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농촌 지역에서 회합 급식을 하는 여자 노인의 우울 정도, 신체계측 및 영양섭취실태 조사
Depression Symptom, Anthropometric Assessment,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Females Who Eat Congregate Meals at Lunch in Rura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517 - 526  

이수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현숙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홍미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pression symptom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females that ate congregate meals at lunch in rural Pocheon. The subjects were 18 elderly females aged over 65 ($75.7{\pm}4.6$ years) and information on smo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d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국내에서도 영양평가를 위한 영양검색도구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에 대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표준화된 영양검색도구라기보다 각 병원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의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실정이다 (Han 등 2009; Kim 등 2006; Lee 등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적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타당도가 검증된 영양부족위험 진단 조사표인 영양상태 간이조사표(Lee 등 2000)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선택하였다.
  • 현재 국내에서 노인의 영양섭취상태(Chung &Shim 2007; Lee 등 2007; Yang KM 2005; Yim KS 2008) 혹은 무료급식 이용노인들의 급식만족도(Lee HB 2009; Seo 등 2013)에 관한 연구들은 많지만, 회합급식을 하는 노인의 우울 정도, 신체계측 및 식품 섭취량을 비교한 연구와 회합급식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천시 일부 농촌 지역에서 회합급식을 하는 여자노인의 우울 정도, 신체 계측 및 영양소 섭취 상태와 하루 중 점심 식사에서 각 영양소 섭취 비중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포천시 농촌지역에서 회합급식을 하는 여자 노인의 영양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농촌지역 마을회관에서 회합급식을 하는 65세 이상 여자 노인 18명이었으며, 식품 섭취량, 팔둘레 및 장딴지둘레를 측정 하였고, 주관적인 건강상태, 우울 정도 및 영양부족 위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수 전망은 어떻게 되는가? 2014년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638만 6천 명(12.7%)인데, 2024년에 983만 4천 명(19.0%), 2034년에 1,432만 5천 명(27.6%)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또한 2014년 65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구는 370만 3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20.
영양지수(INQ)란 어떤 평가방법인가? 각 영양소의 INQ 수치가 1 이상으로 나타난 것은 특정 영양소를 에너지에 비해 더 많이 섭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음식 섭취량에 무관한 질적인 개념으로 한 끼에 섭취하는 양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Seo 등 2008).
노인의 건강에 주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노인의 건강문제는 질환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적 불편뿐 아니라, 가정과 국가의 의료비 부담 증가 등 여러 사회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데, 급속한 노령화를 피할 수 없는 여건에서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Kim BH 2008). 노인의 건강에 주요 원인으로는 독거생활과 우울 정도(Park &Son 2003), 부적절한 영양섭취(Yoon HJ 2004) 및 경제적 능력(Lim JH 2014) 등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ouillanne O, Morineau G, Dupont C, Coulombel I, Vincent JP, Nicolis I, Benazeth S, Cynober L, Aussel C. 2005. 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 A new index for evaluating at-risk elderly medical patients. Am J Clin Nutr 82:777-783 

  2. British Association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5. Screening for malnutrition: The 'MUST' explanatory booklet-A guide to the universal screening tools (MUST) for adults. Available from http://www.bapen.org.uk/pdfs/must/must_explan.pdf [cited 2015 June 17] 

  3. Chung EJ, Shim EG. 200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s who participated in MOW and free congregate meal 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99-1408 

  4. Han JS, Lee SM, Chung HK, Ahn HS, Lee SM.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NRST)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 Nutr 42:119-127 

  5. Hyun HY. 2006. A study of improvement through food service and nutrition status of low-income elderly: Around the elderly using the welfare centers in Sungbuk-gu, Seoul.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6. Kee B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5:298-307 

  7. Kim BH. 2008. The changes of types of nutritional risk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Korean J Fam 46:97-107 

  8. Kim EK, Nam HW, Park YS, Myoung CO, Lee KW. 2011. Nutrition Across the Life Span. Seoul: Shinkwang Pub. pp. 253-234 

  9. Kim KN, Hyun TS,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475-483 

  10. Kim SA, Kim SY, Sohn CM. 2006. Development of nutrition screening index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779-784 

  11.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Size Korea. 2010. http://sizekorea.kats.go.kr/ [cited 2014 November 27] 

  12.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Elderly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 [cited 2014 December 12] 

  13.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Available from http://www.kns.or.kr [cited 2014 November 26]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Center. 2014. Population/household Statistical Database. Available http://kosis.kr/ [cited 2015 June 16] 

  15. Lee HB. 2009. A study on the using reality and satisfaction of meal service program for the elderly. MS Thesis, Sangji Univ. Gangwon. Korea 

  16. Lee JS, Cho MR, Lee GJ. 2010. Validation of the developed nutritional screening tool for hospital patients. Korean J Nutr 43:189-196 

  17. Lee JW, Kim KE, Kim KN, Hyun TS, Hyun HJ, Park YS. 2000.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J Nutr Health 33:864-872 

  18. Lee KH, Park JR, Seo JS. 200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a private silver town of Busan metropolita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93-1299 

  19. Lee MS. 2012.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low-income elderly women.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37:12-22 

  20. Lee SJ. 2014. Depression symptom, anthropometric assessment,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females who eat congregate meals at lunch in rural Pocheon. MS Thesis, Daejin Univ. Gyeonggi. Korea 

  21. Lim JH. 2014.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ve symptoms and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481-49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cited 2015 June 19]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Elderly health and welfare business guide (II).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29&page7 [cited 2015 January 19]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28 [cited 2015 April 4] 

  25. Moon HK, Choi SO, Kim JE. 2009.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4:123-136 

  26. Oh JH. 2003.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s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MS Thesis, Catholic Univ. Gyeonggi. Korea 

  27. Park JK, Son SM. 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Community Nutr 8:716-725 

  28. Park YH, Suh EY. 2007.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37:941-946 

  29. Seo JS, Lee JH, Yoon JS, Joo SH, Choi YS. 2008. Assessment of Nutritional and Practice. Seoul: Powerbook pp.150-153 

  30. Seo SH, Yu EJ, Ahn JY. 2013.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ongregate meal services from the low-income elderly. J Korean Diet Assoc 19:298-308 

  31. Sheikh JI, Yesavage J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iolence. Clinical Gerontologist 5:165-173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CAN-Pro 4.0 software 

  33. Vellas B, Guigoz Y, Garry PJ, Nourhashemi F, Bennahum D, Lauque S, Albarede JL. 1999.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its use in grading the nutritional state of elderly patients. Nutrition 15:116-122 

  34.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18-1027 

  35. Yim KS. 2008. Nutrient intake assessment of Korean elderly living in Inje area, according to food group intake frequency. Korean J Food Culture 23:779-792 

  36. Yoon HJ. 2004. The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nd effects of meal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risk of malnutrition. MS Thesis, Busan Univ. Bu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