이용하였다. 이는 가을, 겨울의 서정성과 회화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식재의 경향, 기후변화. 유지관리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경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그라스의 사용은 늘어날 것이며, '그라스류를 어떻게 조경공간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해답을 제공할 목적으로 우돌프의 정원디자인을 통해 그라스의 식재기법과 의미를 디자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우돌프의 생애와 철학. 경력 등을 살펴보았다.
경력 등을 살펴보았다. 주로 그가 썼던 주요 저서「Gardening With Grasses (1998)j , rDream Plants for the Natural Garden (2000)j .
식물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자연 정원과 유사한 새로운 모형은 식물의 색채. 형태, 높이를 섬세하게 고려하여 내한성 다년생 식물(hamdy perennial plant)을 이용하여 특별한 관리 없이도 생장할 수 있는 정원을 조성하여, 현재의 내츄럴 가든(natural garden), 뉴 퍼레니얼플랜팅 (New Perennial Planting)을 탄생시키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11].
대표적으로 아스터 (Aster 'Oktoberlicht'), 정향풀(Amscnia hubrichtii). 밥티시아 (Baptisia leucantha), 훼스큐(Fbstuca mairei), 제라늄(Geranium psilostemon), 픽란테뭄 (Pycnanthemum muticiun)을 반복적으로 심는 구상을 하였다.
대상 데이터
과정, 동시대의 재식설계기법의 특징 또한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2][4][8][9][10]. 그라스를 이용한 디자인 관점의 분석은 인터넷과 앞서 언급한 문헌 등에서 가장 좋은 장면의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은 이미 작가 뿐 아니라.
미국에서 그라스를 이용하여 광대하게 펼쳐지는 중서부 초원의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이를 정원에서 재현한 디자이너는 옌센(Jens Jensen, 1860-1951)이었다. 들판에 나무의 덤풀, 낮은 관목, 그라스의 식재로 수평선의 레이어를 만들었다. 자연스러운 비정형식으로 근대적인 절충식이 나타나며 마치 대평원의 야생화 초원을 연상시키는 '프레리 양식 (prairie style)'으로 형식의 분화가 나타났다[13].
우돌프는 1944년 네덜란드 태생으로서. 26세 때까지 부모의 레스토랑에서 일하다 하를렘 (Haarlem, Netherland) 마을에 정착한 후 1976년부터 조경 디자인 연습을 시작하였다.
우돌프는 1944년 네덜란드 태생으로서. 26세 때까지 부모의 레스토랑에서 일하다 하를렘 (Haarlem, Netherland) 마을에 정착한 후 1976년부터 조경 디자인 연습을 시작하였다. 특히 식물의 성장과정에 대해 배우는 것에 관심이 많았고, 그의 경력 초기에는 정원가 보다는 식물학자, 생태학자들과 교류하였다.
후속연구
이러한 그라스라는 소재가 정원의 미적 대상으로 인식되는 데 창조적 인 역할을 한 우돌프의 정원디자인 특징을 디자인 관점에서 찾아본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많은 부분 인터넷, 문헌 등의 사진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실공간의 동선과 공간감 등을 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차후에는 그라스와 숙근초 개별간의 상호 결합패턴과 양.
차후에는 그라스와 숙근초 개별간의 상호 결합패턴과 양. 색, 질감 등을 구체적인 데이터와 현장중심으로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