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속옷의 형태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천연염색(쪽과 탄닌)을 중심으로 -
Study of Fashion Design Applying Underwear Forms in Joseon Dynasty Period - Focused on Natural Dyeing (Indigo (Jjok) and Tannin)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5, 2015년, pp.51 - 61  

이은자 (한남대학교 한국전통복식학과) ,  이미석 (한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정호 (한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forms of underwear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Joseon underwear design elements into designs of modern clothes, and make clothes that have practical use. In addition, it examines natural dyeing in the pro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잊혀져 가는 전통 속옷의 다양한 형태를 알아보고 전통속옷의 형태를 디자인요소로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여름용 생활복 디자인에 응용해보고자 한다. 또한 여름용 생활복 제작에 있어서 탄닌을 함유한 천연염색을 함으로서 천연염색의 견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잊혀져 가는 전통 속옷의 다양한 형태를 알아보고 전통속옷의 형태를 디자인요소로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여름용 생활복 디자인에 응용해보고자 한다. 또한 여름용 생활복 제작에 있어서 탄닌을 함유한 천연염색을 함으로서 천연염색의 견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속옷의 종류와 형태를 고찰하고, 속옷의 형태를 디자인 요소로 응용하여 현대 생활에서 실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여름용 생활복으로 디자인개발 하고자 하였으며, 아름다운 우리나라 속옷의 형태를 재조명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천연염색 의류가 생활한복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젊은 30-40세대들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실용적이고 패셔너블한 디자인으로 여름용 생활복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속옷의 형태를 현대적 디자인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여자속옷의 종류와 형태를 알아보고자 전통 속옷이 소장되어 있는 박물관 견학과 도록,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조선시대 속옷의 종류와 형태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속옷의 종류와 형태를 고찰하고, 속옷의 형태를 디자인 요소로 응용하여 현대 생활에서 실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여름용 생활복으로 디자인개발 하고자 하였으며, 아름다운 우리나라 속옷의 형태를 재조명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천연염색 의류가 생활한복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젊은 30-40세대들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실용적이고 패셔너블한 디자인으로 여름용 생활복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색한 인견소재를 생활복 제작에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염색의 단점인 견뢰도를 높여보고자 탄닌이 함유된 염료로 1차 염색하고 쪽으로 2차 염색하여 견뢰도 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옷이란 무엇인가? 속옷은 ‘속에 입는 옷의 총칭’으로 속옷의 용도는 겨울의 방한용, 여름의 땀받이용, 옷의 자태를 우아하게 보이기 위한 맵시용, 내외법에 의하여 생겨난 내외용(內外用)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겨울의 추위를 막기 위한 속옷이 요구되어 방한용 위주로 발달하였다.
속옷의 용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속옷은 ‘속에 입는 옷의 총칭’으로 속옷의 용도는 겨울의 방한용, 여름의 땀받이용, 옷의 자태를 우아하게 보이기 위한 맵시용, 내외법에 의하여 생겨난 내외용(內外用)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겨울의 추위를 막기 위한 속옷이 요구되어 방한용 위주로 발달하였다.
조선시대 많은 종류의 속옷들이 점점 역사 속으로 사라져가고 있는데, 어떤 종류의 속옷이 있었는가? 조선시대 속옷의 종류와 형태는 매우 다양하였는데 남자용으로는 상의인 속저고리 또는 속적삼, 하의인 잠방이가 있었고, 여자용으로는 맵시용 뿐만 아니라 내외용, 땀받이용 등으로 많은 종류의 속옷들을 볼 수 있는데 상의에는 가리개용 허리띠, 속적삼, 속저고리가 있고 하의에는 다리속곳, 속속곳, 속바지, 단속곳, 너른바지,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등이 있었다. 하지만 생활환경이 변하고, 속옷의 간소화로 조선시대 많은 종류의 속옷들이 점점 역사 속으로 사라져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ndong University museum (1996). Andong Area traditional clothes [안동지역 전통복식]. Andong, Republic of korea: Andong University museum. 

  2. Dankook University Seok Juseon Memorial Museum(2013). Yeongreung chambong hanminjun family artifacts unearthed myo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출토 유물]. Yong-in, Republic of Korea: Dankook University Seok Juseon Memorial Museum. 

  3. Dankook University Seok Juseon Memorial Museum (2010). Mrs. Lee, the lord doubles unearthed haepyeongyunssi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복식]. Yong-in, Republic of Korea: Dankook University Seok Juseon Memorial Museum 

  4. Joo, G. (2009). Natural dyed a dictionary [증보 천연염색 염색사전]. Busan, Republic of Korea: Achwieon. 

  5. Kim, Y. (1998). Dictionary of Korean culture from the diaphragm. Seoul, Republic of Korea: a publishing culture. 

  6. Kyungwoon Museum (2006). The old underwear and sewing [옛 속옷과 침 선].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woon Museum. 

  7. Onyang Folk Museum (2012). Conversation with you in a subdued voice [소곤소곤 당신과의 대화]. Iksan , Republic of Korea: Soo-hyun culture. 

  8. Park, S. & Jo, H. & Lee. E. (2005). Charm and woman during the Chosun Dynasty attire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Seoul, Republic of Korea:Dankook University press 

  9. Yoo, H. & Kim M. (1981). Korea investment cultural history [한국복식문화사]. Seoul, Republic of Korea: Printing Art and Cul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