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역공간(逆空間)의 특성연구 - 헤르조그 & 드 뮤론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minal Spac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of Herzog & de Meuron's Architecture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4 no.4 = no.111, 2015년, pp.33 - 42  

박화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설계) ,  원유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  이찬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ariety of attempts for trend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uniform styles and a fixed dichotomous structure and thoughts, have been made. This research aims to apply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concepts of the limi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the destructive inclin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관습적인 규범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동시에 그들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경계공간에 주목하며, 이것을 통해 형성되는 그들의 건축적 특성과 역공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공간개념의 특성과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현대공간에서 요구되어지는 고정적인 공간의 의미보다는 경계 해체적 관점에서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근원적인 잠재성의 새로운 관점으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erzog & de Meuron‘s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표현특성을 고찰하며, 현대공간이 추구하는 다양한 코드의 새로운 유형을 수립하는데 역공간(逆空間)이론이 하나의 지표로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Herzog & de Meuron's 건축에 나타나는 ‘역공간(逆空間)’ 개념을 중심으로 비가결성, 이질성, 탈중심적 특성 등의 관점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헤르조그 & 드 뮤론의 배경인 후기구조주의 이론을 파악하고 건축적 사고와 개념에 기초하여 나타난 표현특성의 관계성을 역공간의 개념에 기반 하여 분석한다.
  • 본 연구는 다양성이 존재하는 현대사회의 현상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역치성’ (liminality)에 대해 선행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역공간이 현대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다.
  • 본 연구는 헤르조그 & 드 뮤론의 작품들을 통해서 현대공간에서 대두되어지는 역공간의 현상에 대해 후기구조주의 배경의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건축적 표현을 분석해 보았다.
  • Herzog & de Meuron‘s은 벽이나 개구부 등 변화하는 다-중심적인 공간을 자유로운 평면적 표현성과 잠재성으로 바라보고 있다. 즉 관습적인 규범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동시에 그들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경계공간에 주목하며, 이것을 통해 형성되는 그들의 건축적 특성과 역공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공간개념의 특성과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현대공간에서 요구되어지는 고정적인 공간의 의미보다는 경계 해체적 관점에서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근원적인 잠재성의 새로운 관점으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가장 큰 특징은 비대칭성으로 두 블록이 동일한 형태를 취하지 않고 같은 기능의 건물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었으면서도 다리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디자인으로 계획되어 대조를 이룬다는 점이다. 즉 획일성을 탈피한 균형미에 대한 반발과 평면의 잠재적인 공간의 활용을 포함한 건축물 자체의 또 다른 잠재적인 공간을 새롭게 해석한 것이다. 이 현상은 실제로는 19세기 후반이후부터 가시화되어 포스트모던시대에 극에 달한 현상이라고 샤론 주킨(SharonZukin)은 진단하고 있다.
  •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공간에 나타나는 공간의 개념 변화를 역공간의 특성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시간과 공간은 서로 다르지만, 또한 분리되지 않는 것이 차연의 생리이다.8) 그러니까 데리다의 차연은 텍스트의 상호인용을 통해 경계가 허물어지고 허물어진 언어를 통해 은유가 발생 되는데, 은유는 관계에 호소한다. 예를 들어 ‘A’와 ‘B’가 있을 때 그 사이에 발생되는 언어는 ‘and’가 아니고 ‘AB, BA, ABC, C,’ 등 관계와 경계를 호소하면서 확정되어진 언어로만 사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비가결성의 언어도 포함하여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으로 상호 교차하여 텍스트의 무한한 연쇄성으로 이어져 나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저서 ‘제의에서 연극으로’에서, 역치성은 어떻게 정의되어 있나? 현대공간의 다층적이고 모호한 성격을 포착하는데는 빅터 터너의 역치성의 개념이 유용하리라는 관점에서 시작했다.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저서 ‘제의에서 연극으로’에서 역치성은 이쪽도 저쪽도 아닌 무질서한 상태의 공간에서 대안을 찾아가는 중심적인 과정에서 떨어져서 가장자리를 따라 중심과 접촉의 틈새사이에서 새로운 것이 생성되는 지점이라 정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후기구조주의라는 사유를 통한 다원화된 인식적 배경과 철학적 이론에 기대어 문화인류학의 역공간(Liminal space)-”문화와 경제, 시장과 장소 등을 가로지르고 결합하는 공간”1)-의 개념이 확산됨에 따라 어느 영역에도 포함되지 않은 공간적 특성으로 개념의 교환, 순환, 재구조화하며 상호작용의 흐름 속에 현대사회의 역동적 에너지가 될 수 있다.
역공간 형성의 대표적인 사례는 무엇인가? 이러한 역치성(liminality)개념의 역공간 형성은 19세기 후반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가시화 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유럽 도시의 커피하우스나 레스토랑의 상업적 공간은 공적인 거리를 점유하면서 공공영역과 사적영역이 공생하도록 공간 기획이 이루어진 곳으로 사람과 상품이 자연스럽게 순환하도록 공생적인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렇게 역치성 개념이 가시화된 배경에는 구조주의로 전체적인 구조 관계를 강조한 나머지 틀에 맞춰 생각하고 모든 행위를 공식이나 규격화하는 전체주의적 양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60년대 후반까지의 구조주의 철학은, 어떤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는가? 60년대 후반까지 구조주의 철학은 전체적인 구조를 고정적 관계, 즉 구조와 장식, 추상과 구상, 형식과 배경,기능과 형태의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으로 규격화되고 갇혀진 사고로 관계들의 한계를 보였다. 구조주의가 한계를 드러내면서 불연속, 카오스, 욕망, 권력, 신체 같은 개념6)들이 등장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Zukin, Sharon(1991) Landscape of Power,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이정우, 시뮬라크르의 시대, 거름, 1999 

  3. 김형효, 데리다와 해체철학, 민음사, 1998 

  4. Heinz Kimmerle, 데리다 철학의 개론적 이해, 박상선 옮김, 제1판 제3쇄, 서광사, 2003 

  5. 미셀 푸코, 말과 사물, 이규현 옮김, 민음사, 2012 

  6. Gordana Fontana-Giusti, 건축가를 위한 푸코, 장정제 옮김, Spacetime 2013 

  7. 전혜숙, Inter-spaces, 이화아트센터. 2005 

  8.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9. 빅터 터너 제의에서 연극으로, 이기우.김익두 옮김, 현대미학사, 2011 

  10. 조경진, 한소영 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39 권 4호, 2011 

  11. 김창현, Herzog & de Meuron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개념을 중심으로. 호서대 석사논문, 2004 

  12. 임수정, 헤르조그 & 드 뮤론 의 건축적 사고와 개념에 기초한 공간표현방법에 관한 연구-들뢰즈의 '추상기계' 개념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2013 

  13. 허세연, CHORA의 경계적신체(Liminal Bodies)에서 나타나는 탈영역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5 

  14. 최재원,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의 맥락적 구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2 

  15. 허정원, 이동에 의한 공간 인식과 정체성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2013 

  16. 송윤희,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텍토닉의 개념과 표현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2 

  17. 전종찬, 입체복합문화시설을 통한 도심 밀집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3 

  18. 최기혁,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복합적 외피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2012 

  19. 임성훈, 공간에서 촉각적 감각과 깊이의 문제에 대하여, -헤르조그와 드 뫼롱의 건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문집 제30권 2호(통권304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